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actical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through an Application of Landscape Urbanism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 관점에서 본 도시재생 전략 연구

  • Cho, Se-Hwan (Dept. of Urban Design and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 Hanyang University)
  • 조세환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도시설계.조경학과)
  • Received : 2010.05.18
  • Accepted : 2010.06.2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propose practical strategies for the new urban ideal of regeneration. A book review highlights the emergence of new trends of urbanization in knowledge-information industrial society beyond the new town Ideal of the industrial society. The meaning of ‘landscape’ in landscape urbanism represents not the visual and decorative pictures, but the dynamic process in the context of changes and evolutions. Also, knowledge-information industrial society and landscape have a meaning in the same context of flow and process with changes of velocity. Finally, these key words convey a meaning with the new urban trends of urbanization in knowledge-information industrial society in the context of value-oriented characteristics of dynamics and process. Urban regeneration is emerging as the new urban ideal in the knowledge-information industrial society, beyond the new town ideal of industrial society. It is in the same context as landscape urbanism with respect to green infrastructure buildings and designs for the transformation of urban surfaces covered with concrete and asphalt into the ecological surface, and of the ecological surfaces into the cultural surface that could be communicated with human beings. This research revealed the six strategies for urban regeneration as follows. The First, the strategies for the transformation of urban surfaces into ecological surfaces, the second, the strategies for the transformation of ecological surfaces into cultural surfaces, the third, the introduction of mixed and convergence land use, the forth, the transformation of former sites(e.g. military and factory) into urban parks, the fifth, the introduction of waterfront park zones that have the function of ecological and park-oriented mixed land use and, the sixth, the building and design of green infrastructure in the residential and commercial complex in CBD. These strategies call for the reforms of development laws and regulations to restrict building coverage ratio, building heights, and the introduction of park-oriented mixed zoning regulations. Another method for implementating the above listed strategies was the introduction of a strategic planning system instead of the traditional master plan system. This system uses a value planning approach and brand making by imagery. It is able to construct the meaning of an image and its creativeness directly.

본 연구는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한 도시재생적 실천전략을 모색하기 위해 연구되었다. 특히,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산업사회를 넘어 지식정보산업사회의 도래와 함께 나타나는 도시화의 새로운 특성과 양상, 또 산업화시대의 신도시 이상을 넘어 도시재생이라는 새로운 도시 이상과의 상관성 맥락에서 도시재생에 어떻게 적용할 것인가의 관점에서 수행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에서의 랜드스케이프의 의미가 도시를 대상으로 시각적, 장식적 차원의 정태적 풍경이 아니라, 변화, 진화 등의 맥락에서 동태적 과정을 대상으로 하고 있고, 지식정보산업사회가 지식 정보의 흐름 등 가속적 변화와 과정적 특징을 보이며, 이러한 사회적 특징에 따라 도시화도 형태와 기능 중심에서 흐름, 네트워킹, 중심성과 결절성, 지표면 등의 개념으로 구성되는 가치지향의 과정적, 동태적 특성을 보인다는 점에서 이들 3자간에는 그 본질적 개념에 있어 상호 관통되고 소통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산업화시대의 도시화에 대한 반성으로서 21세기 새로운 도시이상으로서 대두되고 있는 도시재생은 본질적으로 아스팔트와 콘크리트로 점유된 도시 경관판을 그린 인프라 구축과 디자인이라는 맥락에서 생태판에 문화를 도입한 문화판으로 구축해야 한다는 당위성에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과 일정의 괘를 같이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을 적용한 8개의 도시재생전략으로는 도시가 자연과 역동적으로 소통하고 진화할 수 있는 생태판의 구축, 생태와 도시민과의 소통을 위한 생태판의 문화판으로의 전환, 주택 및 상업지역에서의 그린 인프라 구축 등의 관점에서, 건폐율 규제, 높이 규제 완화 등의 필요성이 제시 되었다. 또한, 도시이전적지의 공원화, 하천 등 도시워터프론트의 공원화 등의 전략에서 공원의 도시적 관입 및 확산과 더불어 공원혼합용도에 대한 도입이 논의되었다. 이러한 새로운 경관판을 형성하기 위한 실행전략으로 사회의 변화에 역동적으로 부응할 수 있는 전략계획제의 도입이 논의되었고, 특히, 이미지니어링을 통한 가치계획을 추구함으로써 기능중심의 도시화에서 가치창출과 브랜드형성 차원의 도시화로 진화시켜 나아가야 할 것을 제시하였다. 이 모든 전략을 위해 기존의 경관, 토지이용 등 건축 및 도시개발 관련 각종 제도가 개선되어야 할 것으로 제안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묵한, 박행웅, 오은주 역(2003)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Castell, Manuel, The rise of the network societ. 서울: 한울아카데미.
