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김옥경 (1990). 고등학교 수학에서 발생하는 수학적 오류의 분류모델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김효영 (2007). 무리수의 개념과 성질 및 계산 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 분석 - 중학교 3학년 대상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박선화(1998). 수학적 극한 개념의 이해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신경희 (2004). 선형대수에서의 학생들의 오개념-일차변환을 중심으로, 수학교육논문집, 19(2), pp.343-361.
- 오정현 (1996). 중학교 함수영역에서 발생하는 수학적 오류에 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우정호 (2000). 학교수학의 교육적 기초,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 우현철 (2003). 이차방정식과 부등식 문제해결과정에서 나타나는 오류원인 분석과 교정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정은․김원경(1999). 중학생들의 일차방정식에 관한 문장제 문제 해결 전략 및 오류 분석,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 A <수학교육>, 38(1), pp.77-85.
- 이종희․김부미(2006). 일차방정식에서 오류 탐지-교정학습법의 교수학적 효과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0(2),pp.222-247.
- 이종희․김윤영․김선희․김부미․김기연 (2002). 중학생의 수학적 오류 분석 및 교수학적 처방을 위한 학습지도 방법 개발. 교과교육 연구 활성화 방안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 김한나 (2005). 역행렬의 일반화로서의 유사 역행렬 도입과 그의 효과적인 지도방법. 상명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조미정 (2003). 비판적 사고력과 증명능력과의 관계와 증명방법에 대한 분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 최지선 (2003). 중등학교 수학학습에서 나타나는 오개념에 대한 고찰.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Babbitt, B. C. (1990). Error patterns in problem solving. Paper presented at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Council for Learning Disabilities. Austin, TX. ERIC No. ED 338500. pp.1-11.
- Brousseau, G. (1997). Theory of Didactical Situations in Mathematics. NY : Kluwer Academic Publishers.
- Clayton, G. A. (1990). Successful mathematics teaching for middle school graders. Research Triangles Park, NC: Southeastern Educational Improvement Lab.(ERIC Document No. 316432).
- Dubinsky, E., & Harel, G. (1992). The nature of the process conception of function. In G. Harel & E. Dubinsky.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of epistemology and pedagogy(MAA Notes No. 25).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 Fischbein E. (1999). Intuitions and schemata in mathematical reasoning.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38, pp.11-50. https://doi.org/10.1023/A:1003488222875
- Hashweh, MZ (1988). Descriptive studies of students' conceptions in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5, pp.121-134. https://doi.org/10.1002/tea.3660250204
- Hiebert, J., & Carpenter, T. P. (1992). Learning and teaching with understanding. In D. A. Grouws (Ed.), Handbook of research on mathematics and learning. NY: NCTM
- Movshovitz-Hadar, N., Zaslavsky, O., & Inbar, S.(1987). An empirical classification model for errors in high school mathesmatics.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8(1), pp.3-14. https://doi.org/10.2307/749532
- Radatz, H. (1979). Error analysis in mathematics education.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10(2). pp.163-172. https://doi.org/10.2307/748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