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 of Family Concept and Familism on Family Strengths among University Students

남녀대학생의 가족개념, 가족주의가치관이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 Kim, Jin-Hee (Dept. of Family Environment & Welfar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김진희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
  • Received : 2010.01.15
  • Accepted : 2010.06.1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rends in university students' acceptance of family diversity, familism, family strength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388 university students (193 male, 195 female). The major findings were as follows: Respondents' recognition of family concept is modified from traditional family notion to modern conception. The general trends regarding the level of familism showed that males' level was higher than females'. The respondents' family strength was influenced by a blood permanency of father, family priority, reverence for parent and the tie that bind child, functional perceptions of family. The most important variable in terms of influence on university students' family strength was that of familism. These results implied that the familism was partly influential to family strengths.

Keywords

References

  1. 경지영. (2000). 여성노인이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 경향과 우울정도와의 관계.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국길숙. (2008). 한일 남녀 대학생의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 비교. 성평등연구, 12, 69-88.
  3. 권대희. (2003). 청소년기 자녀가 지각한 가족의 건강성과 자아존중감에 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경신. (1998). 가족가치관의 세대별 비교연구-노년, 중년, 청소년세대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6(10), 145-160.
  5. 김경원. (2005). 가족복지실천을 위한 가족개념의 인식과 가족관계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6. 김규원. (1995). 가족의 관계역동성과 문제의식: 가족개념의 인식과 가치관. 가족학논집, 7, 213-255.
  7. 김덕균. (2005). 유교적 가족주의, 해체인가 복원인가-새로운 가족윤리를 모색하며. 유교사상연구, 23, 109-134.
  8. 김명자. (2004). 부모와 대학생 자녀의 가족생활에 관한 가치 의식과 가족건강성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3), 55-80.
  9. 김미숙, 김종숙, 김현주, 김혜경, 박옥희, 원영희, 이경아, 이선미, 이선주, 이여봉, 장화경, 함인희. (2002). 가족의 사회학적 이해. 서울: 학지사.
  10. 김성주. (2002). 사회복지사의 가족인식에 관한 연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김인숙, 유영준. (2004). 사회복지사와 클라이언트의 가족인식 연구. 한국사회복지학, 56(1), 283-307.
  12. 김정은. (2006). 가족건강성이 대학생의 자아분화에 미치는 영향.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김현옥. (2002). 가족주의 의식의 구성과 변화-한국사회에서의 연령집단별 차이를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4(1), 3-30.
  14. 김혜영. (2001). 한국대학생의 가족주의 변화. 한국청소년연구, 12(1), 79-105.
  15. 남기철. (2004). 가족개념과 가족복지서비스에 대한 세대 간 인식 차이. 복지동향, 74, 22-39.
  16. 남영자, 박태영. (2009). 청소년의 가족건강성과 학교적응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6(4), 47-71.
  17. 류정현. (2007). 한국적 부모-자녀관계, 가족주의, 효. 부모교육연구, 4(2), 81-94.
  18. 박민주, 홍기아. (2007). 청소년이 지각하는 가족건강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학회지, 10(2), 43-51.
  19. 박수현. (2003). 대학생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족가치관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 배경의, 김은하. (2007). 청소년이 지각한 가족건강성, 가족 기능, 자아정체감과 우울과의 관계. 아동간호학회지, 13(3), 357-366.
  21. 서병숙. (1994). 건전가정육성을 위한 실천적 과제 -가족의 기능적 측면에서의 접근. 한국가정관리학회, 12(2), 275-287.
  22. 서선희. (1995). 가족중심주의에 대한 유교적 해석. 가족학논집, 7, 21-44.
