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termination of the Allowable Load for Trussed Web Beam

트러스웹을 가진 보의 허용하중 산정

  • 김명한 (대진대학교 건축공학과)
  • Received : 2010.03.17
  • Accepted : 2010.03.22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e efficient beam members for modern greenhouse need to be much lightweight with the required flexural and buckling strength.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and practicality of the trussed web beam recently proposed for column and beam members of greenhouse, the flexural behavior and buckling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the finite element approach. On the basis of analytical studies, the member design process was presented considering the lateral and local buckling behavior. Also, two improved alternatives which were capable of retaining the lateral and local buckling effectively were suggested.

유리온실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보는 최대한 가벼운 중량을 유지하면서, 요구되는 휨모멘트 강도와 좌굴 강도를 만족시켜야 한다. 이 연구에서는 유리온실의 보 및 기둥 부재로 최근에 제안된 트러스웹을 가진 보의 실무적인 적용성을 확립하기 위해서 휨거동과 좌굴거동을 해석적으로 분석하였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횡좌굴 및 국부좌굴을 고려한 부재설계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또한 유한요소 해석결과를 바탕으로 횡좌굴 혹은 국부좌굴을 지연시킴으로서 단면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오명호, 김용석 (2009) 경량H형강을 이용한 유리온실의 구조시스템 개발,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제 11권 제2호, pp.211-218.
  2. 오명호, 김용석 (2010) 선설계기법을 이용한 장경간 유리온실 구조시스템 개발, 한국방재학회논문집, 제10권 제1호, pp.1-7.
  3. 동부제철 (2009) 온실용 기둥, 특허출원, 제2009-0011063호.
  4. 농림부, 농어촌진흥공사 (1997) 한국형 유리온실 표준설계도.
  5. 이석건 (2007), 온실의 자재절감 및 안전성 향상을 위한 최적 모 델 및 설계시스템 개발, 농림부 연구개발보고서, 경북대학교.
  6. 도병호 (2007) PEB (Pre-Engineered Metal Building) System 설계 검토, 건축구조기술사회지, 건축구조기술사회, 제14권 제 1호, pp.39-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