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중.소하천의 계획홍수량 변화 분석

Analysis of Design Flood Change for the Small to Medium Size Rivers in Gyeonggi-do

  • 박선희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원진영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송주일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 윤세의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투고 : 2010.02.03
  • 심사 : 2010.03.16
  • 발행 : 2010.04.30

초록

하천기본계획은 10년마다 재수립되고 있다. 경기도 지역의 중 소하천 중 최근 3년간 하천기본계획이 재수립 된 62개 중 소하천에 대하여 유역의 특성을 조사하고, 과거와 현재의 계획홍수량 및 계획강우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계획강우량이 감소한 유역 중에는 계획홍수량이 증가한 유역이 존재하였고, 이를 홍수량 재산정시의 유역자료 및 산정방법의 변화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하고, 건건천 등 6개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자료 및 산정방법의 변화에 따른 홍수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계획홍수량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임계지속시간과 임의시간의 적용 그리고 유출곡선지수(CN)증가로 나타났고,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강우 시간분포형 중 Huff의 4분위법 적용과 면적감소계수(ARF)의 적용이었다. 계획홍수량 산정 시 임계지속시간 적용은 홍수량을 평균 60%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강우의 시간분포형을 Mononobe방법에서 Huff의 4분위법으로 하였을 때 평균 62%정도 홍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어 임계지속시간 적용과 강우 분포형의 변화가 홍수량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향인자들에 의한 홍수량 변화 경향이 유역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분석되어 영향인자들과 홍수량 변화 사이에는 상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유역별로 지형, 기상, 수문수리학적 특성치가 상이하기 때문으로, 결국 홍수량 변화는 이러한 인자들의 복합적 작용에 의해 변화하게 되므로 특정 하천지점에서 계획홍수량을 채택할 경우 보다 합리적인 방법들로 재 산정된 홍수량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The river master plan was established every 10 years in Korea. The basin characteristics of 62 small and medium size rivers of which master plans were recently established during the past three years in Gyeonggi-do were investigated, and design rainfalls and design floods in the past and the latest were compared and analyzed. It was predicted that basin data and flood estimating method changed design flood. The quantitative amount of design floods were analyzed for 6 basins like Gungunchen etc. As the results, the increasing factors of design flood were the application of critical duration time, temporal time of rainfall and the increase of CN value. The decreasing factors of design flood were the application of Huff's rainfall distribution instead of Mononobe one and the ARF. The application of critical duration time increased flood about 60% whereas the application of Huff's rainfall distribution method estimated less flood than Mononobe about 62%. Considering critical duration time and changing rainfall distribution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of increasing or decreasing design flood. However, trends of flood variation were differently analyzed by factors in 6 basins because characteristics of topography, weather, hydrology and hydraulic were different, now that correlations were not found between factors and flood variation. Flood variation is evaluated by complex effects of factors so new flood recalculated by reasonable methods should be considered as design flood.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 (2000)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제1권 한국확률강수량량도 작성.
  2.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0) 지역별 설계 강우의 시간 분포 연구보고서.
  3. 건설교통부 (2006)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지역적 설계 강우의 시간적 분포.
  4. 경기도 (2006a) 반월천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5. 경기도 (2006b) 벽계천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6. 경기도 (2006c) 오산천수계 하천기정비기본계획(변경) 보고서.
  7. 경기도 (2006d) 진위천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8. 경기도 (2008a) 성덕천등4개 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9. 경기도 (2008b) 청미천수계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10. 박기범, 김교식, 황성환, 차상화 (2006) 지형학적 인자에 따른 설계홍수량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182-1186.
  11. 박기범, 김교식, 황성환, 차상화 (2006) 지형학적 인자에 따른 설계홍수량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182-1186.
  12. 양동률 (1981) 유역특성으로부터 확률홍수량의 유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정대명 (2003) 시간-면적곡선의 유역유출해석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6권, 제2호, pp.211-221.
  14. 정승민 (2004) 유출곡선지수에 따른 홍수량 민감도 분석 : 흑천유역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정종호, 윤용남 (2007) 수자원설계실무
  16. 조국광, 권순국 (1990) 하천홍수량의 지역화를 위한 일반화회귀모 형의 개발, 한국수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79-87.
  17. Centre for Ecology & Hydrology (1999) Flood Estimation Handbook.
  18. NERC (1975) Flood Studies Repor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