  23. 서선희. (2003). 한국 사회에서 가족중심주의의 의미와 그 변화.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4), 93-101.
  24. 서하진. (2009).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존중감과 행복에 미치는 영향. 대구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5. 신수진. (1998). 한국의 가족주의 전통과 그 변화. 이화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6. 양순미, 유영주. (2002). 농촌가족의 건강성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0(2), 69-81.
  27. 양옥경. (2001). 가족개념에 관한 대학생의 의식연구. 한국가족복지학, 7, 174-199.
  28. 양옥경, 김혜영. (2001). 가족의식을 통해 본 가족정책의 방향: 기혼여성을 중심으로. 가족과 문화, 13(2), 29-55.
  29. 어은주, 유영주. (1997). 한국 도시가족의 건강성 및 관련변인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5(4), 269-285.
  30. 옥선화. (1989). 현대 한국인의 가족주의가치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1. 옥선화, 남영주, 성미애, 신기영. (2001). 재미동포의 가치관에 관한 연구-가족주의가치와 물질주의가치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 19(4), 15-29.
  32. 유계숙. (2004). 건강가족을 위한 가족의 기능과 특성에 관한 성인의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2(4), 173-180.
  33. 유계숙. (2004). 건강가족의 요소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9(2), 25-42.
  34. 유계숙. (2005). 가족의 다양성 수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족과 문화, 17(2), 211-233.
  35. 유계숙, 유영주. (2002). 서울시민의 가족개념 인식 및 가치관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0(5), 79-94.
  36. 유영주. (2001). 건강가족연구. 교문사.
  37. 유영주. (2004). 새로운 가족학. 신정.
  38. 유영주, 어은주. (1995). 가족의 건강도 측정을 위한 척도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 13(1), 145-156.
  39. 유영주, 이인수, 김순기, 홍성례, 최희진. (2009). 건강가족의 이해. 교문사.
  40. 윤경자, 김정옥, 현은민, 전영자, 유계숙, 김은경. (2009). 건강가정론. 공동체.
  41. 윤홍식. (2004). 가족의 변화와 건강가정기본법의 대응. 한국가족사회복지학, 14, 263-294.
  42. 이광규. (1997). 한국문화의 심리인류학. 서울: 집문당
  43. 이선형, 이경림, 임춘희. (2009). 조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족복지학, 14(4), 57-77.
  44. 이신숙, 차영은. (2000). 성인자녀의 자아분화수준과 원가족에 대한 가족건강도 지각이 노모와의 유대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38(4), 21-32.
  45. 이영자. (1999). 한국 사회의 가족주의와 페미니즘. 현상과 인식, 23(3), 107-122.
  46. 이지원. (2006). 가족기능이 대학생의 결혼관 및 자녀관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7. 이지형. (2006). 대학생이 인지한 가족건강성과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8. 장경섭. (1994). 한국근현대 가족의 재조명. 서울: 문학과 지성사.
  49. 전종미. (2003). 가족개념에 관한 질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0. 조은수. (2007). 대학생이 지각한 원가족건강성이 결혼관 및 가족가치관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1. 지영숙, 이영호. (1998). 한국가정의 건전도 측정을 위한 척도의 개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16(4), 233-250.
  52. 최선희. (1999). 한국인의 가족건강성 영역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3. 최재석. (1975). 한국농촌사회연구. 서울: 일지사.
  54. 최정혜. (2005). 주말 부부의 결혼만족도와 가족건강성. 대한가정학회지, 43(30), 11-26.
  55. 최준식. (1997). 한국인에게 문화는 있는가. 서울: 사계절.
  56. 하은하. (2001). 가족가치관에 따른 한국인의 가족개념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7. DeFrain, J., & Stinnett, N. (2002). Family Strengths. In J. J. Ponzetti.(Eds.), Intnational encyclopedia of marrige and family (2nd ed.). New York: Macmillan Reference Group.
  58. Olson, D., & DeFrain, J. (2003). Marrige and Families-intimacy, Diversity and Strenghs, McGrawhill Company.
  59. Stinnett, N., & DeFrain, J. (1985). Secrets of Strong Families. Bodton: Little, Brow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