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Zone Management Methods in U.S.A -Focus on Zoning & Integrated Methods of Different Kind Data-

미국 연안구역(Coastal Zone) 관리수단의 특성 -조닝방식과 이종 데이터 간 통합방법을 중심으로-

  • Oh, Ji-Hoon (Departmen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gsung University) ;
  • Lee, Seok-Hwan (Department of Urban Design & Development, Kyungsung University) ;
  • Lee, Hee-Won (Division of Architecture, Sun Moon University)
  • Received : 2010.07.14
  • Accepted : 2010.08.06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It is necessary to collect the coastal zone data, to prepare the objective analysis methods, and to build the scientific and technical support system for the efficient management of coastal zone in local aspect. This study analyzes the coastal zoning methods and the integrated methods of different kind data by case study of U.S.A coastal zone. The characteristics of coastal zone management methods in U.S.A are as follows; the concrete indices and methods of establishing coastal zone which can respond to the local values and land use, related data analysis methods for supporting spatial decision making, and establishment and administration of bureau for the spatial information construction and integration of coastal zone. This study suggest the technical implications which can build the domestic coastal zone management in local level on the basis of the common values of the coastal zoning methods and integrated methods of heterogeneous data in U.S.A.

지역차원에서 연안구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해양 및 연안공간정보의 확보, 이를 분석할 수 있는 객관적 분석방법, 그리고 이런 연구결과를 정책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하는 과학 기술적 지원체계 구축은 필수적 과제라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국 연안구역(Coastal Zone)의 사례에서 나타난 조닝(Zoning)방식과 이종 Data간 통합방법을 중심으로 그 특성을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나타난 공통된 특성은 연안의 가치와 이용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설정기준과 지표 마련, 공간의사결정을 위한 Data 가공 및 분석방법, 해양 및 연안공간정보 구축 및 통합을 위한 전담기구의 설치 운영 등으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미국 연안구역의 관리수단 즉, 조닝방식과 이종 Data간 통합방법에 나타난 공통의 가치를 바탕으로, 지역차원에서 국내 연안구역(Coastal Zone)관리 시스템을 올바르게 구축하기 위한 기술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오지훈.이석환, "국내외 연안구역관리(C.Z.M)의 특성 비교",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 11, No. 7, p.2693-2701, 2010. https://doi.org/10.5762/KAIS.2010.11.7.2693
  2. 정의홍.권오현.구자문, "연안구역 설정을 위한 토지적성평가기법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학 술대회 논문집, p.353-363, 2008.
  3. 김경수, "부산시 연안육역 관리 개선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제42권, 제6호, 통권159호, p.147-160, 2007.
  4. 최지연, "외국 연안관리 지표의 비교.분석과 적용시사점", 해양수산 통권275호, p.5-27, 2007.
  5. 최지연, "주요 국가의 연안관리제도 사례분석과 적용 시사점", 해양수산 통권250호, p.79-104, 2005.
  6. 최지연.윤성순.주성재, "연안관리지역계획의 실효 성 제고를 위한 연안구역 설정방안", 해양수산, 통권 제234호, p.93-105, 2004.
  7. 이문숙.오위영.권문상, "연안구역에서의 불허행위 설정에 관한 연구", 해양정책연구 제19권 제2호, p.239-261, 2004.
  8. 남정호외 3명, "연안.해양보호구역 통합관리체제 구축 방안 연구", 해양수산개발원, 2004.
  9. 윤성순.최지연.주성재, "연안관리지역계획의 실효성 제고 및 계획수립(안)개발 연구", 해양수산개발원, 2003.
  10. 윤성순, "연안관리의 육역범위 및 구역의 설정방안 고찰", 해양수산, 통권 제214호, p.19-28, 2002.
  11. 엄기철.황성수, "지속가능한 연안관리모형 및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국토연구원, 2001.
  12. 황성수, "통합관리를 위한 연안육역 설정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0.
  13. Rhode Island Coastal Resources Management Council, Coastal Resources Management Program, 2008.
  14. Davis, B. C, "Inventory, Classification, and Analysis of Special Management Areas Associated with U. S. Coastal Programs", Coastal Management, 31, 2003.
  15. North Carolina Division of Coastal Management, Technical Manual for Coastal Land Use Planning, 2002.
  16. Ehler, N., "The Evolution of Integrated Coastal Management in the United States:Lessons Learned and Next Steps", 해양수산부-미해양대기청 연안통합관리 워크숍 자료집, 2002.
  17. Hale, Z. L, Ronadue, D. D, "International Experience in Integrated Coastal Resource Management", The Fiji National Workshop on Integrated Coastal Resources Management, 2002.
  18. http://www.crmc.ri.gov/
  19. http://dnr.louisiana.gov/crm/
  20. http://dcm2.ehnr.state.nc.us/
  21. http://www.fgdc.gov/
  22. http://www.csc.noaa.gov/mcsd/
  23. http://www.mass.gov/mgis/massgis.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