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림책을 활용한 방과 후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행복감 및 사회.정서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 After-School Program Using Picture-Books on First Graders' Levels of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 김정원 (한국성서대학교 사회과학부 영유아보육학) ;
  • 이정아 (한국성서대학교 사회과학부 영유아보육학)
  • Kim, Jung-Won (Department of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Korean Bible University) ;
  • Lee, Jung-A (Department of Childhood Care and Education, Korean Bible University)
  • 투고 : 2010.05.01
  • 심사 : 2010.07.08
  • 발행 : 2010.08.31

초록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n after-school picture-book program on the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levels of first graders. The subjects consisted of 44 elementary school first graders; of these, 22 formed the experimental and 22 formed the control group. A detailed analysis of both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levels was undertaken to determine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A broad variety of activities using 12 picture-books were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for twelve-week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after-school program using picture books was effective in strengthening children's levels of both happiness and socio-emotional 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정원(2007). 학교적응을 위한 독서활동 개발 연구-학교 부적응 여중생을 대상으로. 경기대학교 국제문화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국립국어연구원(1999). 표준국어대사전. 서울 : 두산동아.
  3. 김민화(2008). 행복을 만드는 이야기 구조, 한국 어린이 문학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자료집, 문학으로 보는 어린이의 행복, pp. 43-65,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4. 김세희 . 강순미(2008). 유아의 행복에 대한 지평 넓히기 : 그림책 읽기활동을 통한 유아의 행복에 대한 개념 확장, 한국 어린이 문학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자료집, 문학으로 보는 어린이의 행복, pp. 97-113,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5. 김연화(2007). 아동의 성격유형 및 부모와의 의사소통유형과 행복감과의 관계.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6. 김정원 . 김유정(2006). 방과후 프로그램의 실태와 부모와 교사의 요구에 관한 연구. 아동권리연구, 10(1), 49-72.
  7. 김정원 . 이정아(2002). 유아의 방과후 활동 경험과 일상적 스트레스와의 관계, 아동학회지, 23(6), 121-137.
  8. 김정원 . 이정아 . 이인경(2009).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아동의 행복감과 스트레스 및 놀이성간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30(3), 37-53.
  9. 김지윤(2007). 장애유아 통합 환경에서의 그림책을 활용한 협동미술프로그램이 일반유아의 친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0. 김현희(2008). 삶의 여정에서 만나는 행복 : 그림책으로의 몰입, 한국 어린이 문학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자료집, 문학으로 보는 어린이의 행복, pp. 1-19,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1. 김현희 . 박상희(2008). 유아문학 : 이론과 적용. 서울 : 학지사.
  12. 류현수 . 이정숙(2006). 방과 후 아동의 감성교육 프로그램이 아동의 정서지능과 사회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44, 105-128.
  13. 박효정 . 김홍원 . 연은경(2005). 초등학교 저학년 방과후 교실 운영 실태에 관한 정책 연구. 서울 : 한국교육개발원.
  14. 서은국(2008). 행복의 과학. 한국목회상담협회 제14차 연례학술대회자료집, 행복과 목회상담, pp. 25-31.
  15. 서정숙 . 김정원(2008). 유아문학교육 프로그램. 서울 : 창지사.
  16. 신혜은(2008). 그림책 어린이 그리고 행복, 한국 어린이 문학교육학회 연차 학술대회 자료집, 문학으로 보는 어린이의 행복, pp. 21-40,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7. 염지숙(2005). 유아들의 경험을 통해 본 유치원에서 1학년으로의 전이. 한국영유아보육학, 17, 405-426.
  18. 오연주(2008). 문학교육과정에서 찾는 어린이의 행복 : 표준보육과정 보육프로그램의 그림책에 나타난 행복, 문학으로 보는 어린이의 행복, pp. 67-96, 한국어린이문학교육학회.
  19. 이경옥 . 연은진(2006). 유아의 사회 . 정서 능력과 또래 인기도의 관계. 덕성여대논문집, 35, 97-115.
  20. 이기숙 . 김정원 . 전선옥 . 이현숙(2008). 영유아교육과정. 고양 : 공동체.
  21. 이기영(2006).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사회 . 정서교육프로그램 개발연구.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이기영 . 박아청(2006). 그림책을 활용한 유아 사회 . 정서교육 프로그램 개발연구. 유아교육, 17(2), 213-232.
  23. 이정화(2005). 초등학생이 행복감 측정을 위한 도구의 개발.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이지현 . 김유정 . 이정아(2006). 동화를 이용한 음운인식활동이 저소득층 초등 방과후 교실 1,2학년 아동의 읽기, 학습동기 및 자아 개념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7(5), 123-141.
  25. 장연집 . 강차연 . 손승아 . 안경숙(2008). 정신건강. 서울 : 파란마음.
