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공공부문의 지식관리시스템 활용에 미치는 영향 요인과 성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ffecting Influence Factors and Business Performance in Application of KMS in Public Sector

  • 구병관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정보경영학과) ;
  • 이선규 (서울벤처정보대학원대학교 정보경영학과)
  • Koo, Boung-Gwan (Department of Information Management, Seoul University of Venture & Information) ;
  • Yi, Seon-Gyu (Department of Information Management, Seoul University of Venture & Information)
  • 투고 : 2010.05.11
  • 심사 : 2010.06.18
  • 발행 : 2010.06.30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식관리시스템(KMS)을 도입하여 활용 중인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활용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대한 연구이다. 공공기관의 경우 1999년 하반기부터 지식관리시스템을 본격적으로 도입하여 현재 국방부, 행정자치부, 기획예산처 등 대부분의 정부부처에서 시스템을 구축하여 운용하고 있다. 이로 인해 지식관리시스템의 편리성과 필요성을 이해하고, 지식자산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고 있다. 하지만 부서별 KMS 활용도에 많은 차이가 있으며 사용자 간에도 만족도에 많은 차이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이는 KMS에 대한 최고책임자 관 심, 전담 인력 요인의 지원, 교육훈련 여부, KM 프로세스 지원 등의 많은 부분에서 영향을 받는 것으로 기대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KMS에 미치는 영향요인으로 조직특성, 지식정보특성, 전략특성의 하위요인을 도출하고 이러한 하위요인들이 KMS 활용도 및 KMS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향후 지식관리시스템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centered on public institutions that introduced and are using Knowledge Management System(KMS), is a study of affecting influence factors for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In case of public institutions, they introduced in earnest knowledge management system starting second half of 1999 and most branches of the government such as Department of Defenc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and Ministry of Planning and Budget have laid the foundation and been managing the system. As a result understanding convenience and need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 and awareness for importance of knowledge asset are proliferating. But there is a lot of difference in utilization of KMS by work unit and also can find that the difference exists among users in terms of satisfaction. This is expected as having influence from chief officer's concern, support of exclusively responsible personnel factor, whether education training was given, KM process support etc. for KMS. Therefore this study draws subordinate factors of organization characteristic, knowledge information characteristic, strategy characteristic as influence factors to KMS and analyzes how these subordinate factors influence utilization and satisfaction of KMS to suggest a way to catalyz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in the future.

