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relationship of Achievement Goal and Academic Achievement in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Students for Learner Centered Education Approach

학습자중심 교육 접근을 위한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학업성취의 관계

  • 황기철 (가야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 노효련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 Received : 2010.05.11
  • Accepted : 2010.06.18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achievement and the achievement goal of students of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in Gyeongnam Province. 106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occupational therapy filled out a questionnaire. For this study, Elliot & Church's Achievement Goal and GPA were used. The achievement goal was subdivided into the mastery goal,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and the performance avoidance goal. The GPA from the previous semester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emale students received higher grades on all of the Achievement Goals than male. The results of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decreased as the students' class seniority increased. The performance approach goal showed academic achievement correlated positively with performance approach, but correlated negatively with the performance avoidance goal. The negative achievement goal got lower as the seniority of students increased.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an educational approach is necessary for the positive achievement goal where an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re account for in the achievement goal.

본 논문은 작업치료학과 학생의 성취목표 지향성과 학업성취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경남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작업치료학과 학생 106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성취목표척도와 학기말 평점을 이용하였다. 성취목표는 Elliot & Church의 3요인 모텔로 숙달목표, 수행접근목표, 수행회피목표로 구분하였다. 여학생이 세가지 성취목표 모두에서 남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수행접근목표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낮게 나타났다. 성취목표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숙달목표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수행회피목표가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나서, 일반적으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진 숙달목표가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에서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작업치료학과 학생들은 학년이 올라갈수록 부정적인 성취목표 지향성이 저하되고 있으며 긍정적인 성취목표 지향성 정도는 유의하게 높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므로 학생들의 성취목표지향성에 대한 특성 파악을 통하여 긍정적인 성취목표에 대한 교육접근이 요구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상현, 노혜린, "Kolb 학습양식 검사지를 이용한의과대학생의 학습양식분석", 한국의학교육, 제19권, 제3호, pp. 197-205, 2007.
  2. 한상훈, "성인학습자의 교육참여동기와 자기주도학습의 관계", 평생교육학연구, 제9호, 제3권, pp. 225-245, 2004.
  3. 민용성,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의 내용선정 준거 탐색 및 적용",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5권, 제1호, pp. 1-22, 2003.
  4. Pintrich, P.R., & Garcia, T, "Student goal orientation and self-regulation in the college classroom. In M. L. Maehr & P. R. Pintrich (Eds.)", Advances in Motivation and Achievement, Vol. 7). Greenwich, Connecticut: JAI Press. pp.371-402. 1991.
  5. Ames, C., & Archer, J.(1988). Achievement goals in the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J Educ Psychol, 80, 260-270. https://doi.org/10.1037/0022-0663.80.3.260
  6. 조승우, 김아영, "초등학교 아동의 목표지향성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 및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교육과학연구, 제27권, pp.71-88, 1998,
  7. Perrot, L.J., Deloney, L.A., Hastings, J.K., Savell, S., Savidge, M, "Measuring student motivation health professions'colleges", Adv Health Sci Educ Theory Pract, Vol 6, No 3, pp.193-203, 2001. https://doi.org/10.1023/A:1012606722230
  8. 소연희, "의과대학생들의 성취목표성지향성과 자기효 능감이 수업에 대한 흥미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 향", 한국의학교육, 제20권, 제1호, pp. 37-49, 2008.
  9. Elliot, A. J & Church, M. A,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72, pp. 218-223, 1997. https://doi.org/10.1037/0022-3514.72.1.218
  10. Elliot, A., & McGregor, H.A, "A 2${\times}$2 Achievement goals, study strategies, and exam performance: A mediational analysis", J Educ Psychol, Vol 91, pp. 549-563. 2001.
  11. 전수현, 이영미, 박선화, "의과대학생들의 성취목표 지향성이 해부학 학습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 향", 한국의학교육, 제20권, 제3호, pp. 189-198, 2008.
  12. 이미자, "우리나라 작업치료사 인력양성 실태 및 문제점", 대한작업치료학회지, 제10권, 제2호, pp. 181-186, 2002.
  13. 박진옥. (2006), 성취목표, 학습양식, 심리적 안녕감 및 학업성취와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윤아롬. (2009). 대학생의 지각된 양육태도, 성취목표, 그리고 자기조절학습전략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권낙원, "학습자 중심 교육의 성격과 이론",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제1권, 제1호, pp. 29-40, 2001.
  16. Fryer, J.W. & Elliot, A.J., "Stability and change in achievement goal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99, pp. 700-714. 2007 https://doi.org/10.1037/0022-0663.99.4.700
  17. 박병기, 박일선, 고유림, "성취목표지향성 프로그램 의 개발과 효과검증", 교육심리연구, 제23권, 제3호, pp. 521-541, 2009.
  18. 권성연. "성인학습자의 성취목표지향성 및 자기조절 학습의 관계 연구: 성인 계속교육 학습자와 일반 대학생 간 비교", 교육공학연구, 제24권 제4호, pp. 27-52, 2008.
  19. Anderman, E.M., & Midgley, C. "Changes in achievement goal orientations, perceived academic competence, and grades across the transition to middle-level schools", Contemp Educ Psychol, Vol, 22, No, 3, pp. 269-298, 1997. https://doi.org/10.1006/ceps.1996.0926
  20. 전수현, 이영미, 박선화. "의과대학생들의 성취목표 지향성이 해부학 학습의 정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 한국의학교육, 제20권, 제3호, 189-198. 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