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echnology Level Evaluation Based On Technology Growth Model and Its Implication - In Case of 'Biochip and Biosensor Technology'

기술성장모형에 기반을 둔 기술수준평가 결과 및 시사점 - 바이오칩.센서기술을 중심으로

  • 한민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술예측센터) ;
  • 김병수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기술예측센터) ;
  • 유지연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정책기획실) ;
  • 변순천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인재기반실)
  • Received : 2009.12.24
  • Accepted : 2010.04.2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In this paper, we analyze the result of the Technology Level Evaluation of 'Biochip and biosensor (BB) Technology' consisted of 3 sub-categorized technologies; biochip sensing (BS), lab on a chip and high-efficient customized health care technology. As an analysis tool, authors used a delphi (a repeated survey) and dynamic methodology with technology growth model to overcome limits of previous evaluations. As a result, levels of BB were evaluated 51.5% (Korea) and 75.1% (US), and the technology gap between two countries was 6.1 yrs. In 2013, these levels were expected to change to 60.1% (Korea), 78.4% (US) and 4.3 yrs, respectively. In comparison with other biotechnology, the gap of BB was smaller and expected to catch up with US faster. In the case of sub-categorized technologies, they showed the smallest gap and would have faster catch-up speed than other sub-categorized technologies in the Biotechnology field. Based on the result of the survey, relative superiority of BB in Korea was originated from competent researchers and research fund, but weak basic science would be weak points. We think that BB's characteristic as an emerging technology and concentrated research activities on BB are additional strong points. This research proposes the supporting and supplemented points to promote the BB in Korea.

2008년 기술수준평가 대상기술 중 하나인 '바이오칩 센서기술'은 바이오 분야의 중점과학기술로서 세 가지 세부기술로 구성되어있다. 본 평가에서는 앞선 다른 수준평가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델파이와 함께 동태적 방법론(기술성장모형)을 분석틀로 사용하였다. 그 결과 바이오칩 센서기술은 '궁극의 기술'을 기준으로 한국 51.5%, 최고선진국(미국) 75.1%, 두 국가의 기술격차는 6.1년으로 분석되었으며, 5년 후에는 각각 60.1%, 78.4%, 4.3년이 될 것으로 예측되었다. 바이오 분야의 다른 기술과 비교했을 때, 해당 기술은 수준격차가 상대적으로 작았으며, 격차 역시 빠르게 좁혀질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특징은 세부기술 수준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설문 분석 결과 해당 기술의 강점은 전문인력 및 연구자금의 효과에 기인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초지원의 미비가 취약한 측면으로 지적되었다. 그 외에 이 기술이 상대적으로 신흥 분야이며, 집중적인 연구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는 점 역시 높은 기술 수준의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바이오칩 센서 기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이러한 강점을 더욱 지원하고, 약점을 보완하는 정책 방안이 필요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8), 국가연구개발사업 중강기 발전전략,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 교육과학기술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9), 2008년 기술수준평가 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3. 국방기술품질원 (2008), 2007 국방과학기술조사서, 서울: 국방기술품질원.
  4. 국방기술품질원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9), 기술수준조사 조사항목 지표 최적화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5. 과학기술부 & 기상청 (2006), 기상기술력수준 종합평가,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6. 과학기술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6), 2005년도 기술수준평가보고서,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7. 과학기술부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7), 국가 R&D사업 Total Roadmap,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8. 김병수, 변순천, 한민규, 유지연, 임용환 (2009),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기술수준평가 : 차세대무기개발기술 사례",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하계학술대회.
  9. 김병수 외 (2010), 기술성장모형에 기반한 기술수준평가방법론 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0. 박병무 (2007), "동태적 기술수준 측정 방법에 대한 이론적 접근: 차세대 성장동력기술의 사례분석", 기술혁신학회지, 10(2) : 654-686.
  11. 박용태 (2006), 차세대 기술혁신을 위한 기술지식경영, 서울: 생능출판사.
  12. 변순천, 유지연, 손석호(2008), "기술성장모형을 활용한 동태적 기술수준평가방법", KISTEP 이슈 paper 2008-13,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3. 산업연구원 (2007), 한국 제조업의 업종별 기술수준 및 개발 동향, 서울: 산업연구원.
  14.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2009), 2009년 생명공학기초통계, 대전: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15. 정보통신연구진흥원 (2008), 2008년도 IT분야 기술수준조사 보고서, 대전: 정보통신연구진흥원.
  16.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03), 국가과학기술기획을 위한 기술예측 및 기술수준조사연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7.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0), IMD 2009 세계 경쟁력 연감 분석 - 과학 및 기술인프라 중심, 서울: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8. 한국산업기술평가원 (2006), 2006년 산업기술수준 조사.분석, 서울: 한국산업기술평가원.
  19. Andrew, D.L., Colin, J.C., Edward, K.W. and Peter, G. (2005), "Biochip sensors for the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viral disease", Genome Biology, 6(112): 112.1-112.5..
  20. Byeon, S.C., Ryu, J., Son, S., Choi, K.H., Hwang, K., Kim, B.S., Kim, Y.G. (2009), "Research on the Technology Level Evaluation Methodology using a Technology Growth Model", PICMET 2009 conference, Portland, USA.
  21. The IMD World Competitiveness Yearbook: 2009, NISTEP Repost No. 73.
  22. Martino, J. (1993), Technology Forecasting for Decision Making (3rd ed), New York: Mc Graw Hill.
  23. NISTEP (The Japanese National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2004),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 2004, NISTEP Repost No. 73.
  24. Rand Corporation (2008), U.S. Competitiveness in Science and Technology, Santa Monica: Rand Corporation.
  25. Schmookler, J. (1996), Invention and Economic Growth, Harvard University Press.
  26. Solow, R. (1957), "Technical Change and the Aggregate Production Function", Review of Economics and Statistics, 39(3): 312-320. https://doi.org/10.2307/192604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