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Case Report of dcrease of hypodense region on CT images in ischemic cerebrovascular disease patient treated with Antiplatelet agent and Cheonghyulgangki-tang

항혈소판제제와 청혈강기탕(淸血降氣湯)을 병용 투여하여 CT영상에서 저음영부위의 감소를 보인 허혈성 뇌혈관질환 환자의 증례 보고

  • Shin, Woo-Jae (Dep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Se-Myung University) ;
  • Cha, Ji-Hye (Dep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Se-Myung University) ;
  • Kim, Tae-Yeon (Dep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Se-Myung University) ;
  • Park, Yu-Jin (Dep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Se-Myung University) ;
  • Ko, Heung (Dep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Se-Myung University) ;
  • Kim, Gi-Tae (Dep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Se-Myung University) ;
  • Sin, Sun-Mi (Dept. of Internal Medicine, Oriental Medical Hospital of Se-Myung University)
  • 신우재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부속 제천병원 내과학교실) ;
  • 차지혜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부속 제천병원 내과학교실) ;
  • 김태연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부속 제천병원 내과학교실) ;
  • 박유진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부속 제천병원 내과학교실) ;
  • 고흥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부속 제천병원 내과학교실) ;
  • 김기태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부속 제천병원 내과학교실) ;
  • 신선미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부속 제천병원 내과학교실)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ischemic penumbra represents part of the hypoperfused region associated with focal brain ischemia. A practical approach is to define this region as that portion of the ischemic territory that can potentially be salvaged by timely interven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ischemic stroke, antithrombotic therapy is prescribed. But medication of antiplatelet agent is only validated as prevention effect. Cheonghyulgangki-tang has been used for cerebral apoplexy, hypertension, etc. In this case report, an acute ischemic stroke patient was treated with an antiplatelet agent named Plavix and Cheonghyulgangki-tang and remarkable reduction of ischemic portion in the brain CT was observed. The result of this case suggests that oriental medical therapy could be a safe and effective intervention in acute ischemic stroke.

Keywords

References

  1. 황윤준. 고양이의 일시적 국소 뇌허혈 모델에서 시간 변화에 따른 가역적 허혈부의 자기공명영상. 연세대학교 대학원 의과학사업단. 2002.
  2. The National Institute of Neurological Disorders and Stroke rt-PA stroke study group. tissue plasminogen activator for ischemic stroke. N Engl J Med. 1995;333:1581-7. https://doi.org/10.1056/NEJM199512143332401
  3. 이준. 뇌졸중 환자의 치료와 관리에 관한 주요 관점. 가정의학회지. 2006;27(4):229-41.
  4. 도화범 이병철 이일형 김진혁 김성민 권기한 급성 허혈성 뇌졸중에서 지속적 유로키나제 정주요법의 효과와 안전성 대한신경과학회지. 1999; 17(2):189-94.
  5. 뇌졸중임상연구센터. 뇌졸중진료지침. p. 141-2, 205-10.
  6. 송영목 등. 허혈성 뇌졸중의 급성기에 투여한 아가트로반의 임상 효과: 다기관, 무작위배정, 아스피린-대조 임상시험. 대한신경과학회지. 2004; 22(4):303-9.
  7. 김영석. 뇌졸중에 빈용되는 한방처방의 임상적 효능과 산화질소의 역할에 미치는 영향 및 구성 약물간의 약효에 대한 연구.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2000.
  8. 박인식. MCAO로 유발된 뇌허혈에서 우황청심원(牛黃淸心元)의 신경세포보호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해부학회지. 2006;39(3):227-33.
  9. 이순호, 신경호, 김종욱. 중풍칠처혈 자침이 뇌혈류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21(3): 83-97.
  10. 고성규. 허혈경계부의 감소를 보인 뇌졸중 환자에 대한 증례보고.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0; 21(2):341-8.
  11. 고병희, 송일병. 청혈강기탕의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경희한의대논문집. 1986;9:179-92.
  12. 고기영, 서대철, 이대홍, 김준형, 최충곤, 이호규, 이명종. 급성 허혈성 뇌경색의 혈전용해치료: 동맥내 유로키나제 투여와 정맥내 헤파린, 유로키나제 투여시의 비교 연구. 대한방사선의학회지. 1996;35(1):1-11.
  13. 방옥선 등. 뇌혈관질환의 한의학변증 지표 표준화 및 과학화 기반연구. 한국한의학연구원 연구보고서. 2007.
  14. 김영석 등. 뇌졸중에 빈용되는 한방처방의 임상적 효능과 산화질소의 역할에 미치는 영향 및 구성약물간의 약효에 대한 연구. 한방치료기술연구개발사업최종보고서. 2002
  15. H. Becker, H. Desch, H. Hacker and A. Pencz. CT Fogging effect with ischemic cerebral infarcts. Neuroradiology. 1979;18:185-92. https://doi.org/10.1007/BF00345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