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원격교육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 품질수준 분석

Analysis of the Quality of Distance Education Contents in Pursuit of Better Educational Effectiveness

  • 김자미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학과) ;
  • 김용 (한국교육학술정보원) ;
  • 이원규 (고려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Kim, Ja-Mee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Korea University) ;
  • Kim, Yong (Korea Education Research & Information Service) ;
  • Lee, Won-Gyu (Department of Computer Education, Korea University)
  • 투고 : 2010.04.12
  • 심사 : 2010.05.13
  • 발행 : 2010.05.31

초록

원격교육에서 콘텐츠는 교육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 품질관리는 궁극적으로 원격교육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시작이라 하겠다. 콘텐츠 품질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평가도구 개발에 집중되었다. 실제 콘텐츠 품질을 분석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것은, 콘텐츠 품질분석을 위한 평가위원이나 콘텐츠 선정 등의 어려움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원격교육에서 직무나 자격연수용으로 사용되는 콘텐츠 58개의 품질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습내용 부문의 품질이 가장 높았다. 각 부문의 요소별 품질에서는 학습내용 부문의 학습수준과 학습내용 구성 요소의 품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교수설계 부문에서는 상호작용 요소의 품질을 개선해서 콘텐츠의 품질을 높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콘텐츠를 개발하는 개발자나 제공자의 입장에서 콘텐츠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떤 부분의 품질이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n distance education, contents are to convey what to learn to learners, and the efficient quality assurance of contents is the very first step to the enhancement of distance education. Most studies of the quality assurance of contents have mostly centered arou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and few studies have ever focused on analysis of the quality of contents itself, since it's not easy to do that due to difficulties in the selection of evaluatees or of contents to b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y of 58 distance education contents of on-the-job training and another training for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contents segment ranked first. Among the components of each segment,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level of learning and learning elements in the learning contents segment. In terms of instructional design, the quality of interaction components should be taken to another level to boost the quality of contents in this seg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give some suggestions about which parts of contents should be improved in quality from a perspective of contents developers or suppliers to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contents.

키워드

참고문헌

  1. 이수경, "웹기반 기업교육의 정책.제도 동향". 나일주, 임철일, 이인숙(편), 기업교육론, 학지사. 2003.
  2. 나일주, 정현미, "웹기반 가상교육 프로그램 설계를 위한 활동모형개발", 교육공학연구, 17(2), 27-52, 2001.
  3. Liu, M, Gibby, S., Quiros, O., & Demps, E., "Challenges of being an instructional designer for new media development : A view from the practitioners. Journal of Educational Multimedia and Hypermedia, 11(3), 195-219, 2002.
  4. 이주희, "사이버대학의 질관리를 위한 핵심영역과 평가 항목 규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5. 임준철, "e-learning 활성화를 위한 민간부문의 역할. e-learning 중장기 발전을 위한 워크샵,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3.
  6. 오영훈, 장명희, 권성연, "직업능력개발 훈련 기관 및 과정평가- 인터넷통신훈련부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4
  7. 정영란, 장은정, "이러닝 코스의 수월성 확보를 위한 질관리 평가 준거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0(2), 159-192, 2004.
  8. 김자미, 김종혜, 김홍래, 김용, 조경희, 이러닝 품질관리 연수교재,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9. 김자미, 김홍래, 김현철, 이러닝 통합품질인증 기반조성 연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09.
  10. 안미리, 손경아, 김용, "e-러닝 콘텐츠 품질관리 기준안 개발 연구", 교육공학연구, 22(4), 171-193, 2006.
  11. 김용, 신성욱, 안상미, 김자미, 손경아, 전종호, e-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12.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6 교육정보화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인적자원부, 2006.
  13. 김인숙, 유영만, "e-Learning 콘텐츠 품질관리지원시스템 개발",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2(1), 107-130, 2006.
  14. 이재진, "이러닝 교수.학습의 질관리를 위한 평가 모형 및 준거 탐색", 한국홀리스틱교육학회지, 10(1), 75-91, 2006.
  15. 임재현, 김치수, "생명주기 기반 교육용 콘텐츠 질관리", 정보교육학회논문지, 11(4), 483-495, 2007.
  16. 손강렬, 임종태, "품질문제 요인분석을 통한 데이터 품질 개선방안 연구 : 국가 R&D 정보연계 방식 중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9(1), 1-14, 2009.
  17. 이혜정, 박경선, "이러닝 콘텐츠 개발의 질관리를 위한 학습자 중심의 사용성 평가 방안 연구",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5(3), 63-88, 2009.
  18. 나현미, 류성열, 김종배, "기업 e-Learning 품질 보증관리 개선 방안 연구", 한국 IT서비스 학회지, 6(3), 2007.
  19. 최경애, "교육기관 중심의 웹기반교육 질관리 방안 탐색", 한국교육, 30(2), 137-161, 2003.
  20. Cardy, R. L. & Selvarajan, T. T. Management intervntions. In Neil Anderson, Deniz S. Ones, Handan Kepir Sinangil, & Chockalingam Viswesvaran. HAndbook of industrial, Work & Organizational Psychology. 2(18). 2001.
  21. Crosby, P. B. Quality is free. New York: McGraw -Hill. 1979.
  22. Crosby, P. B. Let s talk quality. New York: McGraw-Hill. 1989.
  23. West-Burnhanm, J. & Davies, B. Quality management as a response to educational change. The annual meeting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New Orleans: LA. (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73 443), 1994.
  24. 교육과학기술부.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9 교육정보화 백서,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9.
  25. 이수경.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이러닝 질관리 시스템개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6.
  26. 정보통신산업진흥원, "이러닝 품질인증 평가기준 연구", 정보통신산업진흥원, 2008.
  27.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격교육 콘텐츠 인증현황",한국직업능력개발원, 2009.
  28. 김용, 김자미, 서정만, 우세철, 이영민, 이은정, "초.중등 이러닝 품질관리 가이드라인 Ver 2.0", 한국교육학술정보원, 2007.
  29. Juran J M (ed) "Quality Control Handbook" 3rd ed. New York, McGraw-Hill, 1974
  30. Johnson, P. L. ISO 9000 Meeting the New International Standards. McGraw-Hill, 2000.
  31. Douglas N. Hales and Satya S. Chakravorty Implementation of Deming's style of quality management: An action research study in a plastics company (ARTICLE)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Economics, Volume 103, Issue 1, 131-148, 2006. https://doi.org/10.1016/j.ijpe.2005.05.020
  32. Koohang, A., & D. Plessis, Jacques. "Architecting usability properties in the e-learning instructional design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arning, 3(3), 38-44. 2004.
  33. Zhang, Dongsong. "Interactive multimedia - based e-learning: A study of effectiveness", American Journal of Distance Education, 19(3), 149-162.2005. https://doi.org/10.1207/s15389286ajde1903_3

피인용 문헌

  1. Development of Quality Assurance Criteria for Mobile Device Based e-learning Contents vol.12, pp.2, 2014, https://doi.org/10.14400/JDC.2014.12.2.4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