  26. 정미라 . 김명순 . 박은혜 . 신동주(2006). 한국의 현대적 아동관에 대한 탐색. 서울 : 창지사.
  27. 조성연 . 신혜영 . 최미숙 . 최혜영(2008). 한국의 하동은 행복한가? 전국 초등학교 2, 4, 6학년 아동을 대상으로. 한국아동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아동이 행복한 사회, pp. 69-81. 한국아동학회.
  28. 지옥정(1996). 프로젝트 접근법이 유아의 학습준비도, 사회 . 정서발달 자아개념 및 프로젝트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9. 채종옥(1996). 동화책 읽어주기 접근법에 따른 유아의 반응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0. 최신국어대사전(1996). 최신국어대사전. 서울 : 민중서각.
  31. 최진원(2001). 아동의 실리적 복지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2. 허형 . 이영석 . 황인창 . 정계숙 . 김상호(1978). 유아의 발달 수준 확인을 위한 탐색적 연구. 행동과학연구, 11(8), 39-40.
  33. 홍순옥 . 정수금(2003). 협동미술활동이 유아의 사회 . 정서적 발달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논집, 12, 1-16.
  34. Csikszentmihalyi, M (1975). Play and intrinsic rewards. Journal of Humanistic Psychology, 15(3), 41-63. https://doi.org/10.1177/002216787501500306
  35.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5(3), 542-575.
  36. Elias, M. J., Zins, J. E., Weissberg, R. P., Frey, K. S., Greenberg, M. T., Haynes, N. M., Kessler, R., Schwab-Stone, M. E., & Shriver, T. P. (1997). Promoting social and emptional learning : Guidelines for educators. Alexandria, VA : Association for Supervision and Curriculum Development.
  37. Halpern, R. (1992). The role of after school programs in the lives of inner city children : A study of urban youth network. Child Welfare, 71(3), 215-230.
  38. Hills, T. W. (1987). Hothousing young children : implications for early childhood policy and practice. ERIC Reproduction Service No. ED 294653.
  39. Johnson, K. (1994). Energize children's self-esteem : Utilizing after school group. School-Social Work Journal, 18(4), 28-35.
  40. Katz, L. G. (1987). Early education : What should young children be doing? ERIC Reproduction Service No. ED 279407.
  41. Kohen, D. E., Brehaut, J. C., Pence, A., & Hunter, M. (2002). After-school care and adolescent competencies. Canadian Journal of Infancy and early Childhood, 9(1), 19-28.
  42. LaBounty, J., Wellman, H. M., Olson, S., Lagattuta, K., & Liu, D. (2008). Mothers' and fathers' use of internal state talk with their young children, Social Development, 17(4), 757-775. https://doi.org/10.1111/j.1467-9507.2007.00450.x
  43. Landau, R., Yanay, N., Eshel, Y., & Ben-Aaron, M. (2006). Does the child's actual participation make a difference?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 states mentioned by mothers' of young children during narrative construc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30(4), 344-351. https://doi.org/10.1177/0165025406072796
  44. Mayers, D., & Diener, E. (1995). Who is happy? Psychological Science, 6, 10-19. https://doi.org/10.1111/j.1467-9280.1995.tb00298.x
  45. McComb, E. M., & Scott-Little, C. (2003). A review of research on participant outcomes in afterschool programs : Implications for school counselors. ERIC Clearinghouse on counseling and student services, NC : Greensboro.
  46. Meece, d., Colwell, M., & Mize, J. (2007). Maternal emotion framing and children's social behavior : The role of children's feelings and beliefs about peers, Early Child Development and Care, 177(3), 295-309. https://doi.org/10.1080/03004430500480826
  47. Palmer, P. J. (2007). 삶이 내게 말을 걸어올 때(홍윤주 옮김). 서울 : 한문화(원본발간일, 2000).
  48. Posner, J. K., & Vandell, D. L. (1999). Experiences in after-school programs and children's adjustment in first-grade classroom. Child Development, 70(3), 756-767. https://doi.org/10.1111/1467-8624.00054
  49. Rusell, B. (2004). 행복의 정복(이순희 옮김). 서울 : 사회평론(원본발간일, 1930).
  50.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7, 1069-1081.
  51. Seligman, M. (2006). 긍정심리학 : 진정한 행복 만들기(김인자 옮김). 서울 : 물푸레(원본발간일, 2002년)
  52. Seligman, M., & Csikszentmihalyii, M. (2000). Positive psychology. Journal of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5(1). 5-14.
  53. Seligman, M., Reivich, K., Jaycoz, L., & Gillham, J. (2007). The optimistic child : A proven program to safeguard children against depression and build lifelong resilience. NY : Houghton Mifflin.
  54. Zambo, D. (2005). Using the picture book "Thank you, Mr. Falker" to understand struggling readers, Journal of Adolescent and Adult Literacy, 48(6), 502-512. https://doi.org/10.1598/JAAL.48.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