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태음조위탕(太陰調胃湯)과 태음조위배마황탕(太陰調胃培麻黃湯)이 비만 흰쥐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aeyeumjowee-tang and Taeyeumjoweebaemahwang-tang on Obese rats

  • 양동혁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 김재현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 정종길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본초학교실) ;
  • 정현우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병리학교실) ;
  • 최찬헌 (동신대학교 한의과대학 생리학교실)
  • Yang, Dong-Hyuk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Kim, Chae-Hyun (Department of Herb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
  • Jung, Jong-Gil (Department of Herb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
  • Jung, Hyun-Woo (University Department of Path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 Choi, Chan-Hun (Department of Physi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Dongshin University)
  • 투고 : 2010.08.12
  • 심사 : 2010.09.13
  • 발행 : 2010.09.30

초록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eyeumjoweetang (TJT) and Taeyeumjoweebaemahwangtang (TJBM) medication on body weight change and serum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LDL cholesterol,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total lipid, phospholipid level, and CBC of obese rats. Methods : Obese rats induced by high-fat fed are medicated for 7 weeks. 32 rats are divided into four groups depending on the medication; normal group (general-fat fed and no-medication), control group (high-fat fed and no medication), TJT group (high-fat fed and TJT medication) and TJBM group (high-fat fed and TJBM medication). After 7 weeks, obesity related index and CBC are analysed. Results : There i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and TJBM group for the body weight change, the total cholesterol, H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 total cholesterol values of control and TJBM are $59.25{\pm}9.56 mg/d{\ell}$ and $39.13{\pm}9.08 mg/d{\ell}$, respectively; HDL cholesterol values of control and TJBM are $22.0{\pm}1.69 mg/d{\ell}$ and $13.75{\pm}2.19 mg/d{\ell}$, respectively; triglyceride values of control and TJBM are $12.75{\pm}3.37 mg/d{\ell}$ and TJBM : $8.13{\pm}1.64 mg/d{\ell}$, respectively. There is a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control group, TJT, and TJBM group for free fatty acid and phospholipid level: free fatty acid values of control, TJT, and TJBM are $936.25{\pm}89.59 {\mu}m/{\ell}$, $738.75{\pm}109.47{\mu}m/{\ell}$, and $720{pm}150.71{\mu}m/{\ell}$, respectively; phospholipid values of Control, TJT, and TJBM are $87.13{\pm}11.86mg/d{\ell}$, $70.5{\pm}12.22 mg/d{\ell}$, and $60.5{\pm}11.1 mg/d{\ell}$, respectively. Conclusion : These results suggest that medication of TJT and TJBM i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obesity. Especially, TJBM is more effective than TJT.

