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통계학적, 장르적 분류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이용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Usage Pattern Based on Genr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Online Games

  • 투고 : 2010.04.12
  • 심사 : 2010.05.19
  • 발행 : 2010.06.2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사회통계학적 분류 또는 게임 장르 구분에 따른 온라인 게임의 이용특성을 분석하였다. 기존의 유사 연구 사례에서는 주로 설문에 의한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본 연구에서는 실제 게임 접속 기록에 대한 객관적인 데이터 분석을 수행하였고, 일부 요인의 분석을 위해서는 모수적 모델링 및 수리적 접근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가설의 검정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확인되었다. 온라인 게임 이용 인구는, 성별 기준으로 남자>여자, 직업분류에서는 학생>화이트칼라>주부>블루칼라>자영업>무직/기타, 학력 기준에서는 대졸>초중고생>고졸>대학(원)생, 월 소득 수준별 구분에서는 300∼500만>100∼300만>500만이상>100만(원) 미만, 그리고 결혼여부에 있어서는 미혼자>기혼자의 관계가 성립되었다. 장르 구분에서는 웹보드>RPG>시뮬레이션>(액션, 레이싱, 슈팅)>스포츠 순으로 이용자가 많았고, 최대동시접속자 측면에서는 RPG가 타 장르보다 MCR(Max Concurrent User Ratio)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편, 장르별 지속이용율의 차이에 대한 가설은 기각되었다. 온라인 게임의 이용 인구 구성에 있어서 성별${\times}$연령, 장르${\times}$성별, 장르${\times}$연령의 상호작용의 존재가 확인되었고, 이들 각 상호작용에 대하여 사후분석을 수행하여 그 결과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looks into the usage pattern in online games based on genres and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Compared to the prior studies that adopted survey as their main research method, this study has analyzed the actual data of game login records and adopted parametric modeling and mathematical approach. In terms of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the following facts were confirmed: men > women by gender, students > white-collars > housewives > blue-collars > self-employed > jobless(etc.) by occupation, college graduates > K-12 students > high-school graduates > undergrads & grads by academic background, 3∼5 million > 1∼3 million > over 5 million > less than 1 million by income levels, and not married > married by marital status. In terms of genres, the population of the players is in the order of web board games, RPG, action/racing/shooting, and sports. The RPG game is confirmed to have a higher level of MCR (Max Concurrent User Ratio) than any other genres. On the other hand, the hypothesis on the difference in Repeated Use Ratio according to genres is rejected. This study has also confirmed that interactions exist between gender and age; genre and gender; genre and age among online game users, and conducted post-hoc analysis about those interactions.

키워드

참고문헌

  1.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대한민국 게임백서", 서울: 한국콘텐츠진흥원, 2009.
  2. 이응규, 권정일, "온라인 게임에서의 플로우와 플로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재사용의도의 관계에 대한 장르별 비교", 한국경영과학회지, 30(4), 131-150, 2005.
  3. 김기일, "온라인게임의 장르별 이용동기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경영대학원, 2006.
  4. 강성민, 김태준, "온라인 게임에서 장르에 따른 사용자 이탈성향에 관한 연구", Entrue Journal of Infomation Technology, 7(1), 51-62, 2008.
  5. 권혁인, 최용석, "온라인 게임 시장에서의 이용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13(June), 59-68, 2008.
  6. 윤건우, 김원준, 유승호, "온라인 게임의 개인적 수용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9(3), 107-119, 2009.
  7. Rollings A., Adams E., "Andrew Rollings And Ernest Adams on Game Design", New Riders Games, 2003.
  8. 박찬일, 양해승, 양해술, "게임의 장르별 재미요소",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7(12), 20-29, 2007.
  9. 김정훈, "컴퓨터 게임 개론", 서울:정익사, 2008.
  10. Gehan E.A. & Siddiqui M.M., "Simple regression methods for survival time studies", Journal of the American Statistical Association, 68, 848-856, 1973. https://doi.org/10.2307/2284511
  11. Lee E.T. & Wang J.W., "Statistical Methods For Survival Data Analysis", 3rd Edition, NewYork: John Wiley, 2003.
  12. Klein J.P. & Moeschberger M.L., "Survival Analysis: Techniques for Censored and Truncated Data", 2nd Edition, Newyork: Springer, 1997.
  13. Haykin S. & Veen B.V., "Signals and Systems", 2/e, NewYork: John Wiley, 2003.
  14. 류성일, 박선주, "모수적 모형과 푸리에 해석을 이용한 온라인 게임의 지표분석 및 예측방법", 한국경영정보학회 학술대회, Vol. 2009, No. 2, 2009.
  15. Cooley J.W. & Tukey J.W., "An algorithm for the machine calculation of complex Fourier series", Mathematics of computation, 19, 297-301, 1965. https://doi.org/10.1090/S0025-5718-1965-0178586-1
  16. Brigham E.O., "The Fast Fourier Transform and Its Application", New Jersey: Prentice Hall,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