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Procedures of Entrance into Early Childhood Teachers College and the Career Progression of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진학과 진로에 대한 연구

  • Song, Ju-Yeon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 Jo, Jun-Oh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Pusan National University)
  • 송주연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 조준오 (부산대학교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09.11.01
  • Accepted : 2010.01.07
  • Published : 2010.02.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rocedures for entering college, their perception of major areas of satisfaction and career progress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22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Busan.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major motivation of entering into college for these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as 'to become an early childhood teacher'. Second, the majority of students major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were satisfied with their majors for their aptitude for studying in this area. Third, the most commonly expressed employment preference for such students was that of a public kindergarten teacher due primarily to job security and appropriate rates of pay.

Keywords

References

  1. 고동섭(2001).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특성.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 교육통계서비스(2009). http://std.kedi.re.kr/index.jsp.
  3. 김기정(1997). 사범대 학생들의 학교생활적응 및 취업 전망에 관한 실태조사. 서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실, 15, 35-86.
  4. 김명주(2009). 무용전공 대학생의 진로의식과 진로결정에 관한 연구. 무용학회논문집, 58, 19-39.
  5. 김민정.김봉환(2007). 불안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진로결정 수준에 미치는 영향. 진로교육연구, 20(1), 13-25.
  6. 김병찬(2003). 사범대생들의 사범대학 진학동기와 적용과정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0(1), 57-83.
  7. 김봉환.김병석.정철영(2008). 학교진로상담. 서울 : 학지사.
  8. 김선미.심인선(2006). 한국과 미국 고등학생의 진로 결정 자율성과 영향요인 비교 분석. 비교교육연구. 16(1), 1-19.
  9. 김성경(2003).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2), 215-237.
  10. 김영진(1991). 사립사법대생들의 생활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김태희.장경로(2007). 체육계열 전공 대학생들의 전공 및 학과 만족, 그리고 대학 및 직업 위상에 대한 인식이 관련 직업선택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지, 31, 69-78.
  12. 김홍태.윤지현.최호.이동준.김재근(2007). 예비 생물 교사 및 과학교육 계열 대학생들의 진학 및 진로 선택에 대한 연구.-서울대학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생물 교육학회지, 35(3), 475-494.
  13. 박수연(2000). 유아 교사 자질과 양성 체제에 대한 유아 교사의 인식 분석.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박은혜(2002). 지식 기반 사회에서의 유아교사의 지식. 서울 : 창지사.
  15. 송정원.이현정.이대균(2007). 2,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과 적응과정의 질적 고찰.-신입생이 인식하는 학과의 문화적 특성을 중심으로-. 열린유아교육연구, 12(4), 385-411.
  16. 염지숙(2003). 유아교사들의 교직경험 : 현장으로부터의 목소리. 한국유아교육학회, 한국유아교육의 정체성확립을 위한 토대. 한국유아교육학회 2003 연차학술대회.
  17. 오현숙(2008). 대학생이 지각하는 취업전만, 영역별 삶의 목표 및 삶의 만족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사회문제, 14(4), 19-37.
  18. 윤경선(2009). 부모-자녀 친밀성이 학교생활적응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유아교육전공 여자 대학생을 중심으로-.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6(2), 71-92.
  19. 이미경(2008).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와 진로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전라북도를 중심으로-. 한일 장신대학교 아시아태평양 국제신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학원(1999). 사범대학의 교육실습의 문제점과 그 개선방향. 강원대학교 교육연구, 9, 121-138.
  21. 임승렬.박은혜.김명순.김희진(2003). 유치원교사의 자격제도와 임용고사에 관한 연구. 열린유아교육연구, 8(1), 271-297.
  22. 정철영(1994). 개인 대학에서의 효율적인 진로지도 체제와 실시방안에 관한 연구. 고등교육학회, 6(1), 29-46.
  23. 제경숙(2003). 유치원 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교사양성의 방향. 교육이론과 실천, 13(2), 25-40.
  24. 조경자.이현숙(2005). 유아교육과 학생들의 전공 선택 동기와 유아교사직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1), 289-312.
  25. 조형숙.이경민(2004). 유아교육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영유아교사 양성체제 확립방안. 유아교육학논집, 8(4), 219-237.
  26. 주봉관(2008). 유아교사의 사기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주명애(2001). 보육교사의 사기저해 요인 분석. 순천향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예비교원국, 전국국립사법대학학생연합, 서울지역사범대학학생대표자협의회(2002). 사범대학생 의식조사 분석 보고서. 서울 :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예비교원국.
  29. Book, C. L., & Freeman. D. J. (1986). Differences in entry characteristic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teacher candidates.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7(2), 47-51. https://doi.org/10.1177/002248718603700209
  30. Doyle, W. (1990). 'Themes in teacher education reasearch'. in W. Robert Houston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er Education. New York : Macmilan Publishing Company. pp.3-24.
  31. Duffy, T. M., & Cunningham, D. J. (1996). 'Constructivism : inplications for the design and delivery of instruction'. Handbook of Research for Educational communications and technology. pp.170-198.
  32. Huberman, M. (1993). The lives of teacher. New York : Columbia University.
  33. Kronus, C. L. (1969). Occupational career decision : Temporal patterns and sociological correlates. The University of Chicago Ph.D Dissertation.
  34. Yong, B. C. S. (1995). Teacher trainees' motives for entering into a teaching career in Brunei Darussalam. Teaching & Teacher Education, 11(3), 275-280. https://doi.org/10.1016/0742-051X(94)00023-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