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Daycare Teachers in Relation with the Practices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생태유아교육 실천과 보육교사의 특성 및 인식 간의 관계

  • Kim, Eun-Ju (Daycare Teachers Education Center, Changwon National Univ.) ;
  • Choi, Hye-Yeong (Dept. of Child Development and Family Studies, Changwon National Univ.)
  • 김은주 (창원대학교 보육교사교육원) ;
  • 최혜영 (창원대학교 아동가족학과)
  • Received : 2010.03.11
  • Accepted : 2010.06.1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eachers' practices of Eco Early Childhood Education (EEC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daycare teachers, and the impacts of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n their EECE practic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10 teachers who were worked at daycare centers in the Gyeongnam area of Korea. The teachers completed questionnaires concerning their perceptions and practices within the EE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tests, one-way ANOVA,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aycare teachers differed in their degree of EECE practices depending on their characteristics. 2) The daycare teacher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ir practices of EECE according to their perceptions. 3) The teachers'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ECCE explained their practices of EECE. Particularly, teacher educational levels and the perceptions of ECCE by teacher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heir practices.

Keywords

References

  1. 강숙현(2000). 발달에 적합한 실제에 대한 유아교사의 신념과 교육실제의 질적 수준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논문.
  2. 강은숙(1993). 발달적으로 적합한 유아교육 실제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3. 권성현(2006). 생태유아교육에 관한 학부모와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의 차이 연구. 경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송주(2007).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이 유아교사 및 유아의 친환경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수경(2000). 유아교육 실외놀이 실태에 관한 양적, 질적 분석-생태유아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접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수영(1992). 유치원교사의 교육신념과 교수행위에 관한 연구-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김성옥(2000). 생태중심 유아교육에 대한 교수 . 원장 및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은주(2003). 생태유아교육의 사상 체계 및 실천 원리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은주(2004). 생태유아교육의 교육원리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5), 167-186.
  10. 박숙현(2004).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실태 조사연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주연(2006).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 및 실천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은혜(2006).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13. 배경란(2006).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원장, 교사 및 학부모의 인식 비교.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신혜영(2004). 어린이집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와 효능감이 교사의 행동의 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5. 오복희(2000). 자연친화적 보육프로그램이 유아의 사회 . 정서발달에 미치는 효과 분석 우석대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16. 윤미라(2004). 보육교사들의 교육신념에 따른 교수-학습에 대한 연구.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이경혜(2008). 생태유아교육 실태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기숙(2008). 유아교육과정. 서울: 삼신문화사.
  19. 이소영(2008).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교사의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 관한 연 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영려(2004). 자연친화적 통합교육이 유아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숭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임갑빈 . 김순녀 . 박영란 . 이진수(2004). 자연친화 생태유아 교육프로그램. 서울: 양서원.
  22. 임재택(2006). 생태유아교육 프로그램 운영. 경기: 공동체.
  23. 임재택(2007). 생태유아교육개론. 개정판. 서울: 양서원.
  24. 장하나(2005). 생태유아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운영 실태.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수영(2007). 생태지향 유아교육에 기초한 바깥활동 실태 및 인식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혜영(2004). 아동의 또래상호작용과 교사의 신념 및 행동간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홍은주(2003). 자연환경구성활동의 교육적 의미 탐색.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8. 황인숙(2004). 생태적 접근에 의한 텃밭 가꾸기가 유아의 환경친화적 태도와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Blau, D. M. (2000). The production of quality in childcare centers: Another look.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4, 136-148. https://doi.org/10.1207/S1532480XADS0403_3
  30. Galinsky, E., Howes, C., Kontos, S. & Shinn, M. (1994). The study of children in family child care and relative care. N.Y.: Families and Work Institute.
  31. Kontos, S. J. (1994). The ecology of family day care.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9, 87-110. https://doi.org/10.1016/0885-2006(94)90030-2
  32. Kontos, S. J. & Fien, R. (1987). Child care quality, compliance with regulation, and children's development: The Pennsylvania Study. In D. A. Phillips (Ed.), Quality in child care: What does research tell us?(pp. 57-80). Washington, DC: NAEYC.
  33. NICHD Early Child Care Research Network(2000). Characteristics and quality of child care for toddlers and preschooler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Science, 4, 116-135. https://doi.org/10.1207/S1532480XADS0403_2
  34. Palmer. J.(1993). How Research is Informing Practice in Environmental Education. Environmental Education, 50, 33-34.
  35. Patton, M. Q.(1980). Qualitative evaluation and research method. Newbery Park, CA; Sage.
  36. Phillips, D. A., Scarr, S., and MacCartney, K. (1987). Dimensions and effects of child care quality: The Bermuda study. In D. A. Phillips (Ed.), Quality in child care: What does research tell us? (pp. 43-56).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37. Tarnner, T.(1980). Significant Life Experiences: A New Research Area in Environmental Education.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11 (4), 20-24. https://doi.org/10.1080/00958964.1980.99413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