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설계프로젝트 참여자간 협업지원을 위한 설계협업관리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for Multiple Participants in Design Projects

  • 이지희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 이준성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 신승우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 박경록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 임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건축공학과)
  • 투고 : 2009.11.30
  • 심사 : 2010.02.04
  • 발행 : 2010.05.31

초록

건축프로젝트는 다수의 참여자가 공동의 목표 실현을 위해 다양하고 복합적인 형태로 상호협력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그 중에서도 프로젝트의 초기단계에 속하는 설계프로젝트는 프로젝트 전체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단계라 할 수 있으며 참 여주체간의 밀접하고 지속적인 협력체계를 필요로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설계프로젝트단계의 원활한 협업구조를 통한 프로젝트의 성공적 수행 지원을 목표로 프로젝트 참여주체 간 이동 정보 및 협의를 지원하는 설계협업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연구 수행을 위해 설계관련 실무전문가들과의 면담을 실시하여 국내 설계협업관리 현황 및 협업 저해 요인들을 파악하였고, 요인분석을 통해 발주자 협업관리 요소와 엔지니어 협업관리 요소를 도출하였다. 또한, 도출된 관리요소를 바탕으로 설계협업관리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시스템적 관리 방안의 틀을 정립하였고, 이를 통해 발주자/설계자/엔지니어의 협력지원 시스템인 설계협업관리 시스템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하는 설계협업관리 시스템은 효율적인 설계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지원수단으로써, 프로젝트 참여자의 협업을 최대화시킬 수 있는 관리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 향후 이와같은 설계관리 기술분야의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설계품질의 향상 및 설계프로젝트의 경쟁력 제고를 기대해본다.

Construction Projects have mutual collaborative structures among various participants for common objectives. Most of all the design project which is the initial phase in the project is crucial for determining project overall quality and requires intimate and continuous relations between project participants. Thus, this study suggests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for successful performing projects through cooperation among participants in the initial stage of projects. First, expert interviews were performed to figure out present conditions of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and problems. The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draw owner's collaboration factors and engineer's collaboration factors. Based on those factors, this study suggests design cooperation management process which gives a framework for systematic management method. Through the process the design collaboration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which helps owner/designers/engineer's co-work. The System suggested from this study realizes systematic information management tool and through that it is expected to improve design product;'s quality, and further contribute the advancement of project.

키워드

참고문헌

  1. 나경철 외(2001). "협력설계를 통한 건설프로세스 개선방안".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제2권 4호.
  2. 신재원 외(2006). "설계 협업 과정에서의 효과적인 설계관리를 이한 정보 중심의 설계 업무 프로세스 모델링 기법 제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2권 8호.
  3. 오승준 외(2004). "건축 협력설계 의사결정 지원모델의 적용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20권 8호.
  4. 이지희 외(2009). "설계프로젝트의 효율적 정보관리를 위한 웹 기반 발주자 요구사항 정보화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관리 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9-11. pp803-807.
  5. 이현수 외(2002). "복합건설 프로젝트의 협력설계 의사결정 모델".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18권 12호.
  6. 전재열 외(2003)." 건축설계 단계별 협력설계 의사결정 지원프로세스 구축 방안".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19권 11호.
  7. 최연주 외(2006). "설계업무 현황파악을 통한 설계관리 중점요소 도출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제 22권 10호.
  8. Danesi, F. et al.(2006) "Collaborative design : from concept to application" IEEE. p.90-96
  9. Gross M D. et al.(1998) "Collaboration and coordination in architectural design : approaches to computer mediated team work" Automation in Construction. v.7 no. 6, p.465-473 https://doi.org/10.1016/S0926-5805(98)00055-7
  10. Kamara. J. M. et al.(2000) "Establishng and processing client requirements - a key aspect of concurrent engineering in construction" Engineering, Construction and Architectural Management, v. 7, p.15-28

피인용 문헌

  1. Primary Management Factors for Collaboration among Participants in Technical Proposal Tendering vol.17, pp.5, 2016, https://doi.org/10.6106/KJCEM.2016.17.5.0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