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Urinary Incontinence Clinic Operated by Local Public Health Center

일개 보건소의 요실금 치료 교실 운영 결과에 대한 고찰

  • Yu, Sung-Jin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Jung, Jae-Hoon (Dept. of Oriental Medical Care, Eumseong-Gun Public Health Center) ;
  • Kim, Na-Young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Shin, Mi-Ran (Dept. of Sasang Constitutional,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Ko, Ho-Yeon (Dept. of Oriental Internal Medicine,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 Lee, Dong-Nyung (Dept. of Oriental Gynecology, College of Oriental medicine, Se-Myung University)
  • 유성진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 정재훈 (음성군 보건소 한방진료실) ;
  • 김나영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교실) ;
  • 신미란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사상체질과교실) ;
  • 고호연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내과학교실) ;
  • 이동녕 (세명대학교 한의과대학 부인과교실)
  • Received : 2010.07.30
  • Accepted : 2010.08.10
  • Published : 2010.08.31

Abstract

Purpose: Today, the proportion of the elderly is increasing especially in a province. For elder people, local government has conducted the health promotion act by oriental medicine. For oriental medicine hub health promotion act, Eumseong -gun carried out a program that is urinary incontinence clinic for the elder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effective the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 using oriental medicine is. Methods: The 42 patients had been treated for urinary incontinence during the 10 or 11 weeks. They were put on oriental medical treatment in the Eumseong-gun public health center. Results: 1.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s in the degree of urinary incontinence after the treatment. 2. The treatment made the patients regain their mental security. 3. People who were treated by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 were the most satisfied.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public health promotion program using oriental medicine is effective for urinary incontinence.

Keywords

References

  1. 한동운 등. 수요자 중심의 한방공공 보건사업의 내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건강증진사업지원단. 2007:2-3.
  2. Tamara L et al. 블루프린트 산부인과. 서울:이퍼블릭. 2008:199-204.
  3. 오현수, 김미경. 여성 요실금 환자의 요실금 중등도 및 삶의 질에 대한 영향요인 분석. 대한간호회지. 2005;35:469-76.
  4. 김석중, 박영선, 김동철. 침구치료 및 체외자기장신경치료의 병행을 통한 여성 요실금 환자 치료에 관한 증례 고찰. 대한한방부인과학회지. 2006;19:261-70.
  5. 오승준 등. 요실금 자가기입설문지 한국어판 Incontinence Quality of Life (I-QoL)의 언어 타당도. 대한배뇨장애 및 요실금학회지. 2002;6:10-23.
  6. 보건복지가족부. 2010년도 한의약공공보건 사업안내. 보건복지가족부. 2010 :4-21.
  7. Bates P et al. The standardization of terminology of lower urinary tract function. J Urol 1979;121:551. https://doi.org/10.1016/S0022-5347(17)56874-3
  8. 대한산부인과학회 교과서편찬위원회. 부인과학. 서울:고려의학. 2008:1081-4.
  9. 김문홍 등. 설문지를 이용한 한국 여성의 요실금 유병률에 관한 연구. 대한비뇨부인회지 2000;2:75-85.
  10. 송효정 등. 30세 이후 한국 여성의 요실금 실태에 대한 역학조사. 대한 배뇨장애 및 요실금학회지. 2001;51:24-38.
  11. 김증임, 김영호, 안현철. 성인 여성의 과민성 방광 증후군과 요실금의 실태조사. 여성건강간호회지. 2002;8:529-37.
  12. 민경훈, 김철중. 요실금에 대한 문헌적 고찰. 대전대 논문집 한의학편.1995;4(1):225-37.
  13. 許浚. 對譯東醫寶鑑. 서울:법인문화사. 1999:413-8.
  14. 윤문식 등. 추나 수기 요법과 자침으로 호전된 복압성 요실금 환자 치험2례. 한방재활의학과학회지. 2006;16:127-34.

Cited by

  1. 한방 월경통 개선교실의 운영 및 효과에 관한 연구 vol.25, pp.3, 2010, https://doi.org/10.15204/jkobgy.2012.25.3.132
  2. MEDLINE과 SCOPUS 검색을 통한 요실금에 대한 침구치료의 국외 연구 동향 분석 vol.26, pp.2, 2013, https://doi.org/10.15204/jkobgy.2013.26.2.166