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ooth surface caries patterns in the primary dentition according to breast or bottle feeding. The subjects of study were 815 children, 36 to 71 months old, in Iksan, Cheongju and Ulsan cities. The caregivers of the children were asked which they fed between the breast milk and the infant formula during the 1st year after birth and the duration of feeding.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mfs between the breast milk group and the infant formula group(significance level 0.05, same below). Tooth groups, tooth surface groups, teeth, and tooth surfaces which had significantly higher dmfs in the breast milk group than in the infant formula group were upper anterior teeth(tooth groups), upper incisors' buccal and proximal surfaces(tooth surface groups), upper incisors and upper second molars(teeth), upper central incisors' buccal and distal surfaces, upper lateral incisors' buccolingual and proximal surfaces, upper 2nd molars'lingual, proximal, and occlusal surfaces, and lower 2nd molars' buccal and distal surfaces. In the breast milk group, tooth groups, tooth surface groups, teeth, and tooth surfaces which dmfs significantly increased as the duration of the feeding increased were upper anterior teeth and upper molars(tooth groups), upper anterior teeth's proximal surfaces, upper molars' buccolingual, proximal, and occlusal surfaces, lower molars' proximal surfaces(tooth surface groups), upper anterior teeth, upper molars, lower 2nd molars(teeth), upper anterior teeth's proximal surfaces, upper 1st molars'buccolingual, proximal, and occlusal surfaces, upper 2nd molars' buccal surfaces, and lower 2nd molars'mesial surfaces(tooth surfaces). In the infant formula group, dmfs increased after 3 years of feeding,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Caries prevention is necessary in case of breastfeeding more than two years.
연구목적은 모유 또는 분유 섭취 시 나타나는 유치열의 치면별 우식패턴에 차이가 없으며 수유기간에 따른 차이도 없다는 가설을 검증하는 것이었다. 익산시, 청주시, 울산광역시의 36-71개월 어린이 815명을 대상으로 구강검사로 치면별 우식경험도를 조사하고, 보호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법으로 모유와 분유 중에서 생후 1년간 주로 수유한 것과 수유 기간을 조사하였다. 모유군과 분유군 간 우식경험유치면수(dmf)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모유군에서 분유군보다 우식경험도가 더 높았던 유치군은 상악 유전치이었고, 유치면군은 상악 유전치 협설면과 인접면이었으며, 유치는 상악 유절치와 상하악 제2유구치이었고, 유치면은 상악 유중절치의 협면과 원심면, 상악 유측절치의 협설면, 인접면, 상악 제2유구치의 설면, 인접면, 교합면, 하악 제2유구치의 협면, 원심면이었다. 모유군에서 수유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우식경험유치면수가 증가한 유치군은 상악 유전치와 상악 유구치이었고, 유치면군은 상악 유전치의 인접면, 상악 유구치의 협설면, 인접면, 교합면, 하악 유구치의 인접면이었으며, 유치는 상악 유전치, 상악 유구치, 하악 제2유구치이었고, 유치면에서는 상악 유전치의 인접면, 상악 제1유구치의 협설면, 인접면, 교합면, 상악 제2유구치의 협면, 하악 제2유구치의 근심면이었다. 분유군에서는 수유기간 3년 이상에서 우식경험유치면수가 증가하였으나 차이가 유의하지 않았다. 수유와 관련되어 발생하는 상악 유절치의 중증 유아기 우식증은 분유를 수유하는 경우보다 모유를 수유하는 경우에 더 많이 발생하였다. 모유 수유를 2년 이상 하는 경우에는 상악 유절치의 우식 예방을 위한 조치가 필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