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요가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체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Yoga on Physical fitn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 Heo, Jung-Bun (Blood & Marrow Progenitor Cell Transplantation Center, Inje University Pusan Paik Hospital) ;
  • Park, Nam-Hee (Department of Nursing, Inje University) ;
  • Kim, Yun-Hee (Health Promotion Division, Busan Metropolitan City)
  • 투고 : 2010.05.19
  • 심사 : 2010.06.18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는 요가 프로그램이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체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를 검정하기 위한 비동 등성 대조군 전후설계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경상남도 H군 농촌지역 여성노인 총 40명으로 실험군, 대조군 각각 20명이며, 실험군에게는 주 3회 12주간의 요가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요가를 실시한 실험군은 체력에서 평형력과 유연성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하였으며, 근력과 지구력에서는 대조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우울수준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삶의 질에서는 신체적 영역 점수가 실험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정신적 삶의 질 영역에서는 두 군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에 요가프로그램은 농촌지역 여성노인의 평형력과 유연성을 증가시키고 우울을 감소시키며 신체적 삶의 질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있어 효과적인 간호중재임을 확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yoga program on physical fitness,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elderly women in rural area. This study employed the nonequip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40 elderly women(experimental group =20, control group =20) were sampled from H-gun, G-Province.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a 12-week yoga program. In physical fitness, the experimental group taking yoga program reported significant increases in balance and flexibility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but the differences in strength and aerobic endurance were not significant.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in the depression. In quality of life, Elderly women taking yoga program had significant increase in physical component summary than that in the control group, but differences in mental component summary was not significant. A yoga program may be a useful nursing intervention for elderly women in rural area to improve their balance, flexibility, to reduce depression and improve physical quality of life.

키워드

참고문헌

  1. 통계청(2008). 노령화 정책서비스 http://www.kostat.go.kr
  2. 구미옥, 전미양, 김희자, 은영, "노인낙상예방 운동중 재 문헌분석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6호, pp. 1101-1112, 10월, 2006.
  3. Nelson ME, Rejeski WJ, Blair SN, "Physical activity and public health in older adults: recommendation from the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and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Med Sci Sports Exerc, , Vol. 39, No. 8, pp. 1435-1445, 2007. https://doi.org/10.1249/mss.0b013e3180616aa2
  4. 이상민, "12주간의 저강도 운동 프로그램이 농촌 여성노인의 일상생활체력과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6.
  5. 이태영. 요가: 하타요가에서 쿤달리니탄트라까지. 도서출판 여래, 2000.
  6. Parshad, O., Role of yoga in stress management, J West Indian Med, Vol. 32, No. 5, pp. 254-258, 2004.
  7. 김영희, "노인 건강에 미치는 요가의 효과" , 부산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1.
  8. 최경석, "12주 하타요가 수련이 폐경 이후 여성의 최대 우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 리서치, 제17권, 제1호, pp. 537-546, 2006.
  9. 양란,김건엽, 이무식, 김대경, 노영수, "일개 농촌지역 주민의 체구성, 운동 및 체력상태와 골밀도와의 관 계",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1호, pp. 3405-3411,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11.3405
  10. 김은엽, 임근옥, 이현실, "일개지역 노인의 건강인식 및 건강관리에 관한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0권, 제10호, pp. 3974-2984, 2009. https://doi.org/10.5762/KAIS.2009.10.10.2974
  11. Buchner, A., Erdfelder, E., Faul. F., "G*Power: A general power analysis program. Behavior research methods", Instruments and computers, Vol. 28, pp. 1-11, 1996. https://doi.org/10.3758/BF03203630
  12. Rikli R. E., Jones C. J., "Senior fitness test manual Illinois", Human Kinetics, 2001.
  13. 장경태, 이경옥, 임호남, 진행미, 서연태, 이정숙, 노인체육, 대한미디어, 서울, 2006.
  14. Yesavage, J. A., "Geriatric depression scale: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nt of a shorter version. In TL. Brink(ed). Clinical gerontology: A guide to assessment and intervention", New York, The Haworth press, pp. 165-173, 1986.
  15. 송미순, "노인의 생활기능상태 예측 모형구축", 서울 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1991.
  16. Ware, J. E., Kosinski, M., "Interpreting SF-36 Summary health measure: a response", Qual life Res Co, Vol. 5, pp. 405-413, 2001.
  17. 진영란, 이인숙, 장현숙, 보건소 방문보건사업 효과 와 간호중재 분석, 지역사회간호학회지, 제15권, 제3 호, pp. 314-324, 2004.
  18. 박장근, 임란희, "12주 하타요가 수련이 여성의 신 체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제43권, 제6 호, pp. 959-966, 2004.
  19. 정선영, "12주간의 요가 트레이닝이 중년 여성들의 건강관련 체력과 심혈관 질환의 위험 요인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9.
  20. 양성민, "요가 아사나가 여성의 체력과 신체구성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6.
  21. 선종훈, "청소년의 요가 수행이 유연성 향상에 미치 는 효과", 경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4.
  22. 김혜영, "성인여성의 요가수행이 정신건강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23. 송지혜, "요가수련 참여가 노인 여성의 사회심리 상 태와 우울 기분에 미치는 영향", 포천중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24. 배상희, "하타요가 수련이 노인의 여가만족 및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5.
  25. 김혜진, "20주간의 요가수련이 교육 가능급 정신지체 청소년의 신경 전달 물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07.
  26. 진정권, "고령자의 운동과 식생활습관이 활동 체력, 만성질환 유병률,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8
  27. 방수용, "편마비 환자의 정적 균형 및 유연성에 대한 요가 프로그램의 효과", 포천중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5.
  28. Rejeski, W. J., Mihalko, S. L., "Physical activity and quality of life in older adults", J Gerontol A Biol Sci Med Sci, Vol. 56, pp. 23-35, 2002.
  29. 전미양, 박은숙, 정복선, 이은경, "건강율동체조가 여성 노인의 균형, 우울, 의료비용, 의료기관 이용 및 낙상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제35권, 제6호, pp. 1268-1276, 2005.

피인용 문헌

  1. The Effects of Yoga Exercise on Balance and Gait Velocity in Stroke Patient vol.14, pp.1, 2013, https://doi.org/10.5762/KAIS.2013.14.1.2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