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Job Embeddedness Conceived by Airline Employees o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항공사 종사원의 직무착근도가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이민순 (중부대학교 항공서비스학과)
  • Received : 2010.08.23
  • Accepted : 2010.10.15
  • Published : 2010.10.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at job embeddedness perceived by airline employees has influence on their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First, this study shows that the three factors of the job embeddedness have a positive relation with the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Second, the fit factor of job embeddedness has a negative relation with the turnover intention, but the link factor and sacrifice factor of job embeddedness are not significant. Third, the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re significant to turnover intention. The result implies that the executives of airline corporation should try to encourage organizational culture allowing employees to maximize job embeddedness.

본 연구의 목적은 항공사에 근무하는 종사원의 직무착근도가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여 항공사의 효율적인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한 결과, 첫째, 항공사에 근무하는 종사원들의 직무착근도 요인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정(+)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직무착근도의 요인 중 적합성이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연계와 희생 요인변수는 통계적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요인은 이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항공사 인적자원 관리자들이 종사원들의 직무착근도를 극대화시키는 방향으로 기업문화를 조성할 필요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Keywords

References

  1. 허희영, 항공운송산업론, 명경사, 2009.
  2. Chen, Ching-Fun,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flight attendants' turnover intentions: A note," Journal of Air Transport Management, Vol.12, pp.274-276, 2006. https://doi.org/10.1016/j.jairtraman.2006.05.001
  3. 김성필, 이준엽, "항공사 종업원이 지각하는 '승진 장벽(glass ceiling)'이 조직몰입, 직무만족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 제 22권, 3호, pp.65-87, 2007.
  4. 조희정, 구본기, "항공사종사자의 직무 스트레스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 제 25권, 제1호, pp.109-125, 2010.
  5. 최 은, "항공사 승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요인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A항공사를 중심으로-" ,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관광학석사 학위논문, 2004.
  6. T. R. Mitchell, B. C. Holtom, T. W. Lee, C. J. Sablynski, and M. Erez, "Why prople stay: using Job embeddedness to predict voluntary turnover,"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4, No.6, pp.1102-1121, 2001. https://doi.org/10.2307/3069391
  7. http://media.daum.net/nms/service/news/.
  8. 이기리, "자발적 이직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Job embeddedness와 이직용이성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경영학석사 학위논문, 2002.
  9. 전원배, 박인규, "호텔 종사원의 직무착근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ourism Research, 제21호, pp.291-308, 2005.
  10. 김성필, 이준석, 최영민, "이벤트 종업원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직무착근도 (job embeddedness)를 중심으로-, 한국항공경영학회지, 제6권, 제1호, pp.27-44, 2008(3).
  11. 하동현, 김정선, "호텔 종사원의 직무착근도와 역할스트레스원이 직무만족,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 제24권, 제6호, pp.173-191, 2010.
  12. 박인규, "호텔 종사원의 직무착근도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경영학박사 학위논문 2005.
  13. 김성민, "호텔 종사원의 역할 스트레스가 직무 만족, 조직 몰입 및 이직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관광서비스연구, 제7권, 제2호, pp.39-56, 2007.
  14. 김형섭, "호텔종사원의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과 이직의도와의 관계에 대한 연구", 관광연구, 제19권, 제3호,pp.203-225, 2005.
  15. S. E. Anderson and L. J. William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s Predictors of Organizational Citizenship and In-Role Behavior," Journal of Management, Vol.17, pp.601-617, 1991. https://doi.org/10.1177/014920639101700305
  16. R. W. Mowday, L. W. Porter, and R. M. Steers, Employee-Organization Linkages: The psychology of commitment, absenteeism, and turnover, Academy Press, 1982.
  17. W. H. Mobley, "Intermediate linka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atisfaction and employee turnover,"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62, pp.237-240, 1977. https://doi.org/10.1037/0021-9010.62.2.237
  18. J. Price, The study of turnover, Ames, Iowa: Iowa State Press, 1977.
  19. Pigors, P.and C. A. Myers, Personnel Administration: A Point of view and a method(9th Ed.), McGraw-Hill, 1973.
  20. D. R. Dalton, W. D. Todor, and D. M. Krackhardt, "Turnover overstated: The functional taxonomy,"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7, No.1, pp.117-123. 1982. https://doi.org/10.2307/257256
  21. L. W. Porter and R. M. Steers, "Organizational, Work and Personal Factors in Employee Turnover and Absenteeism," Psychological Bulletin, Vol.80, pp.151-176. 1973. https://doi.org/10.1037/h0034829
  22. 김은애, "성별에 따른 직부배태성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82-85, 2005.
  23. W. H. Mobley, "Some unanswered questions in turnover and withdrawal research,"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7, No.1, pp111-116, 1982. https://doi.org/10.2307/257255
  24. 이상미, "국.내외 외식업체 종사원의 직무 만족도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6, No.7, pp.119-126, 2006.
  25. 조선일보, 2010년 8월1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