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매업체와 농산물 도매시장의 연계성 강화 방안 - 청과물을 중심으로 -

Strategies to Enhance the Linkage between Retailers and Agricultural Product Wholesale Markets

  • 김동환 (안양대학교 무역유통학과)
  • 투고 : 2010.12.07
  • 심사 : 2010.12.09
  • 발행 : 2010.12.31

초록

이 논문은 소매업체의 청과물 구입실태와 농산물 도매시장 구매의 문제점을 조사 분석하여 소매업체와 도매시장간 연계성 강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대형유통업체는 구매채널이 비교적 골고루 분산되어 효율적인 구매방식을 모색하고 있으나 중소 유통업체는 산지직거래 능력이 미약하여 주로 중도매인(방문구매)에 의존하고 있다. 업태별로 향후 도매시장 구입 의향을 보면, 대형유통업체와 외식/급식업체의 경우 도매시장 구입을 유지 내지 감축하려는 비율이 높고, 중소유통업체는 도매시장 구입을 확대 내지 유지하려는 경향을 보였다. 소매업체가 도매시장 구입 시 느끼는 문제점으로는 상품의 균질성 미흡과 속박이, 저온저장고 부족, 장소협소로 물류미비, 유통비용과다, 가격안정성 미흡 등이 있다. 농산물 도매시장이 시급히 개선해야 할 사항으로는 시장면적 확대로 물류효율화, 저온저장고 확충 등 시설 개선, 품질관리시스템 확립, 소분 포장 등 가공시설 확충 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소매업체와 농산물 도매시장간 연계를 강화시키기 위해서는 도매시장 공간 확보를 통한 물류 원활화, 도매시장내 국가 검품제도 도입, 경락가격 안정화 방안 모색, 하역비 절감 방안, 소매업태별 차별화 마케팅 추진, 중도매인의 규모화 등이 필요하다. 거래제도 측면에서는 단기적으로 선취매매, 정가수의매매 등을 활성화시키고 중장기적으로는 도매상제도의 확대가 필요하다.

This paper analyzes retailers' purchasing patterns of fruits and vegetables and the problems with purchasing from agricultural product wholesale markets. While large-scale retailers purchase fruits and vegetables from various sources, medium and small-scale retailers and food service companies buy them mostly from agricultural product wholesale markets. The retailers point out the problems with purchasing from agricultural product wholesale markets as a lack of quality uniformity, not sufficient cooling storage facilities, not sufficient space for shipping area, high distribution cost, unnecessary price fluctuation, and etc. In order to enhance the linkage with retailers, agricultural product wholesale markets, first of all, have to adopt more flexible trading methods such as private treaty besides auctions which are exclusively legitimate trading methods in the market. Necessary are enlargement of jobbers' operating scale, securing shipping space for retailers, adoption of inspection service, introduction of methods to stabilize auction prices, saving of loading and unloading costs, implementation of marketing strategies.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