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es in the Gross Motor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Ability of Children with Spastic diplegia from Group Exercise : Case Study

그룹운동프로그램에 의한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의 변화 : 사례연구

  • Lee, Eun-Jung (Ulsa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
  • Song, Ju-Min (Department of Physical Therapy, Sun-lin College University)
  • 이은정 (울산광역시장애인종합복지관) ;
  • 송주민 (선린대학 물리치료과)
  • Received : 2010.10.01
  • Accepted : 2010.11.20
  • Published : 2010.11.30

Abstract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gross motor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ability of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from group exercise program for physical and emotional interaction. Methods : Five cerebral palsy children who live in U city were recruited this study. Exercise sessions were held for 1 hour per session, once per week, for 12 consecutive weeks. At pre-treatment and post-treatment, subject were tested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self-esteem and social ability. Results : After 12 weeks of paticipation in the group exercise program for physical and emotional interaction, there were improvements for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self-esteem and social ability. Conclusion : Group exercise program for physical and emotional interaction can improve gross motor function, self-esteem and social ability.

Keywords

References

  1. 강권영, 송병호. 뇌성마비 아동에 대한 승마시뮬레이션 훈련이 대동작 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2010;109(5):277-84.
  2. 곽효정.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성 향상을 위한 미술치료효과에 대한 사례연구.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2.
  3. 구교만, 김경숙, 안동영. 지체장애인의 운동 참가 수준이 신체적 자기개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5;16(2):717-24.
  4. 구교만. 지체장애인의 체육활동 참여 기간과 자아존중감 및 자립생활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0;40(1):463-71.
  5. 김미량, 이제흥. 초등학생 아동의 여가참여유형 및 참여수준과 사회성 발달의 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09;36(2):849-57.
  6. 김미점, 박재국, 김영미 등. 감각통합프로그램이 뇌성마비유아의 감각통합능력 및 신변처리능력에 미치는 효과. 특수아동교육. 2006;8(4):37-53.
  7. 김석진, 강유석, 한동기 등. 신체활동참여 및 장애등급에 따른 뇌성마비장애인의 신체적 자기개념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08;16(3):25-45.
  8. 김정연, 윤형준. 감각자극을 활용한 운동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운동 타이밍 제어 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2010;53(2):81-97.
  9. 김준홍, 이형국. 12주간 수중재활운동 프로그램이 성장기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구성, 체력 및 폐활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2009;17 (3):169-75.
  10. 김한철. 12주간 수중운동이 뇌성마비 학생의 유산소 능력과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리서치. 2007;18(6):1029-38.
  11. 박정화. 아동의 방과 후 스포츠 종목과 참여 수준이 사회성 발달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9; 48(5):535-45.
  12. 백광, 김응준. 중학생들의 스포츠참가에 따른 사회성발달과 또래관계. 한국사회체육학회지. 2010;39(1):389-98.
  13. 백원칠, 김수겸. 성인여성의 스포츠참여변인과 자아존중감 및 주관적 행복감의 인과분석. 한국체육학회지. 2004;43(6):249-60.
  14. 서연태, 한희창, 김해미. 재활체육프로그램이 뇌성마비 아동의 신체조성, 대동작운동기능 및 일상생활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09; 17(2):99-119.
  15. 양은영. 경직성 양하지마비아의 하지 근력강화 훈련이 운동기능 및 골격근 구조에 미치는 영향.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6. 오이표, 김남익. 뇌성마비 장애인의 척추운동 재활요법이 운동기능 및 근전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2004;43(3):927-36.
  17. 이선애. 가족구조와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른 청소년 자아 및 심리적 변인. 한국가족복지학. 2007;12(1):83-103.
