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udy on Enchanted Image and Scenic Value of Jeju Bangseonmun

제주 방선문(訪仙門)의 선경(仙境)적 이미지와 명승적 가치

  • Rho, Jae-Hyu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 Shin, Sang-Sup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and Urban Design, Woosuk University)
  • 노재현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 신상섭 (우석대학교 조경도시디자인학과)
  • Received : 2010.01.07
  • Accepted : 2010.03.02
  • Published : 2010.04.30

Abstract

Bangseonmun(訪仙門) is the attractive spots where Shinseon(神仙: Taoist hermit) ideas that makes Mt. Younju(瀛洲山) or the current Mt. Halla mystique has still remained and situated at Hancheon(漢川) Valley. Bangseonmun, which is known as 'Landscape Setting Here($L_{SH}$)' of Youngguchunhwa(瀛丘春花), which is one of ten famous spots in Youngjusipkyung(瀛洲十景), and Deulreonggui refer to 'the gate to the place where Shinseon is living.' It is described as the path to Mt. Youngju for Shinseon and the boundary between the mundane world and the world beyond the mundane. The old scholars at Mt. Halla entered the gate and met Shinseon, carving the word or picture of Bangseonmun, Whanseonmun, Wuseondae or Deungyounggu so as to structure the enchanting image on Bangseonmun. It is the poetic expression of the taste for the arts, breaking from the troublesome mundane world and riding the white deer to become the Shinseon, the desire for the ideal world in Taoism, and the identity of four famous scenic spots of Bangseonmun. Besides its enchanting meaning and the locational value of Bangseonmun, geological features of the valley and river and ecological value prove its unique value as a natural scenic beauty. Not to mention the locational identity and enchanting meaning of the poets carved in Meeaegak of Bangseonmun and the scenic view of 'Youngguchunhwa' as the subject of 10 famous scenes of Youngju, it is the place for communing with nature with the natural beauty of Bangseonmun Valley. As the cultural place for being together with Jeju people, it simultaneously shows the typical model as a scenic spot in our living. Viewing the scenic value and standard from the aspect of the Cultural Properties Protection Law, Bangseonmun Valley in Jeju must be the typical place and space that meet the requirements to become scenic sites.

