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Working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chool Cafeteria Employees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Type in Chonbuk, South Korea

전북지역 학교급식소 조리종사원의 고용형태에 따른 근무환경 및 직업만족도 연구

  • Rho, Jeong-Ok (Dep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 Choi, Sun-A (Dept. of Food Science and Human Nutritio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노정옥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 최선아 (전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 Received : 2010.05.24
  • Accepted : 2010.07.21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working conditions and job satisfaction of school cafeteria, according to their employment type in Chonbuk, South Ko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401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cafeteria employees. The data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employees. These factors were: previous work experience (p<.001), type of school (p<.001), the style of foodservice at a school (p<.001), the type of foodservice system (p<.05), and the number of meals served each day (p<.001). The working conditions for regular and irregular employe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regard to several factors: these were union membership (p<.01), how they were paid (p<.05), their total working hours (p<.01), and difficulty of using their holidays (p<.01). Approximately 80.5% of the subjects were dissatisfied with the working conditions after the introduction of countermeasures for irregular employees. Results indicated that the average employee job satisfaction level was 2.53, but that there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job satisfaction when comparing regular and irregular employees. The item employees were most satisfied with was having responsibility over meals for young students (3.37). They were least satisfied with their salary (2.00). An interesting issue for future study would be to determine the factors that could improve job satisfaction whilst satisfying the employees' needs which in turn would improve the quality of foodservice.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7년도 학교급식 실시 현황.
  2. 교육인적자원부. (2004). 초 중등학교 비정규직 대책 시행계획안.
  3. 교육인적자원부. (2007). 학교급식법령 해설서.
  4. 김덕화. (2008). 광주지역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연구.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병하. (2007). 학교급식 조리종사원의 직무실태 및 직무능력 향상방안에 관한 연구: 충남지역 직영급식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 교육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순기, 조춘봉, 채병숙. (2008). 호텔주방종사원 고용형태에 따른 주방관리시스템과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서비스경영학회지, 9(2), 151-169.
  7. 김종남. (2008). 충주시내 초등학교 급식시설 사용실태에 관한연구. 충주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남상명. (2005). 학교급식 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생활문화학회, 20(6), 688-694.
  9. 민경찬, 이명호, 박혜원, 박영심, 신용철, 조규봉, 이경익, 정광옥, 신임숙, 윤희선. (2006). 경기 북부 지역 학교 급식 종사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영양학회, 19(2), 193-200.
  10. 박영숙. (2002). 대구 경북지역 초등학교 급식소 종사원의 직무만족도 조사.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12(6), 536-546.
  11. 송남청. (2007). 학교급식 조리종상자의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안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송남청, 이혜상, 이경은. (2007). 학교급식 조리종사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직무소진, 직무관여 및 조리작업안전에 대한 인식.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12(5), 606-616.
  13. 양일선. (2000). 학교급식의 최신 동향 진단과 발전방향 모색. 국민영양, 4, 2-10.
  14. 윤미연, 이인숙. (2006). 포항지역 학교급식의 안전성을 위한 학교 급식 조리실의 기본 시설 설비 조사.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2(3), 264-276.
  15. 이미정, 박상현, 주나미. (2005). 비정규직 대책 시행에 따른 조리종사원 근무조건 개선효과 검토.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20(6), 652-660.
  16. 이숙희, 유경민. (2006). 학교급식 조리사의 직무 만족에 관한 연구. 한국조리학회, 12(1), 22-36.
  17. 이옥순. (2007). 학교급식조리원의 직무만족에 관한 연구. 경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옥순, 이영미, 오유진. (2007). 학교급식 조리원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13(3), 228-239.
  19. 장서영, 한명주. (2002). 서울지역 초등학교 급식종사원의 직무 및 욕구만족도에 관한 연구.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18(6), 625-631.
  20. 전라북도 교육청. (2006). 학교급식의 기본방향.
  21. 전병순. (2007). 비정규직 학교급식 영양사의 근로실태 및 직무만족에 대한 요인분석.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최기보, 신기정, 류은순. (2009). 부산일부지역 학교 급식 조리원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25(5), 619-631.
  23. 학교 비정규직 근로조건 불만. (2008). 연합뉴스. 자료검색일 2008. 11. 15, 자료출처 http://new.naver.com/news
  24. 학교 비정규직 절반 무기계약직 되나마나. (2008). 한겨레신문. 자료검색일 2008.1.15, 자료출처 http://www.hani.co.kr
  25. 학교현황. (2010). 전라북도 교육청. 자료검색일 2010. 4. 24, 자료출처 http://www.jbe.go.kr
  26. 한진수, 주영태. (2006). 호텔의 고용형태에 따른 심리적 계약이 조직몰입 및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호텔관광학회지, 8(2), 1-15.
  27. 홍완수. (2002). 초등학교 급식소종사원의 직무만족도 실증분석. 동덕여자대학교, 생활과학연구, 7(0), 113-121.

Cited by

  1. Relationship between Students' Foodservice Satisfaction and Foodservice Employees' Job Satisfaction at Elementary Schools vol.18, pp.2, 2012, https://doi.org/10.14373/JKDA.2012.18.2.155
  2. The Effect of Employee Service Mind on Customer Orientation in Elementary School Foodservice vol.19, pp.1, 2013, https://doi.org/10.14373/JKDA.2013.19.1.082
  3. Comparative analysis of status of safety accidents and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about precautions of safety accidents by employment type of industry foodservices in Jeonbuk area vol.50, pp.4, 2017, https://doi.org/10.4163/jnh.2017.50.4.4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