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생의 비례에 관한 비형식적 지식 분석

An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ormal Knowledge In Proportion

  • Park, Sang-Eun (Yulgok Elementary School) ;
  • Lee, Dae-Hyun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 Rim, Hae-Kyung (Depart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Gwa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투고 : 2010.03.18
  • 심사 : 2010.04.09
  • 발행 : 2010.05.15

초록

본 연구는 비례 개념을 배우지 않은 초등학생들이 가지고 있는 비형식적 지식을 조사 분석하여, 비례 개념 지도에 대한 시사점을 얻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위해 정비례, 반비례에 관한 선행학습을 하지 않은 6학년 학생 117명을 연구대상으로 본 연구에서 개발한 정비례 7문항, 반비례 4문항을 이용하여 조사 연구를 시행하였다. 또 학생들이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보인 비례에 관한 비형식적 지식을 심층적으로 알아보기 위하여 문제해결 전략별로 9명의 학생들을 선정한 후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교에서 정비례, 반비례 개념을 배우지 않은 6학년 학생들은 정비례 문제와 반비례 문제를 해결할 때 곱셈추론전략, 비례추론 전략, 한 단위 전략 등을 사용하여 해결하였다. 학생들이 비례에 관한 비형식적 지식을 적극 활용한다는 사실은 이를 형식화하여 의미 있는 비례 개념 지도가 가능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informal knowledge of students who do not learn the conception of proportion and to identify how the informal knowledge can be used for teaching the conception of proportion in order to present an effective method of teaching the conception. For doing this, proportion was classified into direct and inverse proportion, and 'What are the informal knowledge of students?' were research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17 sixth-graders who did not have prior learning on direct and inverse proportion. A total eleven problems including seven for direct proportion and four for inverse proportion, all of them related to daily life. The result are as follows; Even though students didn't learn about proportion, they solve the problems of proportion using informal knowledge such as multiplicative reasoning, proportion reasoning, single-unit strategy etc. This result implies mathematics education emphasizes student's informal knowledge for improving their mathematical ability.

키워드

참고문헌

  1. 교육인적자원부 (2002).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수학 6-가. 서울: 천재교육.
  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3. 박수희 (2009). 비와 비례에 대한 문제해결 과정에서 나타나는 초등학생 4학년 학생들의 비형식적 지식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박현미 (2006). 자연수의 나눗셈에 관한 초등학교 학생의 비형식적 지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백선수 (2004). 비형식적 지식을 활용한 분수 곱셈과 나눗셈에서의 형식화 지도 방안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안숙현 (2008). 5, 6, 7학년 학생들의 비례추론 능력 실태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7. 오유경 (2009). 분수 개념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비형식적 지식 분석: 1-3학년을 중심으로.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이영숙 (1998). 비례 문제 해결 전략과 오류에 대한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이선미 (2009). 나눗셈에 관한 비형식적 지식의 형식화 지도방안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 정유진 (2009). 제 7차 수학과 교육과정과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비교․분석. 경성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정은실 (2003b). 비 개념에 대한 역사적, 수학적, 심리적 분석. 수학교육학연구, 5(4), pp.521-440.
  12. 정행기 (2000). 비례 문제의 문제 상황과 내용 친숙성에 따른 초등학생의 비례 논리 발달 조사.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최효진 (2005).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비례 문제 해결 전략과 함수 개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최혜진 (2008). 자연수의 곱셈에 관한 초등학교 학생의 비형식적 지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홍은숙 (2007). 분수 개념에 관한 초등학생의 비형식적 지식. 서울교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Baroody, A. J., & Coslick, P. T. (1998). Fostering children's mathematical power: An investigative approach to K-8 mathematics instruc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7. Becker, J. P., & Selter, C. (1996). Elementary school practices. In A. J. Bishop, K. Clements, C. Keitel, J. Kilpatric, & C. Laborde (Eds.), International handbook of mathematics education (pp.511-564).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18. Lamon, S. J. (1993). Ratio and proportion: children's cognitive and metacognitive Processes. In T. P. Carpenter, E. Fennema, & T. A. Romberg(Eds.), Rational number(pp.131-156).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19. NCTM (1989). Curriculum and evaluation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achers of Mathematics.
  20. NCTM (2000). Principles and standards for school mathematics. Reston, VA: National Council of Techers of Mathematics.
  21. Nunes, T., Schliemann, A. D., & Carraher, D. W.(1993). Street mathematics and school mathematics. Victoria: Cambridge University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