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nfluences of Family Resilience on the Self-concept of Adopted Children in Open Adoptive Families

공개입양가정의 가족 레질리언스가 입양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 조민혜 (사단법인 한국입양홍보회 사무국) ;
  • 강현아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과)
  • Received : 2010.02.18
  • Accepted : 2010.05.2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fluences of family resilience on the self-concept of adopted children in open adoptive families in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94 adoptive parents and 113 of their elementary-aged adopted childr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resilience level of open adoptive families was 2.91 out of 4 full points. Second, the self-concept of adopted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an a norm group. Finally, the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doption related factors did not significantly influence the self-concept of adopted children. Only the organization patterns of family resilience positively affected the self-concept of adopted children.

Keywords

References

  1. 고혜정(2005). 연장아 입양 부모의 자녀문제 지각과 적응 촉진요소 및 장애요소에 대한 사례연구 : 한국입양홍보회(MPAK) 연장아 입양가족을 중심으로 부모의 관점에서 본 사례. 한남대학교 학제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권지성(2003). 공개입양가족의 적응과정에 관한 연구 : 한국입양홍보회 참여가족사례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 권지성.김진숙.정정호(2007). 국내입양실무자들이 경험한 입양실무의 의미. 사회복지연구, 32, 207-­235.
  4. 권지성.안재진(2005). 국내 공개입양부모의 양육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에 관한 연구, 아동권리연구, 9(3), 한국아동권리학회, 393-412.
  5. 김가득(2008). 공개입양가족의 가족기능 결정요인.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미옥(2001).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7. 김안자(2005). 가족레질리언스가 한부모가족의 가족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은정(2008). 가족레질리언스가 위탁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김홍찬(2008). 상담의 이론과 실제. 보건복지가족부.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제1기 입양실무과정 자료집, 35-44.
  10. 류상희(2001). 아동의 자아개념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14(2), 115-126.
  11. 박미정(2008). 공개입양입양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 : 입양모의 양육행동과 입양모-자녀 간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2. 백경숙.변미희(2001). 공개입양부모를 위한 사전사후서비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조사 연구. 아동권리연구, 5(2), 135-152.
  13. 보건복지가족부(2009). 아동입양기관수 및 입양아동수. 보건복지가족부 통계포털 웹사이트 http : //stat.mw.go.kr에서 2009년 4월 24일 인출.
  14. 송희연(2006). 입양가족의 적응과 공개입양활성화에 과한 연구 : 공개입양가족 사례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안순옥(2007). 가족탄력성이 재혼가족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안재진(2002). 우리나라 공개입양 아동의 심리사회적 적응실태에 관한 연구. 홀트사회복지연구, 2, 1-47.
  17. 안재진(2008). 국내입양가족의 초기적응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양성모(2005). 국내 입양가족의 입양과정 경험에 대한 연구 : 입양성공가정의 사례연구. 침례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 윤종희(1990). 어머니의 자아존중감 및 양육태도와 학동기 자녀의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연구. 아동학회지, 11(1), 58-71.
  20. 윤현선(2001). 국내입양부모의 사회적 지지와 부모역할수행 자신감, 가족적응력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경화.고진영(2006). 자아개념검사 실시요강. 서울 : 학지사.
  22. 이원령.이순복(2008). 영재아동의 자아개념과 사회적 능력 및 학교생활 만족도에 관한 연구. 특수교육저널, 9(1), 169-189.
  23. 이위환.권용신(2006). 아동의 자아개념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5(1), 267-278.
  24. 이현정(2002). 입양형태에 따른 입양부모의 양육경험 사례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정명례(2004). 입양에 대한 부모됨의 경험.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최운선.안재진.변미희.권지성(2008). 입양아동의 발달에 관한 종단연구 II : 1차년도 자료의 사회성발달과 문제행동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2(4), 473-502.
  27. 한상분(1992). 아동의 자아개념과 가족체계의 기능유형. 아동학회지, 13(2), 145-160.
  28. 허윤미(2005). 아동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유전과 환경의 영향 : 쌍둥이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9(2), 91-102.
  29. 현태옥(2004). 공개입양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체험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Brodzinsky, D. M., Smith, D. W., & Brondzinsky, A. B. (1998). 입양 아동의 적응. 안재진 역. 서울 : 홀트아동복지회.
  31. Brondzinsky, D. M. (2006). Family Structural Openness and Communication Openness as Predictors in the Adjustment of Adopted Children. Adoption Quarterly, 9(4), The Haworth Press.
  32. Brondzinsky, D. M., Lang, R., & Smith, D. W. (1995). Parenting adopted children. In M. Born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3 : Status and social conditions of parenting. 209-232. NJ : Lawrence Erlbaum.
  33. Brondzinsky, D. M., Singer, L. M., & Braff, A. M. (1984). Children's understanding of adoption, Child Development, 55, 869-878. https://doi.org/10.2307/1130138
  34. Grotevant, H. D., Ross, N. M., Marchel, A. M., & McRoy, R. G. (1999). Adaptive behavior in adopted children : Predictors from early risk, collaboration within the adoptive kinship network, and openness arrangements.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4, 231-247. https://doi.org/10.1177/0743558499142005
  35. H. van Gulden, & L. M. Bartels-Rabb (1993). 누가 진짜 부모인가. 안재진.권지성 공역. 서울 : 학지사.
  36. Lichtenstein, T. (1996). To tell or not to tell : Factors affecting adoptees' telling their adoptive parents about their search. Child Welfare, 75(1), 61-72.
  37. Marsh, H. W. (1984). Self-description questionnaire : age and sex effects in the structure and level of self-concept for preadolescence childre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6(5), 940-956.
  38. Marsh, H. W. (1990). Self Description Questionnaire I.II.III Manual. University of Western Sydney, Macarthur.
  39. Nickman, S. L. (1985). Losses in adoption : The need for dialogue. Psychoanalytic study of the child, 40, 365-398.
  40. Walsh. F. (1998). 가족과 레질리언스. 양옥경.김미옥.최명민 공역. 서울 : 나남출판사.
  41. Walsh. F. (2002). A Family Resilience Framework : Innovative Practice Applications, Family Relations, 51, 130-137. https://doi.org/10.1111/j.1741-3729.2002.00130.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