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Properties of High Blaine Cement for Shotcrete

숏크리트용 고분말도 시멘트의 특성

  • 김재영 ((주)성신양회 기술연구소) ;
  • 김특준 ((주)성신양회 단양공장 품질관리부) ;
  • 이민석 ((주)성신양회 단양공장 품질관리부) ;
  • 유동우 (군산대학교 재료공학과)
  • Received : 2010.04.01
  • Accepted : 2010.07.04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get basic information about properties of high blaine cement for shotcrete use. Particle size distribution, setting time and compressive strength test, analysis like as SEM, DSC thermal analysis, XRD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principle properties of high blaine cement. Setting time of high blaine cement was shorter and compressive strength was higher than those of ordinary portland cement (OPC). Results of analysis showed early hydration products of high blaine cement is smaller and spread widely due to increased specific surface. From the SEM observation and analysis of DSC and XRD results, it was seen that the aluminates accelerators promoted calcium aluminium hydrates while the alkali free accelerators increased ettringite and monosulfates formation. Strength and setting time measurement of cement paste with aluminate accelerator is more effective than the alkali free accelerator in reducing the setting time and increasing early strength while alkali free accelerator is more effective in increasing the strength after 7 days.

이 연구에서는 숏크리트에 적용하기 위한 고분말도 시멘트의 기본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고분말 시멘트의 주요특성을 연구하기 위하여 입도분포, 응결시간, 압축강도를 측정하였으며, SEM 관찰, DSC 열분석, X선 회절분석을 실시하였다. 고분말도 시멘트는 일반 포틀랜드 시멘트와 비교하여 응결시간이 크게 단축되었으며 압축강도가 개선되었다. 기기분석 결과 고분말도 시멘트는 초기수화물이 보다 미세하고 광범위하게 분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러한 결과는 시멘트의 분말도가 상승함에 따라 시멘트 입자와 물과의 접촉면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SEM 관찰, DSC 열분석, X선 회절분석 결과 알루미네이트계 급결제는 칼슘알루미늄 수화물의 생성을 촉진하고,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는 에트린자이트와 모노설페이트의 생성을 증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페이스트 응결시간 측정으로부터 알루미네이트계 급결제와 알칼리프리계 급결제가 응결시간을 단축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고분말도 시멘트는 압축강도가 크게 향상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알루미네이트계 급결제는 응결시간 단축에 효과적이며, 알칼리프리계 급결제는 7일 이후의 강도증진에 효과적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신진용, 김재영, 홍지숙, 서정권, 노재성, “시멘트 계에서 액상 숏크리트용 급결제의 수화 특성에 관한 연구,”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7권, 6호, 2005, pp. 1011-1018. https://doi.org/10.4334/JKCI.2005.17.6.1011
  2. 원종필, 김황희, 장창일, 이상우, “대형 지하공간의 영구 지보재로서 고성능 숏크리트의 내구 특성,”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9권, 6호, 2007, pp. 701-706.
  3. 김진철, 류종현, “숏크리트용 급결제를 첨가한 시멘트 모르타르의 응결 및 강도 특성,” 콘크리트학회 논문집, 16권, 1호, 2004, pp. 70-78.
  4. 박해균, 이명섭, 김재권, “영구 숏크리트 터널 라이닝 구축을 위한 고성능 숏크리트 개발(I) -Alkali Free 급결제 적용성 검토,” 콘크리트학회지, 15권, 3호, 2003, pp. 66-73.
  5. ASTM C 1102, Standard Test Method for Time of Setting for Portland-cement Pastes Containning Quick-Setting Accelerating Admixtures for Shotcrete by the Use of Gillmore Needles, ASTM, USA, 1994, pp. 587-588
  6. 송종택, 김재영, 전준영, “분말도가 포틀랜드 시멘트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세라믹학회 논문집, 36권, 1호, 1999, pp. 77-81.
  7. Zhang, Y. M. and Naipier-Munn, T. J., “Effects of Particle Size Distribution, Surface Area and Chemical Composition on Portland Cement Strength,” Powder Technology, Vol. 83, 1995, pp. 245-252. https://doi.org/10.1016/0032-5910(94)02964-P
  8. 박해균, 이명섭, 김재권, 이철우, “영구 숏크리트 터널 라이닝 구축을 위한 고성능 숏크리트 개발(II)-시멘트 광물계 분말형 급결제를 사용한 습식 숏크리트 시공,” 콘크리트학회지, 15권, 4호, 2003, pp. 36-40.
  9. Wombacher, P. F. and Bohni, H., “The Influence of Alkali-Free and Alkaline Shotcrete Accelerators within Cement Systems-I. Characterization of the Setting Behavior,” Cement & Concrete Research, Vol. 31, 2001, pp. 913-918. https://doi.org/10.1016/S0008-8846(01)00509-9
  10. Prudencio, L. R. Jr., “Acceleration Admixtures for Shotcrete,” Cement and Concrete Composites, Vol. 20, 1998, pp. 213-219. https://doi.org/10.1016/S0958-9465(98)80007-3
  11. 김특준, 김인섭, 추용식, 이종규, “Aluminium Sulfate계 Alkali-free 급결제의 영향,” 한국콘크리트학회 봄학술대회 논문집, 15권, 1호, 2003, pp. 731-7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