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sefulness of Flow Composite Image in Raynaud Scan ($^{201}Tl$)

$^{201}Tl$을 이용한 레이노 검사에서 동적 Composite 영상의 유용성

  • Kim, Dae-Yeon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East-West Neo Medical Center in Kyung-Hee University) ;
  • Shin, Gyoo-Seol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East-West Neo Medical Center in Kyung-Hee University) ;
  • Oh, Eun-Jung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East-West Neo Medical Center in Kyung-Hee University) ;
  • Kim, Gun-Jae (Department of Nuclear Medicine, East-West Neo Medical Center in Kyung-Hee University)
  • 김대연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
  • 신규설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
  • 오은정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
  • 김건재 (경희대학교 동서신의학병원)
  • Received : 2009.12.09
  • Accepted : 2009.12.29
  • Published : 2010.06.05

Abstract

Purpose: Raynaud scan is divided to flow, blood pool and local-delay image. Usually, we evaluate comparison through blood pool and local-delay image. We will evaluate about usability when comparative observe blood image and local-delay image in Raynaud scan that used $^{201}Tl$ as making flow image to one sheet of images. Materials and Methods: We have selected 29 Raynaud phenomenon patients aged 14~68 years who visited department of vascular surgery between Feb. 2008 and Aug. 2009. An intravenous injection $^{201}Tl$ of 111 MBq (3 mCi) to opposite side diagonal line limbs above an internal auditing department. Equipment used Philips gamma camera forte A-Z, and collimator used LEHR. Matrix size set up to each $64{\times}64$, $128{\times}128$, $256{\times}256$ and zoom factor used to full field. Protocol of dynamic is 2 second to 155 frames. Blood pool and delay count to 300 second. We set up ROI by a foundation to data acquired in PEGASYS processing program. Each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e SPSS 12.0 statistical software. Results: Each averages of count ratio (Rt / Lt) to have been given at composite image, a blood pool image, delay images analyzed at Raynaud phenomenon patients is $1.25{\pm}0.39$, $1.20{\pm}0.33$, $1.11{\pm}0.17$. The sample analysis results of blood pool image and delay image contented itself with p<0.029. Also, there don't have been each difference, and blood pool image, delay image regarding composite image was able to know. Conclusion: We were able to give help for comparison to evaluate a blood pool image and a local delay image at the Raynaud scan which used $^{201}Tl$ while making a flow image to one sheet image. Identification to be visual too was possible. If you are proceeded a researcher that there was further depth, you are more appropriate for, and you may get useful information.

레이노 현상에 대한 검사 중 $^{201}Tl$을 이용한 검사에서 관류영상을 composite하여 혈액 풀 영상 과 국소 지연 영상 관찰 및 비교 시의 유용성에 대해서 평가하고자 한다. 2008년 2월부터 2009년 8월까지 레이노 현상을 호소로 경희대학교 동서 신의학병원 혈관외과를 찾은 29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방사성 동위원소는 $^{201}Tl$ 111 Mbq (3 mCi)를 검사부위 반대편 팔과 다리의 대각선 사지에 정맥 내 주사하였고, 최초 dynamic 관류 영상과 혈액 풀 영상 그리고 국소지연 영상을 저에너지 고해상도 조준기를 장착한 감마카메라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보고자 하는 손 또는 발에 대한 관심영역(ROI : Region of Interest)은 관류영상을 composite한 영상과 혈액 풀 영상, 국소 지연 영상 순으로 양측을 동시 분석하였고 대응표본 T 검정(SPSS v12.0)을 이용하여 p-value를 측정하여 데이터의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분석대상 29명의 레이노 환자(positive)에서 분석된 관류 composite 영상, 혈액 풀 영상, 국소 지연 영상에서 나타난 count ratio(Rt./Lt.)의 평균은 $1.25{\pm}0.39$, $1.20{\pm}0.33$, $1.11{\pm}0.17$이었다. 이를 바탕으로 혈액 풀 영상과 국소 지연 영상의 대응표본 T-검정결과 p<0.029를 만족했고, 또한 관류 composite 영상에 대한 혈액 풀 영상(p<0.038)과 국소 지연 영상 (p<0.016)이 각각 차이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201}Tl$을 이용한 Raynaud scan에서 관류 영상을 composite함으로써 혈액 풀 영상과 국소 지연 영상을 비교 평가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었다. 또한 육안적 식별도 가능하여 향후 좀 더 깊이있는 연구가 진행된다면 보다 적절하고 유용한 진단적 정보를 얻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