키워드

참고문헌

  1. 이향수, "정부조직 지식관리활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9권 제4호, 2005, pp. 273-298.
  2. Lin. C. and Tseng, S. M., "Bridging the implementation gaps in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for enhancing corporate performance",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 29, 2005, p. 163. https://doi.org/10.1016/j.eswa.2005.01.015
  3. Armistead, C. and Meakins, M., "A framework for practicing knowledge management", Long Range Planning, Vol. 35, 2002, p. 50.
  4. Huber, G. P., "Organizational Learning: The Contributing Processes and the Literatures", Organization Science, Vol. 2, No. 1, 1991, p. 89.
  5. Nonaka, I. and Takeuchi, H., "The Knowledge Creating Company: How Japanes Companies Create the Dynamic of Innovation", Oxford University Process, 1995, pp. 21-33.
  6. 김찬중, "한국 기업의 지식경영 성공요인", 충북대학교대학원, 2002, p. 29-62.
  7. 탁주익, "군 지식관리시스템의 성공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대구카톨릭대학교대학원, 2008, pp. 2-85.
  8. 삼성경제연구소, "한국기업의 지식경영 모델", 삼성경제연구소, 2001, p. 375-377.
  9. Contractor, F. J. and Lorange, P., "The growth of alliances in the knowledge-based economy", International Business Review. Vol. 11, 2002, pp. 485-502. https://doi.org/10.1016/S0969-5931(02)00021-5
  10. 한동효, "지방자치단체의 지식관리 프로세스와 성과의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2003, pp. 60-79.
  11. Wasko, M. M., and Faraj, S., "Why Should I Share? Examining Social Capital and Knowledge Contribution in Electronic Networks of Practice", MIS Quarterly 29(1), 2005, pp. 35-37. https://doi.org/10.2307/25148667
  12. Poston, R. S. and Speier, C., "Effective Use of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A Process Model of Content Rating and Credibility Indicators", MIS Quarterly, Vol. 29, No. 2, 2005, p. 221. https://doi.org/10.2307/25148678
  13. Rao, L. and Osei-Bryson, K.-M., "Toward defining dimensions of knowledge systems quality", Expert Systems with Applications 33, 2007, p. 368-369. https://doi.org/10.1016/j.eswa.2006.05.003
  14. 변상우.최승욱, "지식관리시스템 도입기업의 성공사 례에 관한 연구", 기업경영연구, 제12권, 제1호, 2005, p. 35-57.
  15. Alavi, M. and Leidner, D. E., "Knowledge Management and Knowledge Management Systems: Conceptual Foundations and Research Issues", MIS Quarterly, Vol. 25, No. 1, 2001, pp. 107-114. https://doi.org/10.2307/3250961
  16. Wu J. H. and Wang, Y.-M., "Measuring KMS Success: A respecification of the DeLone and McLean's model", Information & Management 43, 2006, p. 729.
  17. Murry, E. J. and Lorne O., "Organizational Memory/Knowledge Effects on Productivity, a Longitudinal Study", Proceeding of the 35th Hawaii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ystem Sciences, 2002, pp. 1-10.
  18. 변상우, "지식경영시스템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2005, pp. 7-49.
  19. 김재진, "BSC를 활용한 지식경영시스템의 성과측정 유용성에 관한 연구", 호남대학교, 2007, pp. 13-16.
  20. 김주희.유성호.김열걸, "지식관리시스템 성과에 영향 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사례 연구", 경영과학 제20권 제1호, 2003, pp. 1-23.
  21. 김경규.김범수.송세정.신호경, "지식공유 의도와 지식 관리시스템의 사용", 경영정보학연구 제15권 제3호, 2005, p. 65-90.
  22. 이배영, "지방정부의 지식관리활동에 미치는 영향요소에 관한 연구", 2008, p. 74.
  23. 이향수, "정부조직의 지식관리활동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대학원, 2004, p. 3-32.
  24. 유홍림․이병기, "정부조직의 지식관리 활용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행정학보, 제38권 제1호, 2004, pp. 23-44.
  25. Galletta, D. F. and Leader, A. L., "Some Cautions on the Measurement of User Information Satisfaction", Decision Sciences, Vol. 20, No. 3, 1989, pp. 419-439. https://doi.org/10.1111/j.1540-5915.1989.tb01558.x
  26. Delone, W. H. and McLean, E. R., "Information Systems Success: The Quest for the Dependent Variable",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3(1), 1992, pp. 87-99.
  27. 유일.고준.김재진.박성종, "지식경영시스템의 사용자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실행공동체 특성요인을 중심으로", 지식경영연구, 제7권 제1호, 2006, p. 34-51.
  28. 김효근․권희영․정성휘, "조직의 지식경영 준비도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지식경영연구 제2권, 제1 호, 2001, pp. 45-62.
  29. Gilber, J. A. and Tang, T., "An Exanination of Organizational Trust Antecedents", Public Personal Management, Vol. 27, No. 3, pp. 321-336.
  30. 유성호, "조직의 지식경영 동인과 성과의 연계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기술원, 2003. pp. 1-23.
  31. Prokesch, S, E., "Unleashing the Power of Learning: an Interview with British Petroleum's John Browne", Harvard Busisess Review, Vol. 75, No. 5, 1997, pp. 146-168.
  32. 이홍재, "지식관리와 정부성과간의 관계에 관한 실증적 연구", 경희대학교, 2004, pp. 23-47.
  33. 김상수.김용우, "지식관리시스템의 특성과 성공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Anyang Business Review, 12, 2000, pp. 65-82.
  34. 강황선, "서울시 지식관리 활성화 방안", 서울시정개 발연구원, 2002. pp. 18-26.
  35. O'Dell, C. and Grayson, C. J., "If Only We Knew What We Know: Identification and Transfer of Internal Best Practice", California Management Review, Vol. 40, No. 3, pp. 1998, 154-175. https://doi.org/10.2307/41165948
  36. 이홍재․차용진, "평가 및 보상이 지식창출과 공유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보관리학회지, 제24권 제1호, 2007, pp. 55-74.
  37. 공희경, "지식공유 영향요인이 지식관리시스템 성과 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2004, pp. 6-16.
  38. Mcdermott, R. and C. O'Dell, "Overcoming cultural barriors to sharing knowledge, Journal Of Knowledge Management, Vol. 5, 2001, pp. 77-85.
  39. Nyhan, W. A., "Bureausracy and Public Economics", The Locke Institute, Edward Elgar Publishing, 1994.
  40. Roos, W. H. and Wieland, C., "Effects of Interpersonal Trust and Time Pressure on Managerial Mediation Strategy in a Simulated Organizational Disput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 81(3), 1996, pp. 228-248. https://doi.org/10.1037/0021-9010.81.3.228
  41. 서용준, "지식관리시스템의 성공요인과 성과변수간의 관계 연구", 영남대대학원, 2004, pp. 23-83.
  42. Bailey, J. E. and Pearson, S. E., "Development of a Tool for Measuring and Analyzing Computer User Satisfaction", Management Sciences, 29(5), 1983, pp. 530-545. https://doi.org/10.1287/mnsc.29.5.530
  43. 이선규, "기업의 환경, 조직 및 정보 기술 특성이 정보 시스템 도입 성과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대학원, 2004, pp. 53-58.
  44. 서건수, "최종사용자 컴퓨팅에서의 환경요인, 태도, 정보시스템 이용간의 관계", 한국과학기술원, 1994. pp. 25-49.
  45. Jarvenpaa, S. L. & Staples, D. S., "Exploring Perceptions of Organizational Ownership of Information and Expertise", Journal of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s, Vol. 18. No. 1, 2001, pp. 151-183. https://doi.org/10.1080/07421222.2001.11045673
  46. Sanders, G. L. and Courtney, J. F., "A Field Study of Organizational Factors Influencing Dss Success", MIS Quarterly, Vol. 9, No. 1, 1985, pp 77-92. https://doi.org/10.2307/249275
  47. 서창교․신성호, "지식관리시스템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경영정보학연구, 제15권 제1호, 2005, pp. 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