  18. 이은정. 스위스볼 체간안정화운동에 의한 뇌성마비 아동의 대동작 기능 및 균형 변화.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9. 이은주, 박래준, 노효련. 탄성밴드운동이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대근운동기능과 균형능력에 미치는 효과: 사례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09;17 (4):267-19.
  20. 이정화, 최인수, 이수련. 유아의 인지수준에 따른 협동학습의 효과: 사회적 능력과 자아존중감을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2010;31(2):17-34.
  21. 임의선. 지체장애인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에 관한 연구.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03;11(3):1-12.
  22. 장미옥. 하체간 근력강화 운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유형에 따른 대동작 운동 기능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특수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3. 정진, 성원경. 유아놀이와 게임활동의 실제. 서울. 학지사. 1994.
  24. 전승배. 자기성장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기존중감 및 학습 태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0.
  25. 정연택. 24주간 수영운동 프로그램에 따른 뇌성마비 장애인들의 정신건강 및 자아존중감. 한국특수체육학회지. 2008;16(3):47-67.
  26. 정진화, 이병희, 유재호. 승마운동이 뇌성마비 아동의 자세동요, 체간 근지구력 및 장악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체육과학회지. 2010;19(3):1037-46.
  27. 정희선, 남경욱. 장애아동 사회성 관련 중재 연구 고찰: 1990년-2007년 국내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지 중복지체부자유연구. 2009;52(1):149-73.
  28. 천미온. 음악치료가 학습장애아동의 자기표현, 사회성, 학교생활적응력 향상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보건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29. 최영철. 체간근강화운동이 경직성 양하지 뇌성마비 아동의 앉은 자세 균형 수행력과 손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30. 하충곤, 이강헌. 중고등학생의 신체활동 참여 유형별 신체적 자기개념의 차이.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2002;10(3):185-202.
  31. 한태륜 외. 재활의학. 2008. 군자출판사. 639-61.
  32. Bergen AF, Colangelo C. Positioning the client with central nervous system deficits: The Wheelchair & Other Adapted Equipment. Valhalla Rehabilitation Publications. 1985.
  33. Boyle C, Yeatgin-Allsopp M, doernberg N, et al. Prevalence of selected developmental disabilities survellance program, MMWR CDC Surveill Summ. 1996;45(2):1-14.
  34. Cameron MH, Monroe LG. Physical rehabilitation; Evidence-based examination evaluation, and intervention. Elsvier Inc. 2007.
  35.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Lodon, Butterworth-Heinemann. 2003.
  36. Damiano DL, Abel MF. Relation of gait analysis to gross motor function in cerebral palsy. Dev Med Child Neurol. 1996;38(5):389-96.
  37. Gilfoyle EM, Grady AP, Moore JC. Children Adapt (2nd Ed). Seoul, Yeong Mun Publishing Company, 1996:124-42.
  38. Hutzter Y, Bar-Eli M. Psychological benefits of sports for disabled people: a review. Scandinavian jurnal of medicine and Science in Sports. 1993; 3(4):217-28.
  39. Lepage C, Noreau L, Bernard PM. Association between characteristics of locomotion and accomplishment of life habits in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ical Therapy. 1998;78(5):458-69.
  40. Nelson K. Can we prevent cerebral palsy? N Eng J Med, 2003;349(18):1765-9. https://doi.org/10.1056/NEJMsb035364
  41. Noles SW, Cash TF, Winstead BA. Body image, physical attractiveness and depression. Journal of Counceling Clinical Phychology.1985;53(1):220-62.
  42. Nordmark E, Hagglund G, Jarnlo GB. Reliability of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 in cerebral palsy. Scand J Rehabil Med. 1997;29(1):25-8.
  43. Shevell M, Majnemer A, Morin I. Etiology yield of cerebral palsy: A contemporary case study. Pediatr Neurol. 2003;28(5):352-9. https://doi.org/10.1016/S0887-8994(03)00006-7
  44. Palisano RJ, Hanna SE, Rosenbaum PL, et al. Validation of a model of gross motor function for children with cerebral palsy. Phys Ther. 2000;80(10):974-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