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hipboard sewage treatment using Membrane Sequence Batch Reactor

MSBR을 이용한 크루즈선 오·폐수 처리 장치

  • Kim, In-Soo (Division of Civil and Environment,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Eon-Sung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Oh, Yeom-Jae (Graduate school of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Kim, Eog-Jo (Youngdong engineering)
  • 김인수 (한국해양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 이언승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오염재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
  • 김억조 ((주)영동엔지니어링)
  • Received : 2010.04.13
  • Accepted : 2010.06.2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Lab scale experiment study was carried out for biological process development on cruise. SBR(Sequence Batch Reactor), MBR(Membrane Bioreactor), and MSBR(Membrane Sequence Batch Reactor) system were investigated for practical application on shipboard sewage treatment. From th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MSBR system might be suitable process for cruise in terms of pollutant removal efficiency, maintenance and special environmental conditions of cruise. About 99% of BOD, 98% of COD and 99% of SS were removed in MSBR system. In addition, about 76% of total nitrogen was reduced and the total phosphorus reduction averaged 59%.

본 연구는 크루즈선에 적합한 생물학적 오 폐수처리장치 개발을 위하여 SBR, MBR, MSBR 공정을 Lab scale 실험을 수행하여 오염물 처리 효율과 크루즈선이라는 특수 환경과의 접목성을 검토한 결과 MSBR공정이 처리효율과 장치 운영 면에서 가장 적합한 공정으로 평가되었다. MSBR 공정은 처리 대상 물질이 특정 성분에 국한 되지 않고 유기물, 영양염류, 병원성 미생물 처리에 있어 모두 안정적인 효율을 나타내었으며, 소요용적 및 장치의 운영 면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선박이라는 특수한 현장 적용에 매우 유리한 공정으로 확인되었다. MSBR 공정의 BOD, COD 및 SS 제거 효율은 99%, 98%, 99%로 나타나 IMO의 규제 기준을 모두 만족하였으며, 총질소와 인의 제거 효율도 76%, 59%로 강화되어 가는 해양오염기준을 충만족시킬 수 있는 공정으로 판단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형수(2003), “막분리 수처리 개요 및 국내외 기술 현황”, 막분리 수처리 단기교육자료, 무배출형 환경설비 지원센터
  2. 노수홍(1995), “분리막을 이용한 수처리기술의 국내 현황”, 첨단환경기술 11월호 pp. 11-21.
  3. 안태석, 홍선희, 김옥선, 유재준, 전선옥, 최승익(2001), “B3 공법을 사용하는 하수종말처리장에서 Bacillus 속 세균의 변화”, 미생물학회지 제 37권 제3호, pp. 209-213.
  4. 이병호(2005), "막분리 기술의 현재와 미래“, 첨단환경기술 5월호, pp. 5-13.
  5. 최용수, 권용운(2004), “B3 공법을 이용한 하.폐수의 고도 처리”, 한국물환경학회.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수도협 공동춘계학술발표회 논문집, pp. 235-238.
  6. Flemming, H. C. and Wingender(2001), “Relevance of microbial extracellular polymeric substance (EPSs). Part I. Structural and ecological aspects” Water Sci. Tech, Vol43, pp. 1-8.
  7. Judd, S(2006), “The MBR book : Principles and applications of membrane bioreactors in water and wastewater treatment”, Elsevier, Oxford
  8. Rosenberger, S. and Kraume, M.(2002), “Filterability of activated sludge in membrane bioreactor, Desalination Vol. 146, pp. 373-379. https://doi.org/10.1016/S0011-9164(02)00515-5

Cited by

  1. Applicability of SBR and MBR Combined Process Meets the Water Quality Standards of MEPC. 227(64) vol.24, pp.12, 2015, https://doi.org/10.5322/JESI.2015.24.12.16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