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ementary School Teachers' Views on and Requests Related to the Integrated Curriculum : with a Focus on the 2007 & 2009 Draft Revision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요구도 - 2007 개정 교육과정의 2009년 실행 및 부분개정을 중심으로 -

  • 이혜은 (부산대학교 영유아보육연구소) ;
  • 황해익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10.01.01
  • Accepted : 2010.03.26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reviewed elementary school teachers' opinions on the integrated curriculum in terms of the 2007 curriculum draft revision, as well as surveying their requests in regards to the 2009 curriculum draft revi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by means of questionnaires with 183 elementary school teachers. Most agreed that a theme-based-integrated curriculum was better than studying separate subjects, but most also argued that it takes considerable time reorganize and implement the integrated curriculum. Successful implementation also requires further teachers' training and their cooperation. The theme-based texts have already been in use from 2009 for first and second grades. Teachers prefer training courses which focus on the integration of the subjects, understanding the nature of each subject and sharing ideas and tips. Such training can assist in identifying the gaps between the curriculum plans and real classroom applications. Furthermore it can present clear guidelines to help ensure that the curriculum is organized effectively and well managed. Networks of specialized personnel or programs were also found to be very good resources both in and out of school.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2007a).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 교육인적자원부.
  2. 교육인적자원부(2007b).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II). 교육인적자원부.
  3. 강충열(2008). 2007년 개정 초등학교 통합교과 교과용 도서 개발에 대한 두 가지 오해. 통합교육과정연구, 2(1), 1-15.
  4. 김대현(1993). 통학교과의 목표와 조직 방식의 정당성 문제. 교육학연구, 3(1), 99-116.
  5. 김대현 . 박소영 . 이은화(2007). 교육과정 체제 구조에 관한 연구. 국가 교육과정 포럼 보고서 4. 교육인적자원부.
  6. 김승호(1998). 통합교과의 이론적 근거. 교육과정연구, 16(1), 249-376.
  7. 김승호(2004). 통합교과 교수방법론. 초등교육연구, 17(1), 1-23.
  8. 김용신 . 김남규(2007).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 서울 : 교육과학사.
  9. 김영지(2003). 주제중심 통합단원의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 인천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김인숙 . 황윤환(1999). 주제단원중심 통합교육과정 개발 : 교육과정 재구성을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13(1), 79-95.
  11. 김재복(1990). 초등학교 교육과정에서 본 통합교육의 의미. 통합교과 및 특별활동연구, 6(1), 23-37.
  12. 김재복(2000). 통합교육과정. 서울 : 교육과학사.
  13. 나장함(2004).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탐구. 교육과정연구, 22(1), 101-124.
  14. 박한숙(2004). 주제중심 통합학습이 초등학교 아동의 학습습관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아시아교육연구, 7(4), 27-47.
  15. 백경선(2008). 초등 교육과정 체제의 쟁점과 발전 방향. 초등교육연구, 21(1), 123-152.
  16. 소경희(2006). 교사 전문성으로서의 '연계적 전문성' 논의가 중등교사양성 교육과정에 주는 함의. 교육과정연구, 24(2), 277-297.
  17. 유광찬 . 이영준(2005). 통합교과교육. 서울 : 교육과 학사.
  18. 유한구(1990). 통합교육과정 실행의 관련요인 분석. 교육과정연구, 17(2), 1-19.
  19. 이미숙(2009). 초동학교 교과 교육과정 체제에서의 통합적 접근 및 교육과정 유연화의 방향 탐색. 교육과정연구, 27(1), 41-57.
  20. 이영만(2001). 통합교육과정. 서울 : 학지사.
  21. 이영만 . 홍영기(2006). 초등통합교육과정. 서울 : 학지사.
  22. 정광순(2006). 초등교사의 통합교과 실행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정연구, 24(3), 125-146.
  23. 정광순(2007). 2007년 개정 초등 통합교과교육과정에 대한 고찰. 교육과정연구, 25(4), 81-104.
  24. 정정희 . 강혜숙(2001). 프로젝트를 활용한 초등학교 통합교육 개발과 적용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연구, 19(1), 343-362.
  25. 조덕주(1998). 통합교육과정에 대한 반성적 고찰. 교육과정연구, 16(2), 185-204.
  26. 조연순 . 김경자(1996). 주체중심 통합교육과정 구성. 교육학연구, 34(1), 251-272.
  27. 홍영기(2004). 주제중심 통합단원 설계모형의 근거이론적 접근. 교육인류학연구, 7(2), 111-137.
  28. Beane, J. A. (2000). Curriculum intergration and the disciplines of Knowledge. in F. W. Parkey & G. Hass (Eds.). Curriculum planning : A contemporary approach (7th ed.). (pp.228-237). Needham, Heights : Alln & Bacon.
  29. Burns, R. C. (1995). Dissolving the coundairies. 김대현 외 역(2001). 교과경계선허물기. 서울 : 학지사.
  30. Etim, J. S. (2005). Curriculum integration : the why and how. In J. S. Etim (Ed.). Curriculum integration K-12 : Theory and practice (pp.3-11). NY : University Press of America.
  31. Ingram, J. B. (1979). Curriculum Intergration and lifelong Education. Paris : UNESCO. 배진수 . 이영만 역(1995). 교육과정 통합과 평생교육. 서울 : 학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