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다양한 우주방사선 환경과 차폐 조건에서 우주인이 받는 방사선 피폭량

Radiation Exposure of an Astronaut subject to Various Space Radiation Environments and Shielding Conditions

  • 투고 : 2010.07.08
  • 심사 : 2010.09.15
  • 발행 : 2010.10.01

초록

소유즈 우주선의 국제우주정거장(ISS) 여행 및 아폴로 우주선의 달 탐사 여행 시 우주인이 받는 방사선 피폭량을 계산하였다. 우주여행 시나리오에 따라 고도, 탑승 및 체류시간, 우주선과 우주복의 재질 및 두께 등을 고려하였다. 계산결과 우주선체와 우주복의 두께가 증가함에 따라 피폭량이 급격하게 감소하였다. 저궤도환경에서 소유즈 우주선의 국제우주정거장 여행 시 최적으로 줄이기 위한 우주선의 두께는 3 cm였다. 선외우주복에 대한 우주인의 피폭치를 계산한 결과, Mylar 재질은 4 cm 이상, Demron 재질은 5 cm 이상에서 피폭량이 평탄해졌다. 알루미늄이 코팅된 Mylar 재질이 고원자번호로 구성된 Demron 재질보다 차폐성능이 우수하였다. 국제우주정거장 여행 시 방사선 총 피폭량은 $4.2\times10^{-6}$ Sv이며, 달 탐사에서 우주인의 방사선 총 피폭량은 $4.3\times10^{-5}$ Sv였다. 한편 아폴로 우주선을 탑승한 우주인의 피폭량이 달 근처에서 높았는데 그 이유는 우주방사선이 달표면의 입자와 충돌하여 2차 중성자와 양성자가 방출되어 달 표면에 방사능이 많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계산절차와 결과는 우주선과 우주복의 차폐해석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Radiation exposures of an astronaut during the space travels to the International Space Station(ISS) of the Soyuz and the Moon of the Apollo, were calculated considering the altitude, boarding time, period of stay, kinds of spaceships and space suits. The calculated radiation exposures decrease dramatically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hielding by the wall of the spaceships and by the space suits. For the space travel to the ISS of Soyuz at Low Earth orbit, the thickness of the spaceship required to optimally reduce the radiation exposure is 3 cm. For the Extravehicle Mobility Unit(EMU) the exposures are minimized at 4 cm of the aluminized Mylar and 5 cm of the Demron, respectively. The aluminized Mylar showed better radiation shielding than the Demron which contains the high Z materials. The radiation exposures of an astronaut were $4.2\times10^{-6}$ Sv for the ISS travel and $4.3\times10^{-5}$ Sv for the Moon explore. The high concentration of the high energy proton flux at the surface of the Moon results in high radiation exposure. The calculation scheme and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in the design of the shielding performance of a spaceship and space suits.

