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Purchasing Behaviors of Fur Clothing Consumers according to Benefits Sought

모피의류시장의 현황과 추구혜택에 따른 모피의류 소비자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 Kim, Ji-Young (Dept. of Clothing and Textiles, Chung-Ang University)
  • Received : 2010.05.01
  • Accepted : 2010.05.25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research investigated the purchasing behaviors of fur clothing consumers to verify fur clothing consumption and to establish marketing strategies for the fur clothing market. Since fur clothing has clear characteristics distinguishing it from other clothes,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customers' interest. Therefore, it is needed to identify some differences in the customers' interest by their own buying habits. A survey was conducted with a questionnaire and revised by using a theoretical background. Questionnaires were given to 322 ladies in their over 20s. SPSS 12.0 was used to analyse the result with analysis of frequency, a primary factor, crossing, cluster and ANOVA. There were several results as follows. First, purchase behaviors of fur clothing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groups divided by demographic variables such as marital status, age, and income level of household. Second, factor analysis on sought clothing benefits resulted in 4 dimensions such as symbolic value, brand value, economical value and practical value. Cluster analysis on the 4 factors of clothing benefits being sought resulted in 3 groups such as one group pursuing symbolism, one group pursuing practicism/economism and a group pursuing brand. Third, purchase behaviors of fur clothing and demographic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divided by clothing benefits being sought.

Keywords

References

  1. 고애란.홍희숙(1995) 의류제품에 대한 혜택세분화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9(5), 811-825.
  2. 김대현(2005) 국내 모피산업과 아웃소싱 업체의 경쟁력 강화 방안 연구.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금기숙.최혜선.유효선(2000) 의류과학과 패션. 서울: 교문사.
  4. 김미영.이은영(1991) 의복평가기준의 이론적 틀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15(3), 321-334.
  5. 김문숙(1987) 모피의복 패션방안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선희(2007) 패스트 패션에 대한 고찰(제2보) - 의복평가기준 및 점포선택기준을 중심으로. 복식문화연구 15(5), 888-901.
  7. 김영진(1986) 한국모피의류산업의 성장 전략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정무(2000) 모피의류 소비자의 특성과 구매행태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경영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김혜경(1986) 모피의 패션화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박나리(2006) 의류제품 구매자의 선호상표 및 추구혜택에 따른 제품평가기준 및 의복이미지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1. 박은정(2002) 여성 골프웨어 소비자의 구매행동 특성과 디자인 선호도.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박현숙(2001).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과 의복구매행동. 순천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송계원(1991) 피혁과 모피의 과학. 서울: 선진문화사.
  14. 신영철(1988) 우리나라 모피의류제품의 국내면세점을 통한 소매전략에 관한 연구. 서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신초영(1998) 남녀대학생의 불안과 의복추구혜택과의 관계 연구. 성신여자 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안광호.하영원.박흥수(1998) 마케팅원론. 서울: 학현사.
  17. 연합뉴스(2006) 모피패션의 다양화. (2006. 1. 3). www.yonhapnews.co.kr
  18. 오선숙(2001) 여성 모피의류제품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오진근(2003) 언어메시지를 통해 본 광고의 의미 작용 연구 : 모피의류 광고를 중심으로. 홍익대학교 광고홍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 이경희(1998) 남녀대학생의 자아정체감과 의복추구혜택 및 의복속성평가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1. 이수영(2002) 모피제품의 전략적 아웃소싱 추진 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2. 이주은(1996) 한국 여성들의 모피의류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3(2), 429-430.
  23. 이주영.이선재(1996) 신세대 여성의 진바지 착용태도와 정보원 활용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0(2), 336-349.
  24. 이현경(2002) 소비자 가치와 스포츠웨어 추구혜택 및 속성평가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임영자.류은정(2001) 생활한복의 구매의사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 생활한복 이미지, 추구혜택, 위험지각을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39(6), 138-147.
  26. 최일경(1994) 혜택세분화와 인식도에 의한 진의류 브랜드 이미지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한국섬유신문(2001) 모피시장의 활성화. (2001. 11. 11). www.ktnews.com
  28. 한국무역협회(2005) 모피시장의 성장. (2005. 8. 11). www.kita.net
  29. 황인업(1982) 한국 모피의류산업의 특성과 수출사업으로의 육성방안.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황진숙.양정하(2004) 패션제품의 명품 추구혜택과 상표충성도의 관계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6), 862-871.
  31. Aiken LR(1963) The relationship of dress to selected measures of personality in undergraduate wom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59(1), 119-128. https://doi.org/10.1080/00224545.1963.9919417
  32. Jenkins MC, Dickey LF(1985) Clothing Purchase Practices of Adoiescent. Home Economics Research Journal 13, 13-14.
  33. Peter JP, Olson JC(1987) Consumer behavior. Homewood, IL : Irwin. Inc.
  34. Shim SY, Bickle MC(1994) Benefit Segments of Female Appar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