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Vocational Adjustment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결혼이주여성의 직업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Received : 2010.05.06
  • Accepted : 2010.06.2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has a purpose to develop vocational adjustment program that is essential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to settle down in our society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In order to develop practical program with reflecting their unique issues and experiences comparing to other groups, many diverse ways such as questionnaire, face to face in-depth interview, and expert-interview were used. Vocational adjustment program for marriage immigrant women was consisted of six parts like understanding multi-culture, basic economical concepts and practical use, vocation and labor market comprehension, self-understanding and analysis, cultivating organization adaptation and job capacities, establishing career goal. After carrying into effect the program, the result wa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identity, the understanding vocational information, adaptation of vocational culture, career aspiration to women who have taken the vocational adjustment program. Through the program, marriage immigrant women will be high in self-efficacy with the real recognition of the Korean labor market and expect their positive future which might be better than now. Finally this can help them adjust our society in the positive way.

본 연구는 취업욕구가 높은 결혼이주여성들이 한국에 정착하여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 역할하는데 필수적인 직업적응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일반 대상과는 다른 결혼이주여성의 특수한 논점과 경험을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 설문조사, 결혼이주여성 면담, 관계자 면담 등의 결과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결혼이주여성 직업적응 프로그램은 다문화의 이해, 기초적인 경제개념에 대한 이해 및 활용, 직업 및 노동시장의 이해, 자기이해와 분석, 조직적응과 직무능력의 배양, 진로목표설정 등 6회기로 구성하였다. 직업적응 프로그램에 대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선정하고 실험집단에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두 집단의 사전 사후 검사를 통해 효과검증을 한 결과 직업적응 프로그램을 받은 결혼이주여성들은 진로정체감, 직업정보, 직업문화적응, 진로포부에 있어서 유의미한 차이가 드러났다. 이러한 결과는 직업적응 프로그램이 취업을 희망하는 결혼이주여성에게 한국의 직업세계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진로를 설계하고 준비함으로써 더 나은 미래를 기대하고 보다 긍정적으로 한국 사회에 적응하도록 지원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Keywords

Acknowledgement

이 연구는 2008년도 한국학술진흥재단 사회과학지정주제사업의 지원금으로 수행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