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nges i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Values in Korean Woman's Magagzine -Advertisements from 1955 to 2008-

여성잡지 패션광고에 나타난 문화적 특징과 가치관의 변화 연구 -1955년부터 2008년까지의 한국여성잡지를 대상으로-

  • Ko, Eun-Ju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Yonsei University) ;
  • Song, Hyun-Jeo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Yonsei University) ;
  • Kim, Seon-Sook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Yonsei University)
  • 고은주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 송현정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 김선숙 (연세대학교 의류환경학과)
  • Received : 2010.04.01
  • Accepted : 2010.06.2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Culture represents forms of life appeared in various dimensions. Advertisements which represent these forms of life show the most important social and cultural phenomenon.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ociety has been raised because the effectiveness of advertisement could have been varied depending on the cultural value. Moreover, within a society, values reflected by advertisements tend to vary in different eras. Thus, this study aims to clarify the differences between cultural values from different eras through an analysi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and symptoms with consideration of the time flow.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meanings of cultural characteristics highlighted by the study. For the investigation, two Korean women's magazines were selected, from 1955 to 2008. Data were analyzed using chi-squared test which was conducted with Crosstab using the PASW statistics 17.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changing aspects from traditional values to modern values by years. Additionally, each period was described using several keywords. The keywords were divided by decade: in the '50s keywords were 'lifestyle change', 'material value increase' and the 'challenge to traditional values', in the '60s keywords were 'American culture acceptance', 'material success', in the '70s keywords were 'the rise of nonmaterial value', 'rationalism' and 'egalitarianism', in the '80s 'individualism', 'Life style and culture group differentiation', 'conspicuous consumption', in the '90s 'globalization', 'emphasis on personality sensitivity', 'health-oriented', 'improve the quality of life', while in the '00s keywords were 'spread of digital life', 'rational consumption patterns', 'the 3rd distribution'. Through the research, important changes in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Korea were observed. Furthermore, we may be able to think of the most effective way of advertising by identification of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Keywords

References

  1. 강명구. (1989). 광고의 문화적 역할에 관한 연구: 광고에 나타나 전통문화의 비판적 해석. 광고연구, 여름호, 61-107.
  2. 구기룡. (1993). TV광고의 문화적 표현에 대한 소비자 의견 조사. 광고연구, 겨울호, 245-284.
  3. 구기룡, 나운봉. (1993). TV광고의 문화적 표현에 대한 소비자의 의견조사. 광고연구, 21, 245-284.
  4. 김미영, 한명숙. (2001). 여성잡지에 나타난 속옷광고의 문화적 의미 연구. 복식문화연구, 9(5), 783-797.
  5. 김유경. (1999). 호프스테드의 문화차원에 나타난 광고거리에 관한 연구. 한국언론학보, 43(4), 42-78.
  6. 김정은. (2005). 광고언어에 나타난 현대인의 의식 문화. 사회언어학, 12(1). 37-64.
  7. 김종헌. (2003). 문화해석과 문화정치. 서울: 철학과 현실사.
  8. 김종희, 김영찬. (2008). 1960-1970년대 여성지에 나타난 근대적 주거공간 및 주거문화 담론에 관한 연구. 미디어, 젠더 & 문화, 10, 109-155.
  9. 나상진. (2008). 한국의 소비트렌드에 관한 연구. 상품학연구, 26(5). 133-144.
  10. 문영숙. (2002). 텔레비전광고의 젠더묘사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한국과 홍콩 광고물 분석대한 비교문화연구. 광고학연구, 13(3), 7-23.
  11. 문영숙. (2003). 텔레비전광고의 가치소구에 대한 비교문화 연구. 광고연구, 59, 49-67.
  12. 문영숙. (2006). 잡지광고의 정보성 변화에 대한 시차분석연구. 언론정보연구, 43(2), 101-124.
  13. 박명규, 김영법. (1995). 한국의 문화변동과 집합의식. 해방 후 한국사회의 구조적 변동과 사회발전. 한국사회사학회 1995년 학술대회 발표논문. 265-285
  14. 박이문. (1995). 문학과철학. 서울: 민음사.
  15. 박재진. (2007). 광고 표현수단의 변천에 관한 통시적 연구: 1960년대 이후 잡지광고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보, 10(3), 65-90.
  16. 소황옥. (2004). 패션 산업의 변화와 한국적 이미지. 비교민속학회지, 27, 325-362.
  17. 신입섭, 서범석. (2001). 눈으로 보는 한국 광고사. 서울: 나남.
  18. 신종국, 서문식, 김상조. (1998). 광고의 문화적 가치표현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40, 7-27.
  19. 심성욱. (2003). 개인의 문화적 조화/부조화와 광고효과: 잡지광고를 중심으로. 광고학연구, 14(4), 27-44.
  20. 양숙희, 한수연. (2005). 패션명품 광고에 나타난 사회문화적 의미 -여성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29(2), 267-278.
  21. 윤각, 김희훈, 윤정아, 정우철. (2002). 1988년과 2001년도의 잡지 광고에 투영된 여성의 역할과 이미지에 관한 연구. 커뮤니케이션학연구, 10(2), 207-223.
  22. 이두희. (2002). 광고론: 통합적 광고. 서울: 박영사
  23. 이민훈. (2008). 한국의 소비트렌드에 관한 연구: 2000년-2007년 히트상품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26(2), 133-144.
  24. 이슈리포트. (2001-2008). 삼성디자인넷. 자료검색일 2009. 10. 5. 5, 자료출처 www.samsungdesign.net/Report/IndustryTrend/TrendView
  25. 이호정. (1996). 패션마케팅 & 패션트랜드 분석(1955-1995년). 서울: 교학연구사.
  26. 임희섭. (1994). 한국사회변동과가치관. 서울: 나남.
  27. 전영표. (1998). 출판문화와 잡지 저널리즘. 서울: 대광문화사.
  28. 정기현. (2002). 광고표현에서 문자자막이 소비자에게 미치는 효과에 대한 연구. 광고학연구, 14(5), 127-150.
  29. 정영희. (2009). 1960년대 대중지와 근대 도시적 삶의 구성. 언론과학연구, 9(3), 468-509
  30. 차재호. (1994). 한국사회에서의 가치관 변화와 가치에 관한 명제의 도출. 심리과학, 3(1), 1-27.
  31. 한상필. (1999). 광고에 나타난 가치관의 변화. 광고연구, 43, 7-27.
  32. 한상필. (2003). 광고를 통해 본 한국문화의 변화 -1960년부터 2000년까지의 광고 내용분석. 광고연구, 58, 135-162.
  33. Hofstede, G. H. (1980). Culture's Consequences: International Differencesin Work-related Values, London: Sage Publications.
  34. Hofstede, G. H. (1983). The cultural relativity of organizational practices and theories, Joural of Management Studies, Fall, 76-88.
  35. McCracken, G. (1986). Culture and consumption: A theoretical account of the structure and movement of the cultural meaning of consumer good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3, 71-84. https://doi.org/10.1086/209048
  36. Rokeach, M. J. (1973). The nature of Human Values. New York: The Fre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