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a Hearing Test to Measure Progress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소음성 난청 진전도 측정을 위한 청력측정법에 관한 연구

  • 권형준 (숭실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 이성태 (숭실대학교 정보통신융합학과) ;
  • 배명진 (숭실대학교 정보통신공학과)
  • Received : 2009.12.14
  • Accepted : 2010.02.24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Lowering of auditory caused by noise is increased, these days. Especially, people who have noise induced hearing loss by permanent exposure to noise are increased according to spread out of multimedia and improvement of information equipment. The pure tone audiometry used in the hospital presently inspect auditory manually up to 8,000 Hz bandwidth. So the case of noise induced hearing loss which suffered from extended high frequency over 8,000 Hz, there is a problem to prevent hearing loss by precognition. In this paper, we proposed a method to prevent noise induced hearing loss by using extended high frequency bandwidth from 12,000 Hz to 20,000 Hz. We have got a experimental result to fifty of twenties who are often used to earphones through portable equipment. As a result, 36% of twenties show lowering of auditory caused by noise and 2% of them shows severe loss of hearing.

최근 노화현상 외에도 소음으로 인한 청력저하를 호소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특히 멀티미디어의 보급과 휴대용 정보기기의 발달로 지속적인 소음에 장시간 노출되어 청각 세포의 손상이 발생하여 청력 손실이 발생하는 소음성 난청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병원에서 실시하고 있는 순음청력검사는 8000 Hz까지의 주파수대역을 수동으로 조절하며 검사하므로 8,000 Hz 이상의 확장 고주파수에서도 손실을 가져오는 소음성 난청의 경우 회화 영역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아 조기에 청력저하를 파악하여 예방하기에는 부적합한 단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12,000 Hz∼20,000 Hz 고주파 대역을 이용하여 소음성 난청을 조기에 파악하여 예방하기 위한 청력측정법을 제안하였다. 휴대용 정보기기를 통해 이어폰을 많이 사용하는20대 남녀 50명을 대상으로 제안한 측정법으로 청력을 측정한 결과 36 %가 소음으로 인한 청력 저하를 보였다. 그 중 2 %는 청력의 손실정도가 심각함을 보였다.

Keywords

References

  1. Zislis T. Fletcher JL, "Relation of high frequency thresholds to age and sex," J. Aud. Res., vol. 6, pp. 133-137, 1965.
  2. Fletcher JL, "Reliability of high frequency thresholds," J. Aud. Res., vol. 12, no. 4 pp. 133-137, 1965.
  3. Northern JL, Downs MP, Rudmose W, Glorig A, Fletcher JL, "Recommended high frequency audiometric threshold level (8000-18000 Hz)," J. Acoust. Soc. Am., vol. 52, pp. 585- 595, 1972. https://doi.org/10.1121/1.1913149
  4. Kenneth N. Stevens, "Acoustic Phonetics,"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 vol. 109, no. 1, pp. 203-212, 1998,
  5. Ahmed H. O, Dennis J. H, Badran O, Ismail M, Ballal S. G, Ashoor A and Jerwood D, "High-frequency (10 - 18 kHz) hearing thresholds: reliability, and effects of age and occupational noise exposure," Occupational Medicine, vol. 51, no. 4, pp. 245-258, 2001, https://doi.org/10.1093/occmed/51.4.245
  6. 견두헌, 배명진, "연령에 따른 주파수 대역의 청력특성 연구", 한국통신학회. 제 20회 신호처리합동학술대회 논문집, KSPC'07, vol. 20, no. 1, pp. 142-143, 2007.
  7. Masayuki Sakamoto, Masashi Sugasawa, Kimitaka Kaga and Tomokazu Kamio, "Average Thresholds in the 8 to 20 kHz Range as a Function of Age," Scnadinavian Audiology, vol. 27, no. 3, pp. 189-192, 1998. https://doi.org/10.1080/010503998422728
  8. 고의경, "난청의 진단," J. Clinical Otolaryngol, vol.14, no. 2, 2003,
  9. Northern JL, Downs MP, Rudmose W, Glorin A, Fletcher JL, "Recommended high frequency audiometric threshold levels (8,000-18,000)," J. Acoust. Soc. Am., vol. 52, pp. 585-595, 1972. https://doi.org/10.1121/1.1913149
  10. 대한청각학회편, 청각검사지침, 학지사, 2008.
  11. 신승원, 김경섭, 윤태호, 한명희, 이상민, "PDA 기반의 청력 검사를 위한 데이터베이스 구성," 정보 및 제어학술대회논문집, pp. 385-387, 2005.
  12. 윤상훈, 박태영, 배명진, "음성특성을 이용한 청력연령 측정에 관한 연구," 한국음향학회, 제 23회 음성통신 및 신호처리학술대회 논문집, 제 KSCSP2006, vol. 23, no. 1, pp. 249-252, 20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