방선문(訪仙門)은 한라산의 옛 이름인 영주산을 신비롭게 하는 신선사상의 흔적이 가장 역력한 명소로 한천계곡에 자리잡고 있다. 영주십경의 하나인 '영구춘화(瀛丘春花)'의 대상장으로 널리 알려진 방선문(訪仙門)과 들렁귀(등영구(登瀛丘))는 문자 그대로 '신선이 사는 곳으로 들어가는 문'이라는 뜻이며, 신선의 산 영주산으로 이르는 통로이자 속세와 탈속의경계로 그려지고 있다. 조선조 선비들은 신선의 고향 한라산을 무대 삼아 방선문, 환선대, 우선대 그리고 등영구의 제액(題額)을 바위에 각자(刻字)함으로써 신선의 문에 들어, 신선을 부르고, 신선을 만나, 신선의 세계로 오르는 선경의 이미지를 방선문에 구축해 왔다. 이는 세속의 번거로움을 털고 한라산 신선이 되는 풍류 행위의 시적 표현이며, 도교적 이상세계에 대한 염원으로, 방선문 4승경의 장소 정체성을 이루는 핵심이다. 방선문이 갖는 선경적 장소성뿐만 아니라 계곡 및 하천경 관을 이루는 지질지형학적 특성과 식물생태학적 가치는 방선문이 '자연경관으로서 명승'으로도 부족함이 없음을 보여준 다. 고찰 결과를 종합할 때 방선문은 마애각에 새겨진 제영의 의미가 갖는 장소정체성과 선경적 의미 그리고 영주십경의 대상장이자 '영구춘화'의 시점장으로서는 물론 방선문 계곡의 자연적 아름다움을 바탕으로 선인과 자연과의 만남을 통한 교감의 장소로 유전되어 왔다. 지금도 제주민과 호흡하는 문화공간으로 지속되고 있음은 생활명승의 전형성 또한 동시에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현재 문화재보법의 명승적 가치와 기준으로 보았을 때 제주 방선문계곡은 명승의 조건에 가장 부합되는 전형적 장소이자 공간이라 할 만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문규(2003) 한라산 학술대탐사 3 한천. 제주: 한라일보사.
  2. 강정효(2003) 한라산: 오름의 왕국 생태계의 보고. 파주: 돌베게.
  3. 김계식(2009) 명승 지정현황과 정책방향. 문화재청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4. 김상조 역(1992) 탐라지. 이원진(1963) 耽羅誌. 제주: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5. 김학범(2009) 한국 명승의 현주소와 과제. 문화재청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6. 김해경(2007) 오늘, 옛 경관을 다시 읽다. 파주: 도서출판 조경.
  7. 노재현, 신병철, 한상엽(2009) 탐라십경과 탐라순력도를 통해 본 제주 승경의 전통. 한국조경학회지 37(3): 91-104.
  8. 문화재청(2003) 명승지정 학술 조사 연구. 문화재청.
  9. 문화재청(2004) 명승지정 학술 조사 연구. 문화재청.
  10. 문화재청(2005) 명승지정 학술 조사 연구 문화재청.
  11. 문화재청(2007a) 문화재보호법. 문화재청.
  12. 문화재청(2007b) 전통명승 동천구곡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13. 문화재청(2007c) 명승 우수자원 지정 정밀조사: 강원 지역. 문화재청.
  14. 문화재청(2007d) 명승 우수자원 지정 정밀조사: 충남 충북 대전 지역. 문화재청.
  15. 문화재청(2007e) 전용명승 동천구곡 조사보고서. 문화재청.
  16. 문화재청(2008a) 전통명승 동천구곡의 유형과 활성화 방향. 문화재청.
  17. 문화재청(2008b) 명승 우수자원 지정 정밀조사: 광주 전남 전북 지역. 문화재청.
  18. 민족문화추진회 역(1985) 면암집II: 遊漢擊山記. 최익현(1931) 서울: 한국고전번역원.
  19. 박현우(2002) 문화재보호법과 문화재 활용에 관한 관광객과 주민들의 인식 및 태도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신승진(2003) 명승 지정을 위한 평가지표 설정에 관한 연구: 영월 동강 어라연지역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양정식(1999) 제주도 지명어의 형태와 의미소 고찰. 제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오문복(2004) 영주십경 시집. 제7권. 제주: 도서출판 제주문화.
  23. 오상학(2006) 지도와 地誌로 보는 한라산. 한라산의 인문지리. 제주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
  24. 이영권(2004) 제주역사기행. 서울: 한겨레신문사.
  25. 이위수(2009) 한국 명승의 현황과 전망. 명승의 현황과 전망.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문화재청 국립문화재연구소.
  26. 이재근(2009a) 우리나라 명승 지정의 현황 및 개선방향: 한 중 일 북한과의 비교. 전통문화에 새겨진 가치와 의미. 파주: 도서출판 조경.
  27. 이재근(2009b) 명승의 개념 및 분류체계 논의. 문화재청 국제학술심포지움 자료집.
  28. 이종묵(2006) 조선의 문화공간 2책. 서울: 휴머니스트.
  29. 이진희(2005) 명승대상지 평가인자 적용에 관한 연구: 동해 무릉계곡, 함양 화림계곡을 중심으로. 상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창복(2003) 대한식물도감. 서울: 향문사.
  31. 제주도 한라산생태문화연구소(2006) 한라산악 하천. 제주: 도서출판 각.
  32. 제주시 제주문화원(1996) 제주시 옛 지명.
  33. 최석기(2008) 전통 명승의 인문학적 의미. 전통명승 동천구곡의 유형과 활성화 방안. 문화재청.
  34. 한글학회(1984) 한국지명총람 16. 전남편 4. 제주.
  35. 현행복(2004) 제주문화의 원류찾기 4. 방선문. 제주: 각출판사.
  36. http://jeju.grandculture.net
  37. http://local.daum.net/map/index.jsp
  38. http://www.cha.go.kr
  39. http://www.issuejeju.com/news/article
  40. http://www.jejumall.com
  41. http://www.minchu.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