키워드

참고문헌

  1. 대한병리학회. 병리학. 서울:고문사. 1995:406.
  2. 의학교육연수원. 증상별임상검사. 서울:서울대학교출판부. 1991:124.
  3. 이홍구. 비만과 관련된 질환. 한국영양학회지. 1990;23(5):341-346.
  4. 양경미. 비만증의 진단과 심혈관계 질환과의 연관성.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2;7(2):1-8.
  5. 홍원식 교합편찬. 정교 황제내경. 서울:동양의학연구원 출판부. 1974:61.
  6. 趙金鐸 주편. 중의증상감별진단학. 북경:인민위생출판사. 1987:43.
  7. 김홍건. 김병탁. 비만증의 원인과 병기 및 치법에 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한의학논문집. 1992;1(2):61-71.
  8. 황무연. 김완희. 비만증에 대한 동의병태 생리학적 고찰(I). 대구한의과대학교 제한동의학술원 동서의학. 1984;8(3): 77-83.
  9. 전국한의과대학 사상의학교실. 사상의학. 서울:집문당 1997:413, 436-438, 553-555.
  10. 이기주. 전병훈. 김경요. 태음조위탕이 백서의 비만증 및 유도비만세포에 미치는 효과.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996;10(1):88-98.
  11. 김길수, 이동웅, 김용래, 황문제, 김근우, 구병수. 태음조위탕과 그 가미방의 항비만 및 항고지혈증 효과에 관한 연구. 한방비만학회지. 2007;9(1):57-74.
  12. 이재익. 태음조위탕 전탕액이 비만백서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2.
  13. 한정석, 신영오, 오재근, 금동호. 태음조위탕 투여가 비만유전자 쥐의 식욕억제에 미치는 효과. 한방재활의학회지. 2005;15(4):47-54.
  14. 윤진환. 류성환. 정경훈. 최덕구. 정일규. 이희혁. 김종오. 임은미. 12주간 태음조위탕 투여가 흰쥐의 간기능 효소와 간내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회지. 2002;11(1):53-65.
  15. 윤진환. 류성환. 정경훈. 최덕구. 정일규. 이희혁. 김종오. 정진욱. 운동과 태음조위탕 처방이 흰쥐의 간기능 효소와 간내 지방축적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학회지. 2002;11(2):345-357.
  16. 송미연. 이종수. 김성수. 신현대. 절식요법 시행 후 태음인비만에 대한 청폐사간탕과 태음조위탕의 임상적 연구. 한방재활의학회지. 1998;8(1):34-56.
  17. 이광우. 비만증의 진단과 평가. 대한비만학회지. 1992;1(1):1-4.
  18. 정연수. 운동과 지방대사. 한국식품영양학회. 2002; 7(2):17-26.
  19. 이득주. 비만증 치료. 2차 대한비만학회 추계학술대회. 1993:47-52.
  20. 김석기. 안국환. 윤승원. 이영춘. 하상도. 지방 및 탄수화물 흡수억제 메커니즘을 활용한 비만 개선 식이 연구. 한국식품과학회지. 2003;35(3):519-526.
  21. 이지은. 조명래. 류충열. 중완 시술 맥아약침이 고지방성 식이로 유발된 비만 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82;5(2):211-226.
  22. 강수우. 위통순. 윤대환. 비수에 대한 내복자 약침이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 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72;4(5):113-125.
  23. 정영표. 윤여충. 윤대환. 위수의 산사 약침이 고지방 식이로 유발된 비만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72;4(4):55-68.
  24. 주준성. 윤대환. 나창수. 조명래. 채우석. 풍륭. 음릉천에 대한 약침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21(2):131-153.
  25. 김진혁. 신민섭. 최석우. 송범용. 육태한. 마황천오약침이 비만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9;26(2):77-83.
  26. 진광선. 비만의 연구 동향에 대한 분석. 대전대학교대학원. 2004.
  27. 강순아. 장기효 박성규. 임종필. 전훈. 최훈. 임강현. 비만관련 한약혼합제제의 비만 효과. 대한본초학회지. 2003; 18(4):59-64.
  28. 유태원. 최봉재. 박수연. 장문석. 박성규. 태음조위탕의 경구 투여에 의한 SD계 흰쥐의 아급성독성시험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4):848-852.
  29. 辛民敎. 原色臨床本草學. 서울:영림사. 1992:232, 374, 392, 516.
  30. 康秉秀 외 11人. 本草學. 서울:영림사. 1994:121-123, 306-308, 331-333, 373-374, 460-461, 523-524, 588-589, 622-623.
  31. 정보섭. 신민교. 도해향약대사전. 서울:영림사. 1990: 116-119.
  32. 황미자. 신현대. 송미연. 한국에선 비만치료에 쓰이는 한약에 대한 문헌 연구. 한방재활의학과학지. 2006; 16(3):65-81.
  33. 장문석. 심경준. 오지훈. 윤지원. 최문정. 김도림. 양웅모. 임형호. 이명종. 박성규. SD계 흰쥐에 대한 마황의 급성 경구독성 시험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8; 22(4):762-765.
  34. 김경윤. 김형우. 이상영. 황귀성. 최찬헌. 윤길제. 정현우. 양파와 한약재를 이용하여 개발된 한약 복합 처방 (HRO-1)이 비만 흰쥐에 미치는 영향.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923(3):564-566.

피인용 문헌

  1. 소아 비만 치험 1례 보고 vol.25, pp.2, 2010, https://doi.org/10.7778/jpkm.2011.25.2.0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