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국내 BIM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건축공학 설계교육 프로세스 개선

Improvement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process through an analysis of BIM courses

  • 강다영 (계명대학교 건축공학과) ;
  • 신규철 (계명대학교 건축공학과)
  • 투고 : 2010.04.30
  • 심사 : 2010.06.04
  • 발행 : 2010.06.20

초록

BIM은 최근 공공 및 민간 발주자에 의해 활용이 점차 확대 시행 되고 있으며, 설계사무실에서도 BIM을 도입하고자 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발맞추어 학부교육에서 BIM의 교육이 필요함을 인지하고, 현재 진행되고 있는 국내 BIM 교육의 현황을 파악하여 학부교육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설계교육 프로세스의 개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기존에 건축공학 교육과정에 BIM을 활용하여 구조, 시공, 설비의 각 요소의 핵심이 반영된 종합적인 설계가 가능하게 하고자 한다. 3D 중심의 설계를 통하여 구조설계교육을 강화하고 BIM 도구를 활용하여 공정 및 적산을 연계한 시공 CM교육을 강화하고 친환경 사전분석을 통해 친환경설계 교육을 이루도록 설계교육 프로세스를 개선하고자 한다.

Public institutions and owners have been introduced to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tools. BIM has become an important factor in the design process in undergrad program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monstrate the improvement of the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process through an analysis of BIM courses. BIM education courses are analyzed to compare the level of detail in BIM education. An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class needs to involve BIM in the introduction of an integrated design process. An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process needs to be based on understanding design, building structures, construction and building services. 3D Modeling helps support an understanding of building structure and eco-friendly element analysis. The new process of architectural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is proposed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키워드

참고문헌

  1. 고성룡, BIM 툴을 적용한 AEC 캐드교육 효율성 비교 연구,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제11권 제2호(통권38호), pp.93-100, 2009.6
  2. 김진구, 건축공학교육에서 건축설계, 대한건축학회지, pp.48-50, 2006.8
  3. 문현준, 국내 건축환경 분야의 BIM 활용, 대한건축학회지, pp.58-64, 2010.1
  4. 이강 외, BIM HANDBOOK, Spacetime, 2009.6
  5. 이정윤, 분리전공 체제하에서의 건축공학교육 사례, 대한건축학회지, 2006.8
  6. 이황, Ecotect를 활용한 친환경 건축설계 시뮬레이션, 문운당, 2009.8
  7. 최철호, BIM 교육 및 기술도입 전략, 대한건축학회지, pp.73-77, 2010.1
  8. BIM+TECHNOLOGY , 공간사, 2009.11

피인용 문헌

  1. BIM Awareness and Acceptance by Architecture Students in Asia vol.15, pp.3, 2016, https://doi.org/10.3130/jaabe.15.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