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Selection of New Town Area Using GIS -in Mongolia -

GIS를 이용한 신도시개발 가능지역 선정 연구 -몽골지역을 대상으로-

  • 최병길 (인천대학교 도시과학대학 건설환경공학과) ;
  • 나영우 (인천대학교 공과대학 공학기술연구소)
  • Received : 2010.04.12
  • Accepted : 2010.04.20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research into a plan for the spatial design on the major facilities in new-town region in Mongolia by using the spatial analytical technique in GIS. In case of Mongolian region, the demand for new-town development is rapidly increasing around Ulaanbaatar, where is the capital. On the other hand, the adequately relevant ground or the spatial-design technique is failing to be applied. This study extracted the region available for developing new down by using spatial analytical technique in GIS, and researched into the spatial-design plan for housing complex, filtration plant, sewage disposal plant, power plant, general park, crematory. The housing complex in the targeted region could be known to be adequate to be positioned around watercourse and road. It could be known to be adequate for filtration plant, which is the source of drinking water, to be located in the upper-stream region of a river, which is secured good quality of water, and for sewage disposal plant to be located in the lower-stream region available for minimizing occurrence of contamination. It is judged to be required for a proposed site of power plant to be located in the upper-stream region, for the park unit, which is space of the living culture, to be repaired and expanded the existing facilities, and for traffic network to be expanded through predicting demand along with new-town development. It is judged to be probably needed to be reflected even the flexible aspect for changing design through surveying the feasibility and economic efficiency on the future spatial design.

본 연구의 목적은 GIS의 공간분석기법을 이용하여 몽골지역의의 신도시 가능 지역에 대한 공간설계 방안을 연구하는데 있다. 현재 몽골 지역의 경우 수도인 울란바토르 주변으로 신도시 개발의 요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반면 마땅한 관련근거나 공간설계기법이 적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GIS의 공간분석 기법을 이용하여 신도시 개발가능지역을 추출하고, 주거단지, 정수장, 하수처리장, 발전소, 종합공원, 쓰레기 소각장 등에 대한 공간설계 방안에 대하여 연구 하였다. 대상지역에서 주거단지는 하천 및 도로주변에, 식수원인 정수장의 경우 양질의 수질이 확보된 하천 상류 지역에, 하수처리장의 경우 오염발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하류지역에, 발전소는 상류지역에 입지하고, 생활 문화 공간인 공원단지는 기존 시설을 보수, 확장하도록 설계 하였다. 교통망의 경우 신도시개발과 더불어 수요예측을 통하여 확충 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공간 설계에 대한 타당성 및 경제성 조사를 통하여 설계 변경을 위한 탄력적인 면도 반영이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남신 (2007), GIS실습, 한울아카데미, pp. 1-240.
  2. 김승곤 (1994), 택지개발가능지역 분석을 위한 GIS 응용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1-132.
  3. 김형선 (2008), 신도시 개발론, 부연사, pp. 1-132.
  4. 대한주택공사 (1991), 산본신도시 도시설계, 대한주택공사, pp.5-36.
  5. 대한주택공사 (1991), 수도권 5대 신도시건설현황, 대한 주택공사 학술정보, pp. 1-252.
  6. 박기조 (1997), 신도시계획에 있어서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국토 계획, Vol. 32, No.1, 대한 국토 . 도시계획 학회, pp.27-52.
  7. 박은관, 최병남, 김대종(1998), 토지이용 계획을 위한 GIS활용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pp.1-257.
  8. 안정근 (2001), 도시개발 계획과 설계, 대한주택공사, pp.1-140
  9. 안정근, 안상욱, 오인택, 김희범, 이영은, 이태현 (2003), 도시계획 지원을 위한 GIS DB 구축 방안 연구, 주택 도시 연구원 연구성과 발표회 논문집 2, pp. 35-43.
  10. 양동양, 김경석 (1994), 시설입지 결정에 GIS의 적용방법에 관한 연구, 한국국토계획학회, pp. 1-33.
  11. 이효계 (1997), 평촌신도시 개발사, 한국토지공사, pp. 31-73.
  12. 이희연 (2003), GIS : 지리정보학, 법문사. pp. 1-52.
  13. Environmental Systems Research Institute (2001), ArcGIS Geostatistical Analyst : Statistical Tools for Data Exploration, Modeling and Advanced Surface Generation, ESRI, pp. 5-367.
  14. Thomas M. L., Kicfer, R.W. and Chipman, J. W. (2007), Remote Sensing and Image lntegration, John Wiley & Sons, pp. 1-7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