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지속가능한 발전을 위한 해체산업분석 및 제안

The Analysis and Suggestion of Demolition Industry for Sustainable Development

  • 김창학 (진주산업대학교 토목공학과) ;
  • 김효진 (한국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녹색성장연구실) ;
  • 강인석 (경상대학교 토목공학과)
  • 투고 : 2009.07.17
  • 심사 : 2010.03.05
  • 발행 : 2010.05.31

초록

2010년 이후 약 890만호에 이르는 잠재적 해체대상 노후건물을 보유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에 따라 현재 약 1.5조원 규모의 국내 해체시장은 10년 후에는 5.8조원, 그리고 20년 후에는 11.8조원까지 급속하게 성장 할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해체산업을 위한 법 등을 위한 준비가 선진외국에 비해 매우 미비한 실정이며, 이와 관련된 연구결과 또한 매우 부족하다. 본 논문에서는 해외해체산업의 동향을 분석하고 국내해체시장의 동향 및 예측을 실시하였다. 해체산업은 건설산업과 25년이상의 격차를 보이는 후행산업이다. 이러한 경향을 정확히 분석함으로서 건설폐기물 관리를 위한 기준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분석을 통해 향후 해체산업이 건설업종으로 발전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Since 2010, it is estimated that the old building to be dismantled potentially will be about 8.9 million house in domestic country. Consequently, now domestic demolition market size of about 1.5 trillion won is forecasted to be grow rapidly into the size of 5.8 trillion won. But in the domestic country, preparation of the raw and regulation for the demolition industry is very insufficient compared with advanced country, and the related research is also very insufficient. Therefore, in this study, it is performed to analyse and predict a trend of domestic demolition market after analysing a current trend in overseas demolition industry. A demolition industry is a related industry fallen behind over 25 years compared with a construction industry. The exact analysis of those trends will make it possible to set the standard for demolition waste management. Also this study suggests methods be able to develop the demolition industry into main area of construction industry through those analysis.

키워드

참고문헌

  1. 건설교통부(2006),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도심지 건축물 해체기술 연구기획보고서.
  2. 건설교통부(2006),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환경위해요인 최소화를 위한 도심지 고층건물의 유향별 최적 해체기술 개발.
  3. 국토연구원(2005), 주택수요조사연구(중간심의자료).
  4. 대한주택공사(2005), 주택통계요람.
  5. 대한주택공사(1996), 구조물의 해체공법에 관한 연구(1).
  6. 한국건설산업연구원(2002), 21세기 건설환경 변화와 중장기 건설투자 전망.
  7. Euroconstruction(2005), Barcelona.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 of Chemical Admixtures on Removal of Scattered Dust vol.13, pp.6, 2013, https://doi.org/10.5345/JKIBC.2013.13.6.5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