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Transition of Jidang in Changdeok-Place - Based on the Donggwoldo -

창덕궁 지당의 변화과정 연구 - 동궐도를 기준으로 -

  • Kang, Kee-Rae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of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 Lee, Kee-Cheol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강기래 (경북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기철 (경북대학교 조경학과)
  • Received : 2010.01.26
  • Accepted : 2010.03.22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Palaces of a country can be representative aggregate of the culture and arts of the country. Palaces were used not only as a living place to protect kings and royal families and to live cultural lives, but also a political place to govern the country. Kings in Choseon founded the country on the Sung Confucianism, their philosophical background. They built Bangji and Wondo as constant reminders of their philosophy. Bangji is the most apparent characteristic in the palace gardens of the Choseon Dynasty. Finding out the original form of Jidang, restoring the original and passing it on to future generations can be passing on the spiritual culture of our ancestors. This study is done to find out or locate well preserved Jidang, transformed Jidang and lost Jidang in Changdeokgung, which is the best conserved palace of Choseon. This study is composed of Jidang which has been kept in its original state, transformed Jidang, locating lost Jidang and Jidnang which has been unearthed. The total number of Donggwoldo's Jidangs is 17; those that are kept in their original state, 4; transformed Jidangs, 5; Jidangs that were lost and have been located, 8; and newly appeared Jidangs, 2. From the results, opinions on restoration are presented. This study can be a small drop in the thin stream of tradition passing onto future generations in this world where knowledge and information are transported momentarily and the classification of culture and border is mixed, yielding vagueness.

왕조시대의 궁궐은 그 나라의 문화와 예술을 대표할 수 있는 집합체이며, 궁궐은 왕과 그 일가족들의 신분과 안전을 보장하고 문화적인 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공간과 한 국가를 통치하기 위한 정치적 행위의 장소로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의 왕들은 그들의 사상적 배경인 성리학을 건국이념으로 삼았다. 그리고 그들 사상을 되새기고자 방지와 원도 등을 조성하였고, 이 방지는 조선시대 궁궐조경의 가장 뚜렷한 특징이다. 이러한 조선궁궐 내 지당(池塘)의 형태를 파악하고 그 변화 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원형의 복원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고 지당조성에 깃든 철학을 다시 한 번 되새기는 기회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는 조선시대 궁궐 중 그 원형이 가장 잘 보존된 창덕궁(昌德宮)을 대상으로 이전의 특정기록을 시점으로 하여 원형이 보존된 지당, 변형이 된 지당, 그리고 멸실된 지당을 찾거나 그 위치를 추정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그리고 원형이 유지되고 있는 지당, 형태가 변형된 지당, 멸실된 지당의 위치추정, 후대에 발견된 지당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하였다. 동궐도(東闕圖)상에 나타난 지당의 총 개수는 17개소이며, 원형이 유지되고 있는 지당은 4개소, 형태가 변형된 지당은 5개소, 멸실된 지당은 8개소이며, 새로 나타난 지당은 2개소로 고찰하였다. 그리고 도출된 결과로 복원 및 복구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오늘날처럼 지식과 정보가 순간 이동되고 문화와 국경의 구분까지도 모호하게 혼합되어 가는 상황에서 우리의 마음속에 공통적으로 내재되어 이어지는 전통 문화의 하나인 방형 지당을 현 시점에서 점검하고자 본 연구가 수행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봉진 역(1990) 한국의 건축과 예술. 關野貞, 동경제국대학 한국건축 조사보고. 서울: 한국도서출판공사.
  2. 국립문화재연구소(2006) 북궐도형. 대전: 대전충남인쇄정보산업협동조합.
  3. 권점수(2007) 한국 옛다리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조선궁궐의 금천교를 중심으로. 충남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현준, 심우경(2007) 동궐도에 나타난 식재현황 및 특징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41-154.
  5. 문다미, 이재근(2000) 궁궐 공간의 배수세계에 관한 연구: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8(2): 1-12.
  6. 문화재청(2005) 동궐도 읽기. 서울: 문화재청 창덕궁관리소.
  7. 백종철(2001) 조선시대 궁궐에 조성된 취병의 특성에 관한 연구: 동궐도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서울특별시사편찬위원회(1957) 궁궐지(영인본). 서울: 서울옵셋트인쇄사.
  9. 손별(1999) 민가정원에서 지당과 정자공간의 경관특성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신지혜(2004) 17-18세기 경회궁 동궁의 건축특성에 관한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오현진(2005) 조선사대 궁궐 정전일곽의 공간비례와 구성기법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국병(1978) 조경사. 서울: 일조각.
  13. 이돈수, 이순우(2009) 꼬레아 에 꼬레아니(사진해설판). 서울: 하늘재.
  14. 이상민, 정수정, 허학영, 안동만(2001) 조경시공과 식물일반: 우리나라 궁궐자당의 조성기법에 관한 기초조사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9(1): 124-130.
  15. 이상필(2005) 한국 전통원지조영에 관한 연구: 옛 그림 및 발굴 조사된 원지를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이순자(2009) 일제강점기 고적조사사업연구. 서울: 경인문화사.
  17. 이영일(2007) 경복궁의 공간구조변천에 관한 연구: 일재 강점기 이후를 대상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8. 이혜원(2008) 고려대학교 박물관 소장 "경복궁배치도"의 제작시기와 사료가치에 대한 연구. 건축역사연구 17(4): 43-64.
  19. 정종수(2004) 조선시대 궁궐원유의 변전에 관한 연구: 경복궁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정혜영(2004) 고종조 경복궁교태전 일곽의 공간 구성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조선총독부(1930) 조선고적도보. 동경: 심미출판.
  22. 조송래(2005) 조선왕릉 금천교에 관한 연구. 우송대학교 정보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조재모(2003) 조선시대 궁궐의 의례운영과 건축형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4. 한국조경학회(1996) 동양조경사. 서울: 문운당.
  25. 한영우(2006) 조선의 집. 동궐에 들다: 창덕궁과 창경궁으로 떠나는 우리 역사 기행. 파주: 열화당.
  26. 황준원(2004) 조선시대 궁궐 내 길례. 흉례의식 공간에 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http://local.daum.net/ma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