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 of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o Shopping Support System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한 상품구매 지원 시스템

  • 이동천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공학과) ;
  • 윤성구 (세종대학교 지구정보공학과)
  • Received : 2009.12.23
  • Accepted : 2010.04.11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Spatial information and smart phone technology have made innovative improvement of daily life. Spatial and geographic information are in practice for various applications. Especially, spatial information along with information and telecommunication technology could create new contents for providing services for convenient daily life.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recently, is not only for acquiring location and attribute data but also providing tools to extract information and knowledge systematically for decision making. Various indoor applications have emerged in accordance with demands on daily GIS(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This paper aims for applying spatial information technology to support decision-making in shopping. The main contents include product database, optimal path search, shopping time expectation, automatic housekeeping book generation and analysis. Especially for foods, function to analyze information of the nutrition facts could help to improve dietary pattern and well-being. In addition, this system is expected to provide information for preventing overconsumption and impulse purchase could help economical and effective purchase pattern by analyzing propensity to consume.

공간정보기술과 스마트폰의 발전으로 인하여 위치를 기반으로 하는 인간생활이 획기적으로 향상되고 있다. 공간정보 및 지리정보는 여러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특히 정보통신기술(IT)과 접목하여 다양한 콘텐츠와 실생활에 편리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최근 공간정보기술은 단순히 위치와 속성데이터를 획득하고 제공하는 수준에서 벗어나 사용자가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체계적으로 생성하고 이를 서비스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하고 있다. 특히 생활 지리정보의 요구분야가 확대되면서, 실내공간의 다양한 응용분야가 창출되고 있다. 본 논문은 실내공간에서 행하지는 상품 구매활동에 요구되는 의사결정을 지원하기 위하여 공간정보기술을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의 주요 내용은 상품의 유용한 정보를 포함하는 상품 데이터베이스 구축, 상품 구매의 최적 이동경로 결정 및 구매시간 예측, 구매상품 자동기록 및 분석이다. 특히 식품에 대한 영양성분을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식생활 개선과 웰빙을 추구할 수 있으며, 소비성향을 분석하여 과소비 및 충동구매를 방지하여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소비생활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세종대학교

References

  1. 권혁진 (2002), 최적의 상품 구입처 제공 방법,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번호:특 2002-0060441.
  2. 송효섭 (2007), GPS를 이용한 물품위치 안내기능 제공방법 및 시스템, 대한민국특허청, 공개번호:10-2007-0066579.
  3. Black, P. (2005), U.S. NatìonaI Instìtute of Standards and Technology, http://www.ìtl.nist.gov/dìv897/sqg/dads/ HTML/greedyalgo.html
  4. Gutìn, G., Yeo, A. and Zverovich, A. (2002), Travelìng Salesman Should not be Greedy: Domìnatìon Analysis of Greedy-Type Heuristics for the TSP, Discrete Applied Mathematics, No.117, Vol.1 -3, pp. 81-86. https://doi.org/10.1016/S0166-218X(01)00195-0
  5. Hertz, J., Krogh, A. and Palmer, R. (1991),Introduction to the Theory of Neural Computation, Addition-Wesley Publishing Company, Redwood City, CA, p. 327
  6. Johnson, D. and McGeoch, L. (1995), The Traveling Salesman Problem: A Case Study in Local Optimization, http://www2.research.att.com/-dsj/papers/TSPchapter.pdf, pp.16-24.
  7. Rich, E. (1983), Artificial Intellígence,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NY,p.4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