  2. 김옥연(2007) 복합용도개발지역 도입을 위한 우리나라 복합용도개발 실태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협동 학술대회(1): 223-2820.
  3. 김옥연(2007) 복합용도개발지역 도입을 위한 우리나라 복합용도개발 실태 분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춘계산학협동 학술대회(1): 223-2820.
  4. 맹치영, 조세환(2009) 군부대이전적지의 공원화 방향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7(2): 62-69.
  5. 박세훈(2004) 일본의 도시재생정책: 발전국가의 구조변화와 도시개발 정책.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9(2): 21-33.
  6. 박천보, 오덕성(2004) 해외 도심재생의 정책 및 제도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9(5): 25-38.
  7. 배기한(1999) 정보화 사회의 도시 공간구조 변화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배정한(2006) 현대조경셜계의 이론과 쟁점. 파주: 도서출판 조경.
  9. 서울특별시(2000) 서울 도심부 관리 기본계획: 도심부의 바람직한 관리를 위한 새로운 정책의 전개.
  10. 석혜준, 이만형(2006) 문화산업을 활용한 도시재생에 관한 연구. 대한 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177-185.
  11. 신동진(2007) 한국의 도시개발에서 새로운 패러다임의 방향 및 전망. 토지와 기술 19(3): 86-97.
  12. 신기철(1998) 정보네트워크 도시규범: 그 개념과 과제.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창립기념심포지엄 논문집.
  13. 오덕성, 김영환(2004) 지속가능한 도시형태 모형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9(2): 63-76.
  14. 오덕성, 박천보(2004) 독일의 도심재생을 위한 재개발사업 특성 고찰: 물리적 계획요소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0(4): 203-212.
  15. 이승주(2007) 도시재정비 촉진을 위한 특별법의 특례조항이 주택재개발 사업의 촉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서울시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42(3): 131-149.
  16. 조세환(2007) 도시재생과 조경정책. 한국조경학회 정책 심포지엄 논문집.
  17. 조세환(2008) 도시워터프론트의 랜드스케이프 어바니즘적 디자인 전략. 한국조경학회 심포지엄 논문집.
  18. 최덕철, 김광우, 정창무(2006) 영국도심재생 정책의 특징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슐대회 논문집. pp. 1261-1267.
  19. 황채훈, 박천보, 오덕성(2002) 국내 도심재생의 미시적 현상 해석.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정기학술대회 논문집. pp. 597-608.
  20. Cristina Hill(2005) 한양대학교 도시대학원 학술대회 논문집.
  21. Chales Waldheim(2003) The Landscape Urtanism Reader. London: Princeton Architectural Press.
  22. Henrik Valeu(2005) A New future for planning. The Architectural Magazine. Copenhagen.
  23. Peter Roberts and Sir Hugh Sykes(2000) Urban Regeneration: A Handbook. London: SAGE Publication Ltd.
  24. Yi-Fu Tuan(1974) Topophilia: a study of environmental perception attitudes. and values. New Jersey: Prentice-Hil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