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rvey on the Recognition of the Childhood Teacher about Children, Family and Community Resilience

유아.가족.지역사회 탄력성에 관한 유아 교사의 인식

  • 신혜경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정복지학과) ;
  • 김영주 (울산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아동가정복지학과) ;
  • 송연숙 (울산과학대 유아교육과)
  • Received : 2009.11.15
  • Accepted : 2010.03.17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This study aims to find out how childhood teachers recognize the characteristic of children, family and community resilience and there are any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family and community resilience that teachers recognize. In this Study, 280 teachers working in kindergarten and nurseries in Busan and Ulsan Metropolitan City were subjected to questionnaire survey. Data obtained were analyzed by using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standard deviation, one-way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of SPSS 12.0 statistical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childhood teacher recognized optimism and positiveness as characteristics of childhood resilience. Second, childhood teacher recognized family cohesion and role stability as characteristics of family resilience. Third, childhood teacher recognized community service and support system as community resilience. Fourth, childhood teacher recognized illustrates mutually organic relationship amongst them, childhood resilience was found to be more closely related to family resilience.

Keywords

References

  1. 강창현(2006). 가족지원 서비스 공급을 위한 건강지원센터 사업구조 연구. 한국가족학회지, 18(2), 165-189.
  2. 강희경(2005). 가족의 건강성과 학령기 아동의 자아 탄력성.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3(3). 93-102.
  3. 구정화(2005). 한 부모 가족의 가족 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고은(2005). 가족 탄력성이 장애 아동 아버지의 양육 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5. 김미옥(2001). 장애아동가족의 적응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에 관한 연구(Family Resilience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 김인순(2007). 북한이탈주민의 지역사회 복지적 지원방안연구.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 김종원, 진혜경, 최윤정(2001). 학령기 집단따돌림 피해 및 가해아동의 인격성향에 관한 연구. 대한소아 청소년 정신의학회지, 12(1), 94-102.
  8. 김현진(2007). 유아 교사의 과학 교과 교육학 지식 측정도구 개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9. 남지현(2006). 아동의 자아 탄력성과 인터넷 중독의 관계. 청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0. 노서연(2003). 어머니 부모 역할 만족도 및 아동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 유능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박은희(1996). 자아 탄력성, 지능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현진(1996). 자아 탄력성에 따른 지각된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 고려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 서미경(1997). 치매노인 대상 가정 봉사원 사업의 확대방안. 한국 노년학회지, 17(2), 86-102.
  14. 서보순(2008). 유아 특수교사의 자질에 관한 자기평가 도구 개발 기초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신윤자(2005).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 탄력성 및 학교 생활적응과의 관계 연구.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신정희(2007).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자아 탄력성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심순애(2007). 보육교사의 자아 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안순옥(2007). 가족 탄력성이 재혼가족 부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9. 옥선화 . 이미숙 . 이주리 . 권희경 . 남영주(2006). 청소년 자녀기 가족의 레질리언스 척도개발 연구: 척도의 타당화 검증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4(1), 60-73.
  20. 윤수희(2005). 가족 탄력성이 치매노인 부양가족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윤현희(1998). 부모보고형의 자아 탄력성 척도의 개발.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상옥(2005). 초등학생의 시험스트레스와 신체화 증상: 자아탄력성의 중재 효과.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이소영(2007). 아동의 사회적 지지, 자아 탄력성과 스트레스의 관계. 경인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이수연(2008). 결혼 이민여성 가족의 스트레스가 가족 적응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이우룡(2007). 지역사회 복지증진을 위한 주민자치센터의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특별시 주민자치센터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이은미 . 박인전(2002). 부모-자녀 유대관계와 아동의 자아탄력성과의 관계. 한국 가족복지학회지, 7(1), 3-24.
  27. 이인옥(2007). 지체장애인을 위한 지각된 낙인 측정도구개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8. 이진아(2007). 한 부모 가정 아동이 지각한 양육태도와 사회적 지지 및 아동의 자아 탄력성이 심리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9. 이진희(2006). 지역사회 복지네트워크 구축의 관점에서 본 지역사회 복지협의체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임유미(2007). 이혼여성 한 부모 가족의 가족 탄력성이 가족 적응에 미치는 영향: 모자 보호시설 가족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1. 장용주(2007). 장애아동 가족의 탄력성과 아동의 사회적 능력 과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장태숙(2007). 그림책을 활용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자아 탄력성과 우울성에 미치는 효과.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33. 전아영(2006). 자녀가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기애정 성격특성 및 자아 탄력성과의 관계. 남서울대학교 디지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4. 정미현(2003). 부모의 양육태도와 아동의 자아 탄력성 및 친구간 갈등해결전략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35. 정소희(2004).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자아 탄력성, 학업능력지각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창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6. 조계연(2006). 아동의 자아 탄력성과 심리적 가정환경(부모의 양육태도, 가족건강성) 및 문제행동 간의 관계.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7. 주창섭(2000). 지역사회 특수교육센터로서의 특수학교. 국내세미나 자료집, 7, 121-126.
  38. 최락인(2006). 지역사회 안착을 위한 탈북자 주거 지원정책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 개발학회, 18(3), 119-146.
  39. 탁미경(1996). 유아 교사 자기평가척도의 개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0. 한경은(2005). 아동의 학대경험과 자아 탄력성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수준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논문.
  41. 현은민(2007). 한 부모 가족의 적응-가족 탄력성의 완충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5(5), 107-126.
  42. Boehm, D., Wertlieb, R., Bendori, J., & Fishman, F.(2007). Building Resilience among children at Risk: Action Research to Guide Community-based programs. Posted 2007 International Qualitive Research Annual Meeting.
  43. Block, J. H., & Block, J.(1980). The role of ego-control and ego-resiliency in the organization of behavior. In W. A Collins(Ed),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13), Hillsdale, NJ: Erlbaum.
  44. Block, J., & Kremen, A. M.(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0(2), 349-361.
  45. Garmezy, N.(1999). Children in poverty: resilience despite risk. Psychiatry, 56, 127-136.
  46. Hawley, D. R, & Dehaan, L.(1996). Toward a definition of family resilience: Integrating life span and family perspectives. Family Processes 35, 283-298. https://doi.org/10.1111/j.1545-5300.1996.00283.x
  47. Kirby, L. D., & Fraser, M. W(2000).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In M. W. Fraser(Ed.), Risk and resilience in childhood: An ecological perspective, 10-33. Washington DC: National Association of Social Workers.
  48. Masten, A. S., & Garmezy, N.(1990). Resilience and development: Contributions form the study of children who overcome adversity.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2, 425-444. https://doi.org/10.1017/S0954579400005812
  49. Murphy, L., & Muriarity, A.(1976). Vulnerability, coping and growth: From infancy to adolescence. New Haven: Yale University Press.
  50. O'Connell-Higgins, R.(1983).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capacity for intimacy. Qualifying paper.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51. Walsh, F.(1998). Strengthen Family Resilience, NY: the Guillford.
  52. Werner, E. E., & Smith, R, S.(1982). Vulnerable but invincible: A longitudinal study of resilient children and youth.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53. Wolin, S. J., & Wolin, S.(1993). The Resilient Self: How Survivors of Troubled Families Rise Above Adversity, NY: Vill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