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the temporal stratification variation pattern in Mikawa Bay, Japan

일본 미카와만의 시간적인 성층변화 양상 분석

  • Received : 2010.05.12
  • Accepted : 2010.06.16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Analysis on the temporal variation of the stratification is carried out by using the continuous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data observed in the coastal monitoring buoy in Mikawa Bay, Japan. The main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The stratification pattern have an obvious and dominant 1-year period variation and the occurrence frequency (days) are exponentially decreased as the stratification intensity (SI) defined as the density difference between surface and bottom layers linearly increases. The frequency distribution function of the SI is presumably close to the log-normal function type or exponential function type. From the water temperature and salinity scatter diagram analysis, the line and loop type patterns are shown in the bottom and surface layers, respectively. In addition, the analysis of the SI estimation show that the error bound in case of using the weekly-monitoring data is about 4.45 times greater than that in case of using the continuous (daily) monitoring data.

일본 미카와만의 연안 모니터링 부이에서 연속 관측한 수온 및 염분자료를 이용하여 성층의 시간적인 변화 양상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선 성층은 뚜렷하고 우세한 1년 주기의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표층과 저층의 밀도차이로 정의되는 성층강도는 강도가 증가할수록 발생빈도는 기하급수적으로 감소하는 양상을 보이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성층강도의 발생빈도 분포는 정규분포 형태와는 다른 대수 정규분포 또는 지수분포 형태에 보다 근접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수온과 염분의 분산도 분석결과, 저층은 직선 형태의 변화 양상을 보이고 있으나 표층은 곡선 또는 고리(loop) 형태의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한편 성층강도 추정오차를 분석한 결과, 월 4회 관측빈도의 자료를 이용한 오차범위는 본 연구에서와 같이 관측부이의 1일 연속자료를 이용한 오차범위보다 4.45배 이상 증가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Agresti, A. and Franklin, C. 2007. Statistics, The Art and Science of Learning from Data, Appendix A, Pearson & Prentice-Hall.
  2. Cloern, J. E., Powell, T. M. and Huzzey, L. M. 1989.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South San Francisco Bay (USA). II. Temporal Changes in Salinity, Suspended Sediments, and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over Tidal Time Scales,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28, pp. 599-613. https://doi.org/10.1016/0272-7714(89)90049-8
  3. Emery, W. J. and Thomson, R. E. 2004. Data Analysis Methods in Physical Oceanography, Second and Revised Edition, Chapter 1, Elsevier.
  4. Fujiwara, T., Takahashi, T., Kasai, A., Sugiyama, Y. and Kuno, M. 2002. The Role of Circulation in the Development of Hypoxia in Ise Bay, Japan,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54, pp. 19-31. https://doi.org/10.1006/ecss.2001.0824
  5. Lalli, C. M. and Parsons, T. R. 1997. Biological Oceanography, An Introduction, Chapter 2, Second Edition, Butterworth-Heinemann.
  6. Powell, T. M., Cloern, J. E. and Huzzey, L. M. 1989. Spatial and Temporal Variability in South San Francisco Bay (USA). I. Horizontal Distributions of Salinity, Suspended Sediments, and Phytoplankton Biomass and Productivity, Estuarine, Coastal and Shelf Science, Vol. 28, pp. 583-597. https://doi.org/10.1016/0272-7714(89)90048-6
  7. UNESCO, 1983. Algorithms for computation of fundamental properties of seawater, UNESCO technical papers in marine science, No. 44.
  8. Williams, J. 1979. Introduction to Marine Pollution Control, Chapter 1, John Wiley & Sons.
  9. 日本 土交通省, 象, 2010. 조위관측정보 및 조석관측자료, (www.jma.go.jp) (일본어).
  10. 김종규, 조상훈, 박일흠, 2005. 실시간 수온 모니터링 및 위성 영상에 의한 광양만 표층수온 분포 특성, 한국해양환경공학회, 2005년도 추계학술대회논문집, pp. 227-232.
  11. 김태인, 이형래, 장경일, 2006. 새만금해역에서 밀도 성층의 계절변동, Ocean and Polar Research, Vol. 28, No. 3, pp. 339-352. https://doi.org/10.4217/OPR.2006.28.3.339
  12. 이용화, 심정민, 김영숙, 황재동, 윤석현, 이 주, 진현국, 2007. 2006년 하계 경북 연안의 수온변화와 우렁쉥이 폐사, 해양안전학회, 제13권, 제4호, pp. 15-19.
  13. 이충일, 구도형, 윤종휘, 김동선, 2007. 한국 남해의 여름과 겨울철 성층 변동, 해양환경안전학회, 제13권, 제2호, pp. 119-125.
  14. 이충일, 이종희, 김동선, 2007. 한국 서해에서 수온 및 염분에 미치는 기상 인자의 영향, 해양환경안전학회, 제13권, 제1호, pp. 29-37.
  15. 조홍연, 2008. 시화호인천연안 환경자료의 오차범위 분석, Ocean and Polar Research, Vo.130, No. 2, pp. 149-158.
  16. 조홍연, 채장원, 전시영, 2002. 진해마산만의 성층화 및 DO 농도변화, 한국해안해양공학회지, 제14권, 제4호, pp. 295-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