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tilizing SPOT-5 Satellite Data for Present State Analysis of Irrigation Reservoirs of the Yeseong River Basin

예성강 유역의 저수지 현황 분석을 위한 SPOT-5 위성자료의 이용

  • 이진덕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이병환 ((주)한국아이엠유 연구소) ;
  • 송영석 (한국농어촌공사 여주이천지사 지역개발팀)
  • Received : 2010.03.30
  • Accepted : 2010.04.26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In order to prepare the interchange between and the unification of North and South Korea, it is needed to establish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irrigation reservoirs and formulate technological and political directions for preparing effectively against the demand of agricultural countermeasure information like the analysis of rural comprehensive development projects and the present state of agricultural land of North Korea.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nstruct the database of agricultural productive infrastructures and analyze the present state of irrigation reservoirs of the Yeseong River Basin in North Korea using SPOT-5 satellite imagery. As a result of the research, we were able to not only design classification items but establish method and precedure for producing thematic maps related agricultural productive infrastructure without on-site survey by analyzing present condition related to agricultural water of the basin. And we intend to provide basic data for analyzing suitabile locations of irrigation reservoirs in the basin by performing basin extraction, volume evaluation of the existing reservoirs, scale cultivative lands, benefit area fo the reservoirs, and the existing agricultural water system. In addition, we were able to understand the problem and limit in constructing the database related agricultural productive facilities.

북한의 농업용 저수지 개발방향을 설정하고 농촌종합개발사업 및 농지현황분석 등 농업대책정보 수요에 보다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도록 기술적, 정책적 방향을 수립하는 것은 남북교류 및 통일을 대비하여 중요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SPOT-5 위성영상을 처리하여 북한 예성강 유역내 농업생산기반 DB를 구축하고 농업용 저수지 현황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결과, 현장방문조사가 불가능한 예성강유역의 농업용수관련 현황을 분석하여 분류항목을 설계하고 아울러 실제 농업생산기반관련 주제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절차를 정립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유역추출, 기설 저수지 용적계산, 전답의 규모 및 수혜지역(생산지역) 범위 설정, 기존의 농업용수체계 등을 조사하여 농업용 저수지의 개발적지 분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또한, 북한지역의 농업생산기반 DB 구축시 문제점과 한계를 파악할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기성(1999), 북한 밭기반 정비 및 경사지 복구 협력방안, 통일문제연구 31집, 평화문제연구소, pp.22-40.
  2. 사공호상, 서기환, 한선희(2006), 북한지역의 국토이용 실태조사연구, 국토연2006-38, 국토연구원.
  3. 송영석(2007), 북한의 농촌용수 이용실태 분석과 개발가능량 산정 연구,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4. 이강열(1997), 인공위성자료 분석에 의한 북한 서해안 간척현황, 제3회 북한농업기반 국제세미나, 농어촌진흥공사 농어촌연구원.
  5. 이승호, 홍석영, 임상규, 이정철, 김이현(2008), 위성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농업환경 분석 I. Landsat TM 영상을 이용한 북한의 지형과 토지피복분류, 한국환경농학회지, 한국환경농학회, 제 27권 제 2호 pp.120-132.
  6. 이정철(2004), 북한의 농업용수개발 및 이용실태, 통일과 국토, 한국토지공사, 통권 제 13호, pp.56-65.
  7. 이진덕, 이성순, 정태식(2006), SPOT-5 HRG 스테레오 영상으로부터 지형정보 추출,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지, 한국지형공간정보학회, 제 14권, 제 4호, pp.61-70.
  8. 한국농촌공사(2006), 북한의 농업용저수지 개발방향 설정에 관한 연구( I ).
  9. 한국수자원공사(1998), 북한 수자원 조사 연구.
  10. 조선지리전서: 물자원(1993), 평양 사회과학출판사.
  11. Jensen, J. R.(1983), Urban/suburban land use analysis, In Manual of Remote Sensing. Second Edition. edited by R. N.
  12. Paulsson, B.(1992), SPOT Data for Urban Land-Cover Mapping and Road. Map Revision. Intemational Archives of Photogrammetry and. Remote Sensing 29, B4, pp. 352-3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