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Motivation

부모의 양육행동, 남녀 아동의 완벽주의 및 성취동기간의 관계

  • 김경미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
  • 도현심 (이화여자대학교 아동학과) ;
  • 박선영 (충청대학 사회복지학부)
  • Received : 2009.12.31
  • Accepted : 2010.03.26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 among parenting behaviors, children's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motivation, using a sample of 338 fifth and sixth graders. The participants completed questionnaires on parenting behaviors and their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motivation.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e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Both boys and girls ha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when they perceived higher parental levels of acceptance, and girls showe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when they perceived higher maternal control/over-expectation. Boys who exhibited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girls who exhibited self-oriented perfectionism showed higher achievement motivation. Boys had higher self-oriented and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hen perceiving higher parental acceptance and control/over-expectation. Girls showed higher self-oriented perfectionism when perceiving higher parental acceptance and control/over-expectation, and they showed higher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when perceiving higher paternal control/over-expectation and maternal acceptance and control/over-expectation. It was revealed that both boys' and girls' perfectionism tended to play mediating role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chievement motivation.

Keywords

References

  1. 구현경, 도현심 . 최미경(2009). 어머니의 성취압력 및 정서적 지지가 남녀 청소년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195-206.
  2. 김경연(1979).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아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김경희(1999).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성취동기 사이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기정(1985). 학업성취와 지각된 양육태도가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23(2), 35-52.
  5. 김연실(2000). 부모권위에 따른 완벽주의와 지연행동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 논문.
  6. 김예숙(2004). 영재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 성취동기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은아(1996). 부모와 자녀의 완벽주의 성향 및 지각된 부모의 양육태도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8. 김주년(1994).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녀의 자아개념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9. 김혜진(2006).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이 우울과 불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0. 김희영(2008). 어머니의 완벽주의와 심리적 통제가 남 . 여 아동의 완벽주의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1. 민숙정(1990). 부모의 양육태도에 따른 청소년의 성취 동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박영신 . 김의철(2003). 한국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학업성취에 대한 부모-자녀관계의 영향. 청소년학 연구, 10(1), 139-165.
  13. 박은영(2005). 고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4. 박정근(2002).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와 중학생의 성취 동기 및 자기효능감.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5. 박춘희(2005).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양육태도와 자아 존중감 및 성취동기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6. 박현정(2005). 어머니의 자기효능감과 양육행동 및 아동의 성취동기가 아동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4(4), 547-559.
  17. 사공민(2006). 초등학생의 완벽주의 성향과 성별, 자아개념 및 지각된 부모 양육태도와의 관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8. 오성심 . 이종승(1982). 부모의 양육방식에 대한 아동의 지각과 정의적 특성의 관계. 연구노트, 한국 행동과학연구소. 11(1), 1-15.
  19. 유미숙 . 하은혜 . 김혜진(2004). 완벽주의 성향의 발달 요인에 관한 연구-부모의 양육태도, 가족의 기능적 특성, 부모에 대한 애착 유형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11(3), 425-444.
  20. 윤은정(2001). 애착과 성취동기가 완벽주의 성향에 미치는 영향.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이경님(2006). 개인변인과 부모변인이 아동의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4(5), 161-174.
  22. 이명희(2006). 어머니의 취업수준과 양육태도 및 초등학생들의 성취동기의 관계. 충북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3. 이성진(1975). 현대교육심리학. 서울 : 교육출판사.
  24. 이운경 . 도현심(2005). 청소년의 성취동기와 관련된 변인들 :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 어머니의 기대 및 정서적 지지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아동학회지, 26(3), 43-59.
  25. 이윤우(200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성취동기간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이은종(2003).아동 후기의 애착 안정성과 완벽주의 성향이 우울 성향에 미치는 관계. 서강대학교 공공정책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7. 이은희(1999). 지각된 부모-자녀관계에 따른 완벽주의와 우울.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8. 이재연(2004).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 및 스트레스 대처행동과 분노표현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장미정(200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및 자기애와 완벽주의 성향과의 관계.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0. 전인숙(2007).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완벽주의 성향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1. 정인(2000). 부모의 양육태도와 중학생의 성취동기와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 논문.
