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sign and Test of Communication Networks for Aids to Navigation based on AIS

AIS 기반의 항로표지 통신망 서비스 설계 및 실험

  • Park, In-Hwan (Division of IT Engineering,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Lee, Seo-Jeong (Division of IT Engineering,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 Hwang, Seung-Wook (Division of IT Engineering, National Korea Maritime University)
  • 박인환 (한국해양대학교 IT공학부) ;
  • 이서정 (한국해양대학교 IT공학부) ;
  • 황승욱 (한국해양대학교 IT공학부)
  • Received : 2010.04.27
  • Accepted : 2010.06.21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As AIS AtoN has worked an essential role for aids to navigation, the World-wide IALA-Net has announced plans to build the system. Systematic beacon network may offer opportunities to make an infrastructure for information service and upgrade AtoN service performance. This paper proposes Aids to Navigation information service network for e-NAV. Network based on AIS is consist of AIS AtoN channels as Real, Synthetic or Virtual AIS AtoN. And inner network is consist of Wireless networks as AIS, WCDMA, WIFI, WIBRO, USN or VSAT. Introducing of various network systems can lead to combine and design aomong land, beacon and service network infrastructures.

오늘날과 같이 해상 교통량이 많은 상황에서는 선박의 안전운항을 위해 항로표지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 국제항로표지협회에서는 항로표지 통신시스템의 체계화된 기능 및 서비스기반에 관한 국제표준화를 추진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e-NAV에 대비한 항로표지 통합 관리 및 관련정보의 서비스를 위해 항로표지 정보 서비스 통신망을 설계하고 실험한다. AIS 기반의 항로표지 통신망은 외부 정보 수집과 실험을 위해 AIS AtoN과 합성(Synthetic) 및 가상(Virtual)을 포함하여 설계했다. 시스템 내부적으로는 AIS와 WCDMA 등의 무선망을 연동하는 복합구조의 통신망을 구성했다. 육상의 통신을 연계한 항로표지 정보 서비스 통신망을 통해 국제표준에 부합되는 AIS 기반 항로표지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국토해양부(2006), “항로표지집약관리시스템 운영개선 전문가 포럼 보고서”.
  2. 국토해양부(2008), 국토해양부 해양교통 시스템 구축, http://logisticsmltm.go.kr/USR/WPGE0201/m_24111/DTL.jsp.
  3. 김성준, 최은주(2007), “무선 IT기술에 기반한 해양모니터링시스템의 개발,” KISTI 보고서
  4. 박인환, 이서정, 황승욱(2009), “해양안전정보서비스를 위한 사용자정의 AIS AtoN 확장 및 실험,”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3권 6호.
  5. 윤병원(2004), “선박 교통의 관제실태와 VTS 운영 개선방안,” 도선 27호.
  6. COMAR Subcommittee(2006), Report of the COMSAR subcommittee, IMO COMSAR 10th, pp.78-82.
  7. IALA(2010), IALA Recommandataion O-143 on Virtual Aids to Navigation, Ed.1.
  8. IEC(2001) Maritime navigation and radiocommunication equipment and systems -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s(AIS), IEC 61993-2.
  9. IMO(2009) “Development of an e-navigation strategy implementation plan (by UK),” IMO NAV55차 의제 11.
  10. ITU(2001), ITU-R Recommendation M.1371-1, Technical characteristics for a universal automatic identification system using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in the VHF maritime mobile band.
  11. Liu, C., Liu, R.J., Huang, Y.L. and Shi X.F.(2006), "Application of AIS in AtoN Wireless Surveillance System," 한국항해항만학회 학술대회 논문집(Asia Navigation Conference).
  12. NAV Subcommittee(2006), Report of the NAV subcommittee, IMO NAV 52nd, pp.88-93.

Cited by

  1.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Scheme for Aids to Navigation & the Related Marine English vol.35, pp.1, 2011, https://doi.org/10.5394/KINPR.2011.35.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