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sychology analyzing system using spectrum component density ratio of EEG based on BCI-TAT

EEG 대역별 스펙트럼 활성 비를 활용한 BCI-TAT 기반 심리 분석 시스템

  • 신정훈 (대구가톨릭대학교 컴퓨터정보통신공학) ;
  • 진상현 (성균관대 전자전기컴퓨터공학과)
  • Received : 2010.03.15
  • Accepted : 2010.04.29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Studies that can find resolutions to problems of subjective psychiatric analysis must be performed and indeed they are in the process. However there still lies many problems in researches of mentality examination, which should be the foundation of finding potential resolutions.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the conventional system is that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by psychiatrists depending on their educations and experiences. There is no objective standard on the subjects and there is no effective psychiatric analysis method. Also, the characteristic of such examinations is that it cannot be applied to disabilities, foreigners and infants alyce the examination is ch examinconversation. The objective of this atudy is to standardize TAT(Thematic Apperception Test)analysiBallken index method so that subjective data from the examination can be excluded and the examination thus maklysithe examination objectified. Furthermore, objective result and patients' brain wave pattern is read with BCI(Brain Computer Interface) ch exaTherenvironment to Alsare it to brain wave characteristics vectors to reate brain-wave characteristics vector DB. Therefore, such DB can be utilize durlysithe examination and diagnosis to reate objective examination method and standardized diagnosis system. Thus, mentality examination can be performed only with brain-wave scans with BCI based TAT system.

정신장애 관련 검사 및 진단 방안에 관한 연구는 국내 외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해결을 위한 가장 기본적인 연구인 심리검사에 관한 연구는 다음과 같은 근본적인 문제점들을 내포한다. 기존 심리 검사의 대표적인 문제점으로는 심리상담가의 전문적 훈련정도에 따른 검사 결과의 해석 차이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객관화된 심리 분석기법의 부재로부터 야기되어 지며 그 결과 동일한 피험자 응답에 대해서도 심리 검사자에 따른 서로 다른 주관적인 분석으로 귀결되어 진다. 심리검사 시 또 다른 문제점은 심리검사의 방법으로 부터 야기되어 진다. 기존의 심리검사는 다양한 의사소통을 통하여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문제는 중증장애우, 외국인, 영유아 피험자들의 심리 검사 및 분석을 어렵게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주관적인 심리검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Ballken지수법을 활용하여 주관적 심리검사 및 분석 기법중 하나인 TAT(Thematic Apperception Test)를 분석하여 정량화를 시도하며 객관화 하고자 한다. 정량화되어진 분석결과를 BCI(Brain Computer Interface)기반의 TAT환경 하에 수집되어진 사용자의 뇌파 신호와 비교분석하여 정신장애에 따른 뇌파특징벡터 DB의 구축 및 분류를 수행 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심리검사 및 진단 시스템은 기 구축된 뇌파특징벡터 DB를 활용하여 기존의 주관적인 심리검사 기법을 정량화 및 객관화하며, 피험자의 간단한 뇌파검사만으로도 심리검사가 가능하여 기존 심리검사의 대표적인 문제점을 해결 가능 할 것으로 판단되어진다.

Keywords

Acknowledgement

Supported by : 한국과학재단

References

  1. 김금란, 홍찬석, 정성환 "TAT (주제통각검사)에서 일러스트레이션 기능의 코드분석", 한국디자인학회 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46호, pp. 88-89 2002.5.
  2. 박경, "주제통각검사(TAT)", 한양대학교 학생생활담당논문소 제14차 학술세미나 2001.12.01.
  3. 윤천주, 박대현, 신정훈 "BCI기반 Thematic Application Test 시스템 구현", 한국정보처리학회 춘계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008.5
  4. 박대현, 진상현, 서은미, 신정훈 "BCI기반 Thematic Apperception Test 시스템 구현을 위한 심리상태 분석법 연구",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 추계 학술발표대회논문집, 2008.11
  5. 김영서, 박승환, 남도현, 김종기, 길세기, 민홍기 "웨이브렛 변환과 파워스펙트럼 분석을 통한 EEG 안정상태의 정량적 인식",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논문지, v.8, no.3, pp.178-184, 2007년 7월
  6. 정대영, 김민수, 서희돈 "EEG 분석과 분류시스템", 한국신호처리시스템학회논문지,v.5, no.4, pp.263-270, 2004년 10월
  7. BALKEN E.R., MASSERMAN J. H. "The Language of Phantasy: III. The Language of the Phantasies of Patients with Conversion Hysteria, Anxiety State, and Obsessive-Compulsive Neuroses," Journal of Psychology: 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Vol. 10 (1940), pp. 75-86. https://doi.org/10.1080/00223980.1940.9916985
  8. Masserman, J. H.; Balken, E. R., "The Clinical Application of Phantasy Studies", Journal of Psychology: Interdisciplinary and Applied, 1938, Vol 6, pp. 81-88 https://doi.org/10.1080/00223980.1938.9917585
  9. Jules H. Masserman, Eva R. Balken, "The Psychoanalytic and Psychiatric Significance of Phantasy", Psychoanalytic Review, 1939, 26:343-37
  10. Henry, William E, "The Thematic Apperception Technique in the Study of Culture-Per-sonality Relations". Genetic Psychology Monographs, 1947 Vol.35, pp.3-135
  11. BALKEN E.R. "A Delineation of Schizophrenic Language and Thought in a Test of Imagination", Journal of Psychology, 1943, Vol. 16, pp. 239-71. https://doi.org/10.1080/00223980.1943.9917174
  12. BALKEN E.R., "Thematic Apperception," Journal of Psychology, 1945, Vol. 20, pp. 189-97. https://doi.org/10.1080/00223980.1945.991725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