  32. 최윤자(2003). 중학생의 학습동기와 내외통제성 및 완벽주의 성향간의 관계. 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3. 한기연(1994). 다차원적 완벽성 : 개념, 측정 및 부적응과의 관련성.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34. 홍성흔(2002), 모-자녀관계 및 자아존중감과 청소년의 성취동기.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5. Accordino, D. B., Accordino, M. P., & Slaney, R. B. (2000). An investigation of perfectionism, mental health, achievement,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adolescents. Psychology in the Schools, 37, 535-545. https://doi.org/10.1002/1520-6807(200011)37:6<535::AID-PITS6>3.0.CO;2-O
  36. Barens, A. E. (1972). Socialization of need for achievement in boys and proceedings of 80th Annual Convention of the American Psychology Association. American Psychologist, 2, 73-274.
  3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s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y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1173-1182.
  38. Blatt, S. (1995). The destructiveness of perfectionism. American Psychologist, 50, 1003-1020.
  39. Burns, D. D. (1980). The Perfectionist's script for self-defeat. Psychology Today, Novem, 34-52.
  40. Crandall, V. C. (1963). Achievement. In H. W. Stevenson (Ed), Child Psychology. Chicago : Chicago University Press.
  41. Enns, M. W., Cox, B. J., & Clara, I. (2002). Adaptive and maladaptive perfectionism : Developmental origins and association with depression pronenes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 921-935.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202-1
  42. Erikson, E. H. (1963). 아동기와 사회(제 2판). 윤진.김인경 역. 서울: 중앙적성출판사.
  43. Felson, R. B., & Zielinski, M. A. (1989). Children's self-esteem and parental support. Journal of Marriage and the Family, 51, 727-735. https://doi.org/10.2307/352171
  44. Flett, G. L., Hewitt, P. L., & Singer, A. (1995). Perfectionism and parental authority styles. Individual Psychology, 51, 50-60.
  45. Flett, G. L., Hewitt, P. L., Boucher, D. J., Davidson, L. A., & Munro. (2000). The Child and Adolescent Perfectionism Scale : Development, validation, and association with adjustment. Manuscript submitted for publication.
  46. Frost, R. O., Marten, P., Lahart, C. M.,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5), 449-468. https://doi.org/10.1007/BF01172967
  47. Frost, R. O., Lahart, C. M., & Rosenblate, R. (1991). The development of Perfectionism : A study of daughters and their parent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5, 469-489. https://doi.org/10.1007/BF01175730
  48. Frost, R. O., Heimberg, R. G., Mathia, J. L., Holt, C. S., & Nebauer, A. (1993). A comparison of two measures of perfection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4, 119-126. https://doi.org/10.1016/0191-8869(93)90181-2
  49. Hermans, H. J. (1970). A questionnaire measure of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54(4), 353-363.
  50. Hewitt, P. L., & Flett, G. L. (1991). Perfectionism in self and social context : Conceptualization, assessment and association with psychopatholog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0, 456-470.
  51. Hewitt, P. L., Caelian, C. F., Flett, G. L., Sherry, S. B., Collins, L., & Flynn, C. A. (2002). Perfectionism in children : Associations with depression, anxiety, and ange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6), 1049-1061. https://doi.org/10.1016/S0191-8869(01)00109-X
  52. Kawamura, K. Y., Frost, R. O., & Harmatz, M. G. (2001).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parenting styles to perfectionism.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2, 317-327.
  53. Lamborn, S. D., Mounts, N. S., Steinberg, L., & Dornbusch, S. M. (1991). Patterns of competence and adjustment among adolescents from authoritative, authoritarian, indulgent, and neglectful families. Child Development, 62, 1049-1065. https://doi.org/10.2307/1131151
  54. Lynn, D. B. (1974). The Father : His Role in child development, Monterey. California : Brooks.
  55. McClelland, D. (1953). The Achievement Motive. New York : Appleton Century Crofts.
  56. McClelland, D., & Pilon, D. (1983). Sources of adult motives in patterns of parent behavior in early childhoo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4, 564-574.
  57. Morris, C. G. (1988). Psychology : An introduction(6th Ed.). Englewood Cliffs, NJ : Prentice-Hall.
  58. Murray, H. A. (1938). Explorations in personality : A clinical and experimental study of fifty men of college age.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59. Rosen, B. C. (1956). The achievement syndrome : A psycho-cultural dimension of social stratification.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21, 203-211. https://doi.org/10.2307/2088523
  60. Rosen, B. C. (1962). Socialization and achievement motivation in Brazil. American Socio Review, 27, 612-624. https://doi.org/10.2307/2089619
  61. Slaney, R. B., & Ashby, J. S. (1996). Perfectionist: Study of a criterion group.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74, 393-398. https://doi.org/10.1002/j.1556-6676.1996.tb01885.x
  62. Sobel, M. E. (1982). Asymptotic intervals for indirect effects in structural equations models. In S. Leinhart (Ed.), Sociological methodology (pp.290-312). San Francisco : Jossey-Bass.
  63. Stoeber, J., & Rambow, A. (2006). Perfectionism in adolescent school students : Relations with motivation, achievement, and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2, 1379-1389.
  64. Sutton-smith, B. (1973). Child Psychology. New York : Appleton Century Crof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