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극장용 영화 시장에서의 장르 차별화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Genre Differentiation in Korea Film Market

  • 정원조 (서강대 언론문화연구소) ;
  • 조은기 (성공회대학교 신문방송학과)
  • Joung, Won-Jo (Institute for the Study of Media and Culture, Sogang University) ;
  • Cho, Eun-Ki (Department of Media and Communication, Sungkonghue University)
  • 투고 : 2010.05.31
  • 심사 : 2010.07.19
  • 발행 : 2010.08.15

초록

한국의 극장용 영화 시장은 국내 제작 영화와 해외 수입 영화 간 차별화된 경쟁이 발생되는 시장이다. 본 연구는 국내 극장용 영화 시장에서 국내 제작 영화와 해외 수입 영화 간의 장르 차별화가 어떻게 발생하고 있는지를 3가지 차원(관객 선호도, 제작 및 수입, 흥행 실적)에서 종합적으로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한국 영화 선호 관객들은 '문화적 스토리 중심 장르'에 대한 선호도가, 외국 영화 선호 관객들은 '고제작비 투입 중심 장르'에 대한 선호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외국 영화는 '고제작비 투입 중심 장르'인 액션/전쟁 장르가 많이 수입되기는 하였지만, 동시에 저비용 장르인 코미디와 드라마/멜로 장르 또한 다수 수입되고 있었다. 그에 비해 한국 영화는 코미디와 드라마/멜로 장르에 편중되어 제작되고 있다. 셋째, 한국 영화의 흥행은 주로 코미디와 드라마/멜로 장르가 흥행하였고, 외국 영화는 액션과 SF/판타지를 중심으로 흥행하였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한국 영화의 제작과 흥행이 문화적 투입 요소가 높은 장르를 중심으로 차별화된 분포를 보이고 있음을 제시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는 한국 영화 시장의 다양성 확보를 위한 정책적 지원 논의와 산업적 측면에서 영화 기획 전략에 있어 함의를 제공할 것이다.

Korea film market is heterogeneously divided market that comes from competition between Korean movies and foreign imported movies. This research empirically analyzes genre differentiation in Korean film market with three dimensions (film audience preference, production and import, box office hit). The results indicate that, first, audiences who preferring Korean movie preferred 'cultural factor oriented genres', but audiences who preferring foreign movie preferred 'high budget oriented genres'. Second, imported foreign movie genre distribution was little bit different with box office hit genre of foreign movies. Foreign movie was imported not only hit genre (action genre) but also low cost genre (comedy and Drama/melodrama genre), but most of all Korean film was produced in box office hit genres (comedy and Drama/melodrama genre), third, Korean movies hit a box office in comedy and Drama/melodrama genre, but foreign movies hit a box office in action and SF/Fantasy genre. Those results show that Korea movies' genres are concentrated very much in cultural factor oriented genre. Those results can give implication of diversity policy and movie production strategy of Korea film market.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