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Oriental Medical Factors of Teenagers' Menstrual Disorders Based on DSOM

한방진단시스템(DSOM)을 이용한 청소년 월경통, 월경량 이상의 한의학적 인자(因子) 연구

  • Yim, Sun-Hee (Dept.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Cho, Hye-Sook (Dept.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Lee, In-Seon (Dept. of Oriental Medicine, Dong-Eui University) ;
  • Kim, Kyu-Kon (Dept. of Information Statistics, Dong-Eui university)
  • 임선희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
  • 조혜숙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
  • 이인선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한방부인과) ;
  • 김규곤 (동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데이터정보학과)
  • Received : 2010.07.30
  • Accepted : 2010.08.1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Purpose: In Oriental medicine, menstruation is a significant index of women's health. Especially high school girls often have various menstrual problems. We think that students who have menstrual problem have some symptoms in relation to an etiological cause. So we had carried out this study to investigate association of DSOM scores and an abnormality of menstruation in oriental medicine. Methods: First we have 2137 high school girls answer to menstrual questionnaire that we made and DSOM, next investigated the pathogenic factor of DSOM which effect dysmenorrhea and menorrhagia using regression model.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dicate as follows. Results: 1. In comparison with dysmenorrhea, Qi depression(氣滯), blood stasis(血瘀), dampness (濕), phlegm(痰) is associated positively and liver(肝) negatively. The sensitivity is 64.3%, and the specificity is 75.1%. 2. In comparison with menorrhagia, Blood deficiency(血虛), Qi depression(氣滯), blood stasis(血瘀) is associated positively and liver(肝) negatively. The sensitivity is 53.9%, and the specificity is 76.1%. Conclusion: In this study, that has been carried out to organize the diagnosis of dysmenorrhea and menorrhagia in Oriental medicine, we can see that the disease factors of them were correlated with our Medical theory.

Keywords

References

  1. 이상미. 신경증 환자와 정상인의 월경 전기 증후군 비교 연구. 1991;15-25.
  2. 함미영 등. 여성의 월경통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대한간호학회 여성건강간호학회. 1999;5(2):245-53.
  3. 한의부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 상. 서울:정담. 2002:7-57, 32-5.
  4. 조수현 등. 사춘기여학생의 월경에 대한 연구. 대한산부인과학회지. 1999;42(9): 2043-7.
  5. 李梴. 醫學入門. 서울:南山堂. 1991:101-205.
  6. 牛建昭. 現代中西醫婦科學. 北京:中國科學技術出版社. 1996:129-36.
  7. 이인선, 전란희. 여고생의 월경이상에 대한 조사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3;16(4):124-35.
  8. 이인선 등. 한방부인과 진단용 설문지의 병기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 18(2):401-7.
  9. DSOM 한방진단시스템. Diagnosis System of Oriental Medicine${\copyright}$2005-01-122-004154. 동의대학교. URL:http://www.dsom.or.kr/
  10. 전란희, 이인선. 부인과 환자의 辨證 유형에 관한 조사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1999;12(1):231-52.
  11. 이인선 등. 월경통 평가도구에 관한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5;16(6): 1512-9.
  12. 이인선, 김미진, 김규곤. 월경량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242-52.
  13. 김규곤, 이인선. 월경통 측도의 신뢰도 향상 방법. Journal of Korean Date Analysis Society. 2005;7(2):623-36.
  14. 이인선 등. 한방부인과 진단용 설문지의 신뢰도 연구.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4;18(3):701-12.
  15. 이인선, 전란희, 김규곤. 한방부인과 진단설문지에 대한 평가와 연구(II).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4;17(1):160-6.
  16. 이인선 등. 한방부인과 진단설문지의 병기가중치 부여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4):119-35.
  17. 박미라,이재원. EXCEL을 이용한 의학데이터의 통계분석. 자유아카데미: 서울. 1998:101-202.
  18. 성래경. SAS/STAT 회귀분석. 자유아카데미:서울. 2000:75-200.
  19. 김규곤, 강창완, 이인선. 한의학에서 자궁근종에 대한 병기점수의 연관성 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6;8(2):525-531.
  20. 김규곤, 강창완, 이인선. 자궁근종 여부에 대한 DSOM 변수의 연관성분석.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06;8(4):1381-94.
  21. 한의부인과학 교재편찬위원회. 한의부인과학 上. 서울:정담. 2002:55-7, 119-66.
  22. 이인선, 김미진, 김규곤. 월경량 평가 기준에 관한 연구.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5;18(1):242-52.
  23. 조혜숙, 이인선. 월경통에 관한 임상적 조사연구. 동의한의연지. 2000;4: 161-71.
  24. 송병기. 한방부인과학. 서울:행림출판. 1992:150-75.

Cited by

  1. 일개 대학 신입생의 월경양상과 월경통 관련 인자에 대한 연구 vol.23, pp.4, 2010, https://doi.org/10.15204/jkobgy.2010.23.4.117
  2. 일개 대학 신입생의 월경과 비만도의 상호관계에 관한 연구 vol.24, pp.1, 2011, https://doi.org/10.15204/jkobgy.2011.24.1.099
  3. 월경장애를 가진 여고생의 맥진분석 vol.26, pp.1, 2010, https://doi.org/10.15204/jkobgy.2013.26.1.082
  4. 사상체질(四象體質)에 따른 여고생의 월경장애와 Inbody 검사결과와의 관계 vol.26, pp.4, 2013, https://doi.org/10.15204/jkobgy.2013.26.4.1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