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Effects of Urban Growth Management Style Urban Regeneration of the Mixed Use Building in Seoul

주상복합건물의 성장관리형 도시재생 효과에 관한 연구

  • Received : 2010.03.08
  • Accepted : 2010.08.17
  • Published : 2010.08.25

Abstract

In the urban area where rapid suburbanization trend continues, the role of mixed use building is controversial. It is argued that the mixed use building is an effective tool to recover residential function of urban core(urban regeneration). It is also argued that the building is a cause of serious urban problems, such as congestion, public service shortages. The fundamental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ole of mixed use building in terms of urban growth management in Seoul. For this purpose, data of mixed use building from 1981 to 2007 are collected and analysed. The results show that most of mixed use buildings are located in either sub-centers or population losing areas, rather than traditional urban core. Therefore, it is hard to accept that the two controversial arguments. The mixed use building noncore areas in most cases. However, it dose help to increase population inflow in non-core areas. it is difficult to accept the public service assertion which states that super-high rise mixed use building causes public service congestion, because the building is built in population losing or demand decreasing area.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suggests some policy alternatives such as urban service boundary or concurrency program to management urban growth.

Keywords

References

  1. 강차중 (2006). 주상복합건물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마산지역을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산업대학원, 경남.
  2. 문정락 (2000). 서울 도심 재개발지역 내 복합용도개발 계획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서울.
  3. 박성민 (2006). 주상복합건물 가로 접면 상업시설의 계획 특성에 관한 연구: 주상복합타운 신대방, 도곡, 정자지구를 사례지로.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서울.
  4. 양동양 (1998). 대형 주상복합단지 및 주상복합건물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121, 224-250.
  5. 양우현.엄성욱 (2002). 주상복합건축물내 상업 및 편익시설의 입지별 수용 특성. 건설환경논문집, 13(1), 69-77.
  6. 오덕성 (1989). 복합용도 complex계획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지, 25, 25-36.
  7. 윤영미 (1996). 주상복합건축의 실태와 개발방향. 석사학위논문, 경상대학교, 경남.
  8. 이성모 (2006). 서울시 주상복합개발의 제도적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서울.
  9. 이원경 (2006). 입지특성에 따른 주상복합건물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서울.
  10. 이주형.이천기 (2001). 신도시 복합용도단지의 지구계획 적용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 17(12), 133-140.
  11. 정은진 (2003). 서울시 주상복합건물의 지역별 주거 특성. 대한지리학회지, 38(5), 741-753.
  12. 정은진 (2006). 서울시 주상복합건물의 주거특성. 한국학술정보(주).
  13. 최호성 (2005). 서울시 지구단위계획구역내 주상복합의 개발특성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서울.
  14. 하성규.전희정 (2003). 수도권 주상복합건물의 입지별 특성. 주택연구, 11(1), 27-48.
  15. 한양대학교.한국토지공사 (2006). 한국 도시복합개발의 현황과 전망. 도시학술제 논문집. 25-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