키워드

참고문헌

  1. 김상구, 윤동원, 현광민, “달 탐사를 위한 한국형 심우주 지상국”, 한국항공우주학회지, 38권, 5호, 2010, pp. 403-517. https://doi.org/10.5139/JKSAS.2010.38.5.499
  2. 안병호, 서종호, 최원호, “우주환경의 영향과 예보”, 물리학과 첨단기술, 10권, 10호, 2010.
  3. J. Bernabeu, I. Casanova, "Geant4-based radiation hazard assessment for human exploration missions", Advances in Space Research, 40, 2007, pp. 1368-1380. https://doi.org/10.1016/j.asr.2007.03.029
  4. A. Steve Johnson, Gautam D. Badhwar, Michael J. Golightly, Alva C. Hardy, Andrel konradi, Tracy Chui-hsu Yang, "Spacflight Radiation Health program at the Lyndon B. Johnson Space Center", NASA Technical Memorandum, 104782, 1997.
  5. John W.Wilson, F.A. Cucinotta, J.L. Shinn, L.C. Simonsen, "Shielding from Solar Particle event exposures in deep space", Radiation Measurements, 30, 1999, pp. 361-382. https://doi.org/10.1016/S1350-4487(99)00063-3
  6. Ram K. Tripathi, John E. Nealy, "Mars Radiation Risk Assessment and Shielding Design for Long-term Exposure to Ionizing Space Radiation", IEEEAC Paper#1291, Version 4, 2007.
  7. 항공우주연구원, 카리스쿨-항공우주뉴스, “한국우주인 탐승 당일 주요일정 및 소유즈 우주선 발사과정”, 2008. (http://www.karischool.re.kr/news/airnews)
  8. NASA, Kennedy Space Center, Apollo-Flight Summary. (http://www-pao.ksc.nasa.gov/kscpao)
  9. 허정환, 고봉진, 정범진, “차폐체 두께에 따른 정지궤도위성용 반도체의 우주방사선 피폭계산”,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ol. 22, No. 6, 2009, p. 476. https://doi.org/10.4313/JKEM.2009.22.6.476
  10. 이동훈, “달궤도 우주탐사”, 물리학과 첨단 기술의 세계, 2009, pp. 37-40.
  11. ESA-SPENVIS (http://www.spenvis.oma.be)
  12. S. Cheenu Kappadath, "Measurement of the cosmic diffuse Gamma-ray spectrum from 800keV to MeV, University of New Hampshire, 1998.
  13. ESA(http://space-env.esa.int/projectsupport/ISO/CREME96.html)
  14. Jourdain, E, Roques, J.P. "The High Energy Emission of the crab Nebula from 20keV to 6MeV with INTEGRAL", APJ, 2009, 704 (http://arxiv.org/abs/0909.3437)
  15. R.K. Tripathi, J.W. Wilson, F.F. Badavi, G. De Angelis, "A characterization of the moon radiation environment for radiation analysis", Advanced in Space Research, 37, 2006, pp. 1749-1758. https://doi.org/10.1016/j.asr.2006.03.016
  16. K.T. Lee, T.L. Wilson, "Space-radiationinduceed phantom luminescence of the Moon", Advances in Space Research, 44, 2009, pp. 478-482. https://doi.org/10.1016/j.asr.2009.03.029
  17. L.D. Edmonds, C.E. Barnes, L.Z. Scheick, "An Introduction to Space Radiation Effects on Microelectronics" JPL Publication 00-06, 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 2000, p. 9.
  1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우주상식, “우주선 재질 선발대회”, 2008.7.3. (http://www.kari.re.kr/bbs/bbs-index)
  19. FOCUS, 우주개발 첨단 소재기술의 현장.
  20. 원자력지식정보관문국-백과사전, “우주용 재료와 방사선”, 김덕승, 2001.3. (http://www.atomic.or.kr/atomical)
  21. 항공우주연구원 카리스쿨-소식방, “미국과 러시아의 선내우주복 어떻게 다를까”, 2009.2.26.
  22. 김용호, “Dose Distribution Calculation Using MCNPX Code in the Gamma-ray Irradiation cell, 제주대학교 졸업논문, 2008.
  23. 고성진, 김승국, 노경석, 백명환, 안봉선, “방사선 계측학”, 청구문화사, 2001.12, p. 58.
  24. 한국원자력연구원, 원자력교육센터-하전입자와 물질간의 상호작용. (http://www.kntc.re.kr/openlac/nuc/AtomicEnergyTheory/quest1_7.asp)
  25. L.W. Townsend, R. J. M. Fry, "Radiation Protection guidance for activities in Low-Earth orbit", Adv. Space Res. Vol. 30, No. 4, 2002, pp. 957-963. https://doi.org/10.1016/S0273-1177(02)00160-6
  26. 김현기, 박태진, 백민, 이재성, 이충식, 이화형, 장재권, 장한기, 조건우, 한은옥, “방사선 이론과 실제”, 한국방사성동위원소협회